목차
1.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지방자치제의 의의
2. 복지국가의 추세와 한국의 복지정책
3. 지방화시대 지역주민의 복지욕구
4.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적 역할
5.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적 과제
(1) 지방 사회복지 행정조직의 체계화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전문화
(3) 사회복지재정의 확충
(4) 민간의 복지참여 활성화
2. 복지국가의 추세와 한국의 복지정책
3. 지방화시대 지역주민의 복지욕구
4.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적 역할
5.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적 과제
(1) 지방 사회복지 행정조직의 체계화
(2)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전문화
(3) 사회복지재정의 확충
(4) 민간의 복지참여 활성화
본문내용
어느정도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며, 공동모금회의 조직에 각계각층 대표들이 참여하도록 적극 권장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는 공동모금을 통한 민간복지재원 동원의 활성화를 위하여 i) 기부금 전액에 대한 면세, ii) 공동모금에 공헌한 고액기부자, 공동모금회 임직원, 공동모금 봉사단체 및 봉사자 등에 대한 표창이나 감사장 수여, iii) 공동모금 캠페인에 대통령을 포함한 저명인사의 참여 (실제로 미국, 헝가리, 태국의 경우 대통령이나 국왕이 공동모금회의 명예총재로 공동모금에 참여하고 있음.) 등의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정기원 외, “사회복지사업기금 운영개선을 위한 공동모금제도의 도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pp.23-24.
이와 같은 민간참여 활성화는 주민들의 연대의식과 공동체의식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정치민주화와 함께 경제발전과 복지가 상호보완으로 상승효과를 이루는 복지사회를 건설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참고 문 헌>
김태성, 성경륭 공저,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 1993).
서상목 외,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 개선방향,” 한국개발연구원, 1988.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법문사, 1993).
신섭중, “한국사회복장제도의 과제와 발전방향,” 한림과학원 편, <신한국의 정책 과제>, (서울: 나남, 1993).
이정호 외,“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정부와 민간단체의 사회복지기능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0.
이창호, “각국의 공동모금,” 이웃돕기운동본부추진협의회, 1994.
이혜경,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경실련 사회복지 심포지엄, 1994.
장인협, 이정호 공저, <사회복지행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정기원 외, “사회복지사업기금 운영개선을 위한 공동모금제도의 도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주성수, “국제화, 민주화, 사회복지 -- 한국 사회복지의 국제 경쟁력,” 경실련 사회복지심포지엄, 1994.
최성재, 남기민 공저,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 1993).
최일섭,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정책의 과제,” ‘93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93.
최항순, <복지행정론>, (서울: 신원문화사, 1993).
Friedlander, W.A. and R.Z. Apte,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Gilbert N. and H. Spech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4).
International Monetary Fund,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Yearbook, (IMF, 1993).
Mishra, M., The Welfare State, (London: Longman, 1970).
Robson, W.,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London: George and Allen, 1976).
Romanyshyn, J,M., Social Welfare: Charity to Justice, (N.Y.: Random House, 1971).
Wilensky, H.L.,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World Bank, The World Bank Atlas 1994, (Washington, D.C., 1994).
이와 같은 민간참여 활성화는 주민들의 연대의식과 공동체의식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정치민주화와 함께 경제발전과 복지가 상호보완으로 상승효과를 이루는 복지사회를 건설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참고 문 헌>
김태성, 성경륭 공저,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 1993).
서상목 외,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 개선방향,” 한국개발연구원, 1988.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법문사, 1993).
신섭중, “한국사회복장제도의 과제와 발전방향,” 한림과학원 편, <신한국의 정책 과제>, (서울: 나남, 1993).
이정호 외,“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정부와 민간단체의 사회복지기능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0.
이창호, “각국의 공동모금,” 이웃돕기운동본부추진협의회, 1994.
이혜경,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경실련 사회복지 심포지엄, 1994.
장인협, 이정호 공저, <사회복지행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정기원 외, “사회복지사업기금 운영개선을 위한 공동모금제도의 도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주성수, “국제화, 민주화, 사회복지 -- 한국 사회복지의 국제 경쟁력,” 경실련 사회복지심포지엄, 1994.
최성재, 남기민 공저,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 1993).
최일섭,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정책의 과제,” ‘93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93.
최항순, <복지행정론>, (서울: 신원문화사, 1993).
Friedlander, W.A. and R.Z. Apte,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Gilbert N. and H. Spech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4).
International Monetary Fund,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Yearbook, (IMF, 1993).
Mishra, M., The Welfare State, (London: Longman, 1970).
Robson, W.,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London: George and Allen, 1976).
Romanyshyn, J,M., Social Welfare: Charity to Justice, (N.Y.: Random House, 1971).
Wilensky, H.L.,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World Bank, The World Bank Atlas 1994, (Washington, D.C., 1994).
추천자료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행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의 현황과 과제
미국 지방자치단체 노인복지정책 실태와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시사점
사회복지 행정론(지방분권화와 사회복지정책)
저출산시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아동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
참여정부(노무현정부)의 신자유주의정책, 사회복지정책, 참여정부(노무현정부)의 노동정책, ...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노동정책, 탈빈곤정책, 노무현정부(참여정부) 기초생활보장정책, 사...
지역사회 주민들이 직접 지방자치에 참여하는 사례를 2가지 이상 조사하여 제출.
[사회복지개론] 제도적 완경의 변화(사회복지실천 현장) - 분권화와 지방화, 공공복지 전달체...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전달체계 중 중앙정부 전달체계와 지방정부 전달체계에 대해 설...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단위로 하여 독거노인의 실태와 이들을 위한 지방자치단체가 실...
사회복지 재정분권이 갖는 의미와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 행정은 사회복지서비스 중심축이 중앙으로부터 지방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