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회사소개
2. VISION & MISSION
3. 사 업 분 야
4. 회 사 연 혁
5. SWOT ANALYSIS
(1) S(내부강점)
(2) W(내부약점)
(3) O(외부기회)
(4) T(외부위협)
6. STP ANALYSIS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표적시장의 선정
(3) Positioning
7. 5FORCE ANALYSIS
(1) 잠재적 진출기업
(2) 공급자 교섭력
(3) 구매자 교섭력
(4) 산업내 기존 기업들간 경쟁
(5) 대체품 위협
8. 다가온 위기
9. 위기의 극복
10. 성공요인
11. 위험요인
12. 방향성, 개선노력
13. 결 론
14. 참고문헌
2. VISION & MISSION
3. 사 업 분 야
4. 회 사 연 혁
5. SWOT ANALYSIS
(1) S(내부강점)
(2) W(내부약점)
(3) O(외부기회)
(4) T(외부위협)
6. STP ANALYSIS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2) Targeting 표적시장의 선정
(3) Positioning
7. 5FORCE ANALYSIS
(1) 잠재적 진출기업
(2) 공급자 교섭력
(3) 구매자 교섭력
(4) 산업내 기존 기업들간 경쟁
(5) 대체품 위협
8. 다가온 위기
9. 위기의 극복
10. 성공요인
11. 위험요인
12. 방향성, 개선노력
13. 결 론
14. 참고문헌
본문내용
철저히 분석
: 강사의 질과 최고품질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술력
: 가격과 콘텐츠의 질
7. 5FORCE ANALYSIS
- 잠재적 진출기업
: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수많은 기업이 진입과 퇴출을 반복하고 있다.
큐박스 ( www. qbox. co. kr)
- 공급자 교섭력
: 소수의 스타 강사들은 매우 높은 파워를 지니고 있고 그러한 강사들이 실질적으로
구매자들을 끌어들인다고 할 수 있다.
- 구매자 교섭력
: 전환 비용이 낮기 때문에 언제든지 좋은 쪽으로 몰릴 수 있다.
: 구전에 의한 홍보효과의 영향으로 전환 가능
: 현재 일부 강의에 공급 효과
- 산업내 기존 기업들간 경쟁
: EBS I
: YBM 시사닷컴
: 능률교육
: 에듀박스, 이투스
- 대체품 위협
: 오프라인 기반의 사교육 학원이나 과외, 학교수업
: EBS로 대표되는 방송교육, 재능교육 등 다양한 방송교육
8. 다가온 위기
- 교육부의 “2.17 사교육비 경감대책”
EBS강의의 수능반영율 크게 상승
EBS의 전국적인 무료강의
-> 교육부에서 발표한 "2004년 2.17 사교육비 경감대책"은 평소에 사교육이란 말의 '사'자를 떼어내는 게 꿈이라던 손주은 사장이 '사'자라는 글자를 가장 긍정해야 할 만큼 커다란 위기였다. 사교육을 위해 가장 치열하게 싸워야 하는 순간이었다.
게다가 교육부에서는 그 대책의 일환으로서 교육방송(EBS)띄워주기를 선택했다.
본래 무료로 서비스 되는 교육 방송을 공교육화 하겠다는 것이었다. 회사의 매출이 떨어질 것은 뻔한 결과였다. 더구나 구축해 둔 E-Learing 의 체제가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한 순간에 고사 될 위기였다. 교육방송의 방송 내용을 수능에 출제하겠다는 방침은, 자칫 잘못하면 교육 방송 이외의 모든 온라인 교육 및 오프라인 교육을 무용지물로 만들 위험성
이 있었다. 이러한 걱정들에 대한 결과가 곧 현실이 되어 나타났다. 2.17 대책 이후 메가스
터디의 주가는 날이 갈수록 떨어져 갔고 매출 상승률도 눈에 띄게 하락해갔다.
9. 위기의 극복
- EBS 방송 맞춤 강의 개발 (역으로 이용)
: 메가스터디의 여러 전문 강사들은 수능이 출제되는 범위인 EBS 교육방송의 수업 내용을 다시 학원에서의 수업내용으로 잡아, 강의내용을 EBS 교육방송의 수업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하였다.
- 직영학원의 지점별 기능 분화 및 특성화된 서비스제공
- 더욱 막강한 최고의 강사 대거 영입
: 대한 민국을 통틀어서 최고의 강사라 할 수 있는 강사들을 모조리 영입시켜 최고의 강사를 만나려면 메가스터디 학원을 찾지 않으면 안되도록 하였다. 인재영입에 돈을 아끼지 않은 것 이다.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강사들의 대열이 EBS로 인해 흐트러 지지 않은 것은 물론, 오히려 EBS의 최고강사 5명을 영입에 성공한다.
=> '책은 EBS것을 사고, 강의는 메가스터디에서 듣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 성공
- 손주은 사장의 신념
10. 성공요인
: 인터넷 환경의 급속적인 발전을 캐치
: e-러닝과 e-비지니스 환경변화에 알맞은 사업 방향을 설정
(1) 우수한 Contents
- 지금까지 독주하고 있는 비결 ‘콘텐츠의 질적인 차이’ : 우수한 강사의 확보
- 질좋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
- 학생 관리 시스템 구축 : 통합 컨텍센터(고객 관리 시스템)
(2) 저렴한 가격
- 오프라인 학원들과의 상대적비교 : 저렴함은 구매력 향상시키는 요소
(3) 뛰어난 접근성
-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접근에 제약없이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음
- ‘환경 분석’ 차원에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
(4) 강사들끼리의 경쟁체제
- 경쟁 : 자본주의를 존재하게 하고, 그것을 성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
- 강사 수입 시스템 : ‘실적’에 따라 분배, 철저한 실력중심의 강사들이 많은 수입
- 공교육시스템, 공영방송과의 차이점
11. 위험요인
(1) P2P 파일공유
- 강의를 녹화, 동영상 파일로 만들어 불법 CD로 만들어 판매
- 개개인으로 연결되는 P2P파일 전송방식으로 불법적으로 이용
-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 더 큰 문제
(2) ID 공유
- 한 개인의 아이디를 다른 사람과 공유 : 강의 컨텐츠를 이용
- IP추적으로 여러 군데에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 약간의 효과
-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음
12. 방향성, 개선노력
(1) 사업의 다각화
- 입시 분야 외 사업을 다각화 하여 그 분야를 넓혀 가고자 함.
-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자들이 많다는 것을 미리 인식
- 틈새시장을 노릴수 있는 새로운 컨텐츠의 개발,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공
- 상황과 시장을 철저히 분석하여 사업다각화를 꾀해야 할 것임.
(2) 사회 공헌의 마케팅 확대
- 기업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시켜야 한다는 인식은 이미 보편화
- 메가스터디는 이미 많은 사회 공헌
- 이러한 활동들이 계속 유지, 확대 되어야 함
(3) 전망(앞으로 계속 성장할 것인가?)
- 자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수평화, 수직화를 통해 사업 영역 확대
- Leading Education Service Provider : 온라인 교육 포탈 지향
- 시장의 매력도, 기업 자원의 충분 여부를 항상 염두
- 이러닝 산업은 지식산업교육산업 : 좋은 강사의 공급이 기본적인 성장 동력
13. 결 론
◇ 메가스터디 비전 : Leading Education Service Provider
◇ 사업영역과 브랜드의 확장을 시도
◇ 컨텐츠의 질과 가격경쟁력, 앞서가는 기술력, 앞선 마케팅 전략
→ e-러닝, e-비지니스 환경변화에 적응하며 시장과 환경을 주도해 나갈 것.
14. 참고문헌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www.megastudy.net
*이투스 홈페이지, www.etoos.com
*㈜써치 스테이션의 우수기업탐방 인터뷰 자료 (2003.05.22)
*e러닝 신화창조 주역 손주은 메가스터디 사장, 전자신문
*온라인 입시사이트 `뭉쳐야 산다` 서울경제 (2005-02-16)
*이투스, 학습관리 시스템 서비스 실시, 한국경제TV (2004-05-07)
*스타강사 비결? 싱크탱크에 물어봐!, 한국경제(2005-05-22)
: 강사의 질과 최고품질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술력
: 가격과 콘텐츠의 질
7. 5FORCE ANALYSIS
- 잠재적 진출기업
: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수많은 기업이 진입과 퇴출을 반복하고 있다.
큐박스 ( www. qbox. co. kr)
- 공급자 교섭력
: 소수의 스타 강사들은 매우 높은 파워를 지니고 있고 그러한 강사들이 실질적으로
구매자들을 끌어들인다고 할 수 있다.
- 구매자 교섭력
: 전환 비용이 낮기 때문에 언제든지 좋은 쪽으로 몰릴 수 있다.
: 구전에 의한 홍보효과의 영향으로 전환 가능
: 현재 일부 강의에 공급 효과
- 산업내 기존 기업들간 경쟁
: EBS I
: YBM 시사닷컴
: 능률교육
: 에듀박스, 이투스
- 대체품 위협
: 오프라인 기반의 사교육 학원이나 과외, 학교수업
: EBS로 대표되는 방송교육, 재능교육 등 다양한 방송교육
8. 다가온 위기
- 교육부의 “2.17 사교육비 경감대책”
EBS강의의 수능반영율 크게 상승
EBS의 전국적인 무료강의
-> 교육부에서 발표한 "2004년 2.17 사교육비 경감대책"은 평소에 사교육이란 말의 '사'자를 떼어내는 게 꿈이라던 손주은 사장이 '사'자라는 글자를 가장 긍정해야 할 만큼 커다란 위기였다. 사교육을 위해 가장 치열하게 싸워야 하는 순간이었다.
게다가 교육부에서는 그 대책의 일환으로서 교육방송(EBS)띄워주기를 선택했다.
본래 무료로 서비스 되는 교육 방송을 공교육화 하겠다는 것이었다. 회사의 매출이 떨어질 것은 뻔한 결과였다. 더구나 구축해 둔 E-Learing 의 체제가 정부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한 순간에 고사 될 위기였다. 교육방송의 방송 내용을 수능에 출제하겠다는 방침은, 자칫 잘못하면 교육 방송 이외의 모든 온라인 교육 및 오프라인 교육을 무용지물로 만들 위험성
이 있었다. 이러한 걱정들에 대한 결과가 곧 현실이 되어 나타났다. 2.17 대책 이후 메가스
터디의 주가는 날이 갈수록 떨어져 갔고 매출 상승률도 눈에 띄게 하락해갔다.
9. 위기의 극복
- EBS 방송 맞춤 강의 개발 (역으로 이용)
: 메가스터디의 여러 전문 강사들은 수능이 출제되는 범위인 EBS 교육방송의 수업 내용을 다시 학원에서의 수업내용으로 잡아, 강의내용을 EBS 교육방송의 수업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하였다.
- 직영학원의 지점별 기능 분화 및 특성화된 서비스제공
- 더욱 막강한 최고의 강사 대거 영입
: 대한 민국을 통틀어서 최고의 강사라 할 수 있는 강사들을 모조리 영입시켜 최고의 강사를 만나려면 메가스터디 학원을 찾지 않으면 안되도록 하였다. 인재영입에 돈을 아끼지 않은 것 이다.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강사들의 대열이 EBS로 인해 흐트러 지지 않은 것은 물론, 오히려 EBS의 최고강사 5명을 영입에 성공한다.
=> '책은 EBS것을 사고, 강의는 메가스터디에서 듣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 성공
- 손주은 사장의 신념
10. 성공요인
: 인터넷 환경의 급속적인 발전을 캐치
: e-러닝과 e-비지니스 환경변화에 알맞은 사업 방향을 설정
(1) 우수한 Contents
- 지금까지 독주하고 있는 비결 ‘콘텐츠의 질적인 차이’ : 우수한 강사의 확보
- 질좋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
- 학생 관리 시스템 구축 : 통합 컨텍센터(고객 관리 시스템)
(2) 저렴한 가격
- 오프라인 학원들과의 상대적비교 : 저렴함은 구매력 향상시키는 요소
(3) 뛰어난 접근성
-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접근에 제약없이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음
- ‘환경 분석’ 차원에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
(4) 강사들끼리의 경쟁체제
- 경쟁 : 자본주의를 존재하게 하고, 그것을 성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
- 강사 수입 시스템 : ‘실적’에 따라 분배, 철저한 실력중심의 강사들이 많은 수입
- 공교육시스템, 공영방송과의 차이점
11. 위험요인
(1) P2P 파일공유
- 강의를 녹화, 동영상 파일로 만들어 불법 CD로 만들어 판매
- 개개인으로 연결되는 P2P파일 전송방식으로 불법적으로 이용
-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 더 큰 문제
(2) ID 공유
- 한 개인의 아이디를 다른 사람과 공유 : 강의 컨텐츠를 이용
- IP추적으로 여러 군데에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로 약간의 효과
-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음
12. 방향성, 개선노력
(1) 사업의 다각화
- 입시 분야 외 사업을 다각화 하여 그 분야를 넓혀 가고자 함.
-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자들이 많다는 것을 미리 인식
- 틈새시장을 노릴수 있는 새로운 컨텐츠의 개발,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공
- 상황과 시장을 철저히 분석하여 사업다각화를 꾀해야 할 것임.
(2) 사회 공헌의 마케팅 확대
- 기업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시켜야 한다는 인식은 이미 보편화
- 메가스터디는 이미 많은 사회 공헌
- 이러한 활동들이 계속 유지, 확대 되어야 함
(3) 전망(앞으로 계속 성장할 것인가?)
- 자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수평화, 수직화를 통해 사업 영역 확대
- Leading Education Service Provider : 온라인 교육 포탈 지향
- 시장의 매력도, 기업 자원의 충분 여부를 항상 염두
- 이러닝 산업은 지식산업교육산업 : 좋은 강사의 공급이 기본적인 성장 동력
13. 결 론
◇ 메가스터디 비전 : Leading Education Service Provider
◇ 사업영역과 브랜드의 확장을 시도
◇ 컨텐츠의 질과 가격경쟁력, 앞서가는 기술력, 앞선 마케팅 전략
→ e-러닝, e-비지니스 환경변화에 적응하며 시장과 환경을 주도해 나갈 것.
14. 참고문헌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www.megastudy.net
*이투스 홈페이지, www.etoos.com
*㈜써치 스테이션의 우수기업탐방 인터뷰 자료 (2003.05.22)
*e러닝 신화창조 주역 손주은 메가스터디 사장, 전자신문
*온라인 입시사이트 `뭉쳐야 산다` 서울경제 (2005-02-16)
*이투스, 학습관리 시스템 서비스 실시, 한국경제TV (2004-05-07)
*스타강사 비결? 싱크탱크에 물어봐!, 한국경제(2005-05-22)
추천자료
SAMSUNG VS SONY 조직문화 비교 - 삼성소니_조직과환경,SAMSUNG VS SONY,삼성의 성공요인과 ...
소비자 행동 관점에서의 싸이 월드 분석 - 성공전략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 (SK Communic...
[마케팅원론] CRM의 정의와 동향을 알아보고, CRM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통해 실패원인...
[중소기업ERP]중소기업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중소기업ERP)의 의의, 중소기업 전사적 자원관...
리엔케이(Re:NK) 브랜드 확장인가?, 개별 브랜드인가? (Re:NK 소개와 성과, Re:NK 성공요인과...
BMW 해외직접투자 사례연구 (기업선정이유, 기업 소개, BMW 현황, BMW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BMW 해외직접투자 사례연구보고서 (기업선정이유, BMW 기업소개, BMW 현황, BMW의 성공요인과...
세계 최대의 SNS, 페이스북 (FACEBOOK) 경영철학, CEO 마크 저커버그, 성공요인, 성공전략, ...
<사우스 웨스트 항공 (Southwest Airline) VS 컨티넨털 항공 (Continental Airline)> 사우스 ...
[조직재생과 조직활성화전략] 조직재생 성공사례(영국항공, 필립스전자 사례), 조직재생과 활...
광동제약의 다각화 성공 전략 (다각화 목적 및 과정, 광동제약 산업분석, GE 매트릭스, SWOT ...
한국콜마(Kolmar) 마케팅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콜마 기업분석과 SWOT, 4P전략분석 및 한국콜마...
(영상제작입문 공통) 국내 1인 미디어 현황과 성공 사례를 조사하고 성공요인을 분석하시오
경영전략론)대형할인점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구조분석을 수행하여 산업의 매력도를 판단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