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선정이유
2. 기업 소개
3. BMW 현황
4. BMW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5. BMW 경영전략
6. 참고문헌
2. 기업 소개
3. BMW 현황
4. BMW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5. BMW 경영전략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효과를 보여주지 못해 몇몇 차량에서 모든 국가의 시장에서 실패한 것은 아니지만 일부 국가에서 실패한 사례가 있다.
2)환율경영의 실패
BMW 코리아는 100억 손실을 기록한 적이 있다. 사상 최대의 실적을 낸 BMW코리아는 장부상으로는 손실을 기록했다. 그 원인은 환율 경영 실패였다. 환율 예측을 잘못 하여 환 헤지 전략을 잘못 세워서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사례가 있다.
3)애매한 컨셉트
BMW는 매년 새로운 컨셉으로 컨셉트카를 만들어 세계에서 개최하는 모터쇼에 BMW의 제품컨셉을 선보이는데 매번 좋은 반응만 나올 수 는 없다. 너무 시대를 앞서가는 컨셉이나 뭐라 하기 애매한 컨셉트로 시장에서 선택을 못 받는 경우도 많았다.
5.BMW 경영전략과 향후경영전략
1)경영전략
세계적인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 BMW는 늘 똑같은 고민과 싸워 왔다. BMW는 1916년 독일 내수시장 공략을 위해 경쟁했지만 2011년에는 83%에 달하는 차량을 해외에서 팔았다. 내수시장만 공략할 때보다 회사의 외형은 커졌지만 환율 변동으로 가만히 앉아서 지켜봐야 하는 손실도 늘어났다. 독일에서 생산되는 차량을 프랑스 스페인 등 같은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내에서 판매할 때는 환리스크가 발생할 일이 없었다. 그러나 중국과 미국, 영국 시장이 커지면서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영국 파운드화 리스크가 매번 생겨났다.
BMW가 2005~2009년 환율 변동으로 입은 손실은 총 24억유로(약 3조4000억원)에 달했다. 웬만한 대기업 연간 매출에 이르는 금액이 환율 변동으로 사라진 것이다. BMW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환 헤지 방법을 찾기 위해 서둘러 대책 수립에 나섰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첫 번째 방법이 단기 처방과 중장기 처방을 함께 구사하는 것이었다. 보통 기업은 원ㆍ달러 환율이 1100원에서 1000원으로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500달러의 물건을 500개 팔 때 총 2억7500만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가 같은 물건을 똑같이 팔아도 2억5000만원으로 줄어들어 2500만원의 손실분을 만회하기위해 현지에서 가격을 올려 환율 손실분을 상쇄시키려는 유혹에 빠지게 된다.
BMW도 물론 이 방법을 알고 있었지만 환율 변동을 이유로 자동차 가격을 올리게 되면 고객들의 반발을 불러와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 역시 잘 알았다. 또한 BMW는 루이비통과 달리 벤츠ㆍ아우디ㆍ렉서스 등 더 강력한 경쟁자들과 더 치열하게 싸워야 했다. 게다가 BMW의 경쟁자 포르쉐는 1980년대 미국 시장에서 가격 인상 방식으로 환율 손실분을 메웠다가 오히려 시장점유율이 줄어드는 역풍을 맞았다.
BMW의 중장기적 환리스크 전략은 바로 '자연 헤지(Natural Hedge)'다. 환리스크 관리를 위해 세계 최초로 자국이 아닌 해외에 공장을 짓는 첫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가 되기로 한 것이다. 미국에서 달러를 기반으로 생산해 달러로 가격을 매긴 뒤 달러로 팔면 유로ㆍ달러 환율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BMW는 독일ㆍ중국ㆍ미국ㆍ인도 외에 총 14개국으로 생산기지를 늘려갔다.
동시에 단기 환리스크 전략으로는 미국ㆍ영국ㆍ싱가포르 등 주요 금융허브에 재무센터를 설치하여 각국 재무센터는 환율 변동 폭에 대해 독일 뮌헨에 위치한 본사 재무센터에 매주 보고하게 하는 것이다. BMW 본사 재무센터는 이 환율 흐름을 분석해 예전보다 환리스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방법은 환리스크 관리를 투자자들의 중요 지표로 삼는 것이다. 환리스크 관리는 투자자들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지표로 반영된다. 자신이 투자한 돈이 잘못된 환리스크 관리로 앉은 자리에서 날아가는 것을 가만히 지켜볼 주주들은 없을 것이다. 노르베르트 라이트호퍼 BMW그룹 회장이 2011년 자사 연간보고서에 주주들을 향해 남긴 3페이지 분량의 글에서도 환리스크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라이트호퍼 BMW 회장은 바로 첫 페이지에서 자사가 얼마나 환리스크를 잘 관리하고 있는지 강조하고 있다.
라이트호퍼 회장은 "유럽 미국과 아시아의 균형된 성장이 중요하다"며 "이것은 매우 변동성이 심한 경영 환경에서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BMW는 국제 생산성의 높은 유연성을 위해 14개국 25곳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다"며 "2012년 중국 톄시(鐵西)에 공장을 열 것"이라고 적었다.
BMW가 2012년 벤츠를 앞질러 영업이익 1위를 달성했다. BMW가 영업이익이 높은 이유는 국내 대중자동차 기업의 판매방식인 ‘박리다매’식 전략보다 판매대수보다 이익률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가격전략을 펼쳤기 때문이다.
2)향후경영전략
(1)콜라보레이션 전략(Collaboration)
BMW는 지속적인 경영으로 자동차기업을 유지하려면 끊임없이 노력하여 발전하여야 한다. BMW는 자동차성능도 중요하지만 차별한 디자인도 요구되는 현대에는 디자인 기술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여 다른 동종업계들과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그 중 한 전략으로 다른 이종업계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하여 생각의 틀을 바꾼 차를 개발하는것이다. 지금도 콜라보레이션은 쓰이고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에서는 디자인면에서만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사용하여 패션업계의 디자인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사례가 있는데, 패션업계에서 나아가 다른 이종업계에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 그것을 실현해 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친환경 전략
앞으로는 환경과 관련된 산업이나 법률 정책 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도 환경법률 하나하나가 제정되면서 기업들의 발목을 막기도 한다. BMW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자동차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발목을 잡기 전에 BMW는 친환경 R&D에 아낌없이 투자하여 환경오염에 기여하지 않는 자동차를 만들어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고 나아가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기업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6.참고문헌
1.서울경제신문
2.환경건설일보
3.파이낸셜 뉴스
4.헤럴드경제
5.한경비지니스
6.조선일보
7.중앙일보경제
8.매일경제
9.삼성 경제연구소
10.한국무역협회
11.한국수입자동차협회
12.아주경제
2)환율경영의 실패
BMW 코리아는 100억 손실을 기록한 적이 있다. 사상 최대의 실적을 낸 BMW코리아는 장부상으로는 손실을 기록했다. 그 원인은 환율 경영 실패였다. 환율 예측을 잘못 하여 환 헤지 전략을 잘못 세워서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사례가 있다.
3)애매한 컨셉트
BMW는 매년 새로운 컨셉으로 컨셉트카를 만들어 세계에서 개최하는 모터쇼에 BMW의 제품컨셉을 선보이는데 매번 좋은 반응만 나올 수 는 없다. 너무 시대를 앞서가는 컨셉이나 뭐라 하기 애매한 컨셉트로 시장에서 선택을 못 받는 경우도 많았다.
5.BMW 경영전략과 향후경영전략
1)경영전략
세계적인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 BMW는 늘 똑같은 고민과 싸워 왔다. BMW는 1916년 독일 내수시장 공략을 위해 경쟁했지만 2011년에는 83%에 달하는 차량을 해외에서 팔았다. 내수시장만 공략할 때보다 회사의 외형은 커졌지만 환율 변동으로 가만히 앉아서 지켜봐야 하는 손실도 늘어났다. 독일에서 생산되는 차량을 프랑스 스페인 등 같은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내에서 판매할 때는 환리스크가 발생할 일이 없었다. 그러나 중국과 미국, 영국 시장이 커지면서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영국 파운드화 리스크가 매번 생겨났다.
BMW가 2005~2009년 환율 변동으로 입은 손실은 총 24억유로(약 3조4000억원)에 달했다. 웬만한 대기업 연간 매출에 이르는 금액이 환율 변동으로 사라진 것이다. BMW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환 헤지 방법을 찾기 위해 서둘러 대책 수립에 나섰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첫 번째 방법이 단기 처방과 중장기 처방을 함께 구사하는 것이었다. 보통 기업은 원ㆍ달러 환율이 1100원에서 1000원으로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500달러의 물건을 500개 팔 때 총 2억7500만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가 같은 물건을 똑같이 팔아도 2억5000만원으로 줄어들어 2500만원의 손실분을 만회하기위해 현지에서 가격을 올려 환율 손실분을 상쇄시키려는 유혹에 빠지게 된다.
BMW도 물론 이 방법을 알고 있었지만 환율 변동을 이유로 자동차 가격을 올리게 되면 고객들의 반발을 불러와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 역시 잘 알았다. 또한 BMW는 루이비통과 달리 벤츠ㆍ아우디ㆍ렉서스 등 더 강력한 경쟁자들과 더 치열하게 싸워야 했다. 게다가 BMW의 경쟁자 포르쉐는 1980년대 미국 시장에서 가격 인상 방식으로 환율 손실분을 메웠다가 오히려 시장점유율이 줄어드는 역풍을 맞았다.
BMW의 중장기적 환리스크 전략은 바로 '자연 헤지(Natural Hedge)'다. 환리스크 관리를 위해 세계 최초로 자국이 아닌 해외에 공장을 짓는 첫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가 되기로 한 것이다. 미국에서 달러를 기반으로 생산해 달러로 가격을 매긴 뒤 달러로 팔면 유로ㆍ달러 환율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BMW는 독일ㆍ중국ㆍ미국ㆍ인도 외에 총 14개국으로 생산기지를 늘려갔다.
동시에 단기 환리스크 전략으로는 미국ㆍ영국ㆍ싱가포르 등 주요 금융허브에 재무센터를 설치하여 각국 재무센터는 환율 변동 폭에 대해 독일 뮌헨에 위치한 본사 재무센터에 매주 보고하게 하는 것이다. BMW 본사 재무센터는 이 환율 흐름을 분석해 예전보다 환리스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방법은 환리스크 관리를 투자자들의 중요 지표로 삼는 것이다. 환리스크 관리는 투자자들에게도 상당히 중요한 지표로 반영된다. 자신이 투자한 돈이 잘못된 환리스크 관리로 앉은 자리에서 날아가는 것을 가만히 지켜볼 주주들은 없을 것이다. 노르베르트 라이트호퍼 BMW그룹 회장이 2011년 자사 연간보고서에 주주들을 향해 남긴 3페이지 분량의 글에서도 환리스크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라이트호퍼 BMW 회장은 바로 첫 페이지에서 자사가 얼마나 환리스크를 잘 관리하고 있는지 강조하고 있다.
라이트호퍼 회장은 "유럽 미국과 아시아의 균형된 성장이 중요하다"며 "이것은 매우 변동성이 심한 경영 환경에서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BMW는 국제 생산성의 높은 유연성을 위해 14개국 25곳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다"며 "2012년 중국 톄시(鐵西)에 공장을 열 것"이라고 적었다.
BMW가 2012년 벤츠를 앞질러 영업이익 1위를 달성했다. BMW가 영업이익이 높은 이유는 국내 대중자동차 기업의 판매방식인 ‘박리다매’식 전략보다 판매대수보다 이익률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가격전략을 펼쳤기 때문이다.
2)향후경영전략
(1)콜라보레이션 전략(Collaboration)
BMW는 지속적인 경영으로 자동차기업을 유지하려면 끊임없이 노력하여 발전하여야 한다. BMW는 자동차성능도 중요하지만 차별한 디자인도 요구되는 현대에는 디자인 기술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여 다른 동종업계들과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그 중 한 전략으로 다른 이종업계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하여 생각의 틀을 바꾼 차를 개발하는것이다. 지금도 콜라보레이션은 쓰이고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에서는 디자인면에서만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사용하여 패션업계의 디자인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사례가 있는데, 패션업계에서 나아가 다른 이종업계에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 그것을 실현해 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친환경 전략
앞으로는 환경과 관련된 산업이나 법률 정책 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도 환경법률 하나하나가 제정되면서 기업들의 발목을 막기도 한다. BMW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자동차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발목을 잡기 전에 BMW는 친환경 R&D에 아낌없이 투자하여 환경오염에 기여하지 않는 자동차를 만들어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끌고 나아가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기업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6.참고문헌
1.서울경제신문
2.환경건설일보
3.파이낸셜 뉴스
4.헤럴드경제
5.한경비지니스
6.조선일보
7.중앙일보경제
8.매일경제
9.삼성 경제연구소
10.한국무역협회
11.한국수입자동차협회
12.아주경제
추천자료
유한 킴벌리의 유통 혁신 성공 사례, 과정, 성공요인, 문제점 및 개선사항
우리나라의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성공사례와 성공요인
한국, 일본의 모바일 커머스 유형, 수익모델, 성공사례 및 성공요인
맥도날드의성공요인과 마케팅사례
이랜드의_성공요인_분석과_나아갈_방향
삼성, 소니, 심비오틱 마케팅(Symbiotic Marketing)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
네이버(Naver) 분석, 성공요인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등, 네이버란, 산업분석, 자사분석, ...
[중소기업 성공][중소기업][성공][중소기업 성공요인][중소기업 성공조건][중소기업 성공사례...
종묘를 통해 알아본 다각화 전략 (종묘에 대한 개략적 고찰, 다각화 전략의 개념, 성공요인, ...
인터넷창업(온라인창업)의 특징, 인터넷창업(온라인창업)의 사업분야, 인터넷창업(온라인창업...
코스맥스(Cosmax)의 글로벌화 성공요인 분석
코스트코홀세일(Costco Wholesale) - 한국시장의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요인 [빌게이츠의 성공요인],성공의 요인 3가지
SPA브랜드 : SPA브랜드의 성공요인과 마케팅 전략 ; SPA브랜드의 장점과 특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