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1) 동아시아 문화권의 탄생
2)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
3) 우리 나라와 일본의 발전 과정
2. 아시아 사회의 변화와 근대적 성장
1) 유럽의 침략과 아시아의 근대화
2) 동아시아의 근대화
1) 동아시아 문화권의 탄생
2)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
3) 우리 나라와 일본의 발전 과정
2. 아시아 사회의 변화와 근대적 성장
1) 유럽의 침략과 아시아의 근대화
2) 동아시아의 근대화
본문내용
여전히 소수의 만주족이 권력을 독점하고, 유교적인 전통을 고수한 채 서양 기술을 받아들였을 뿐 개혁의 성과는 미미하였다.
중국의 혼란
청일전쟁에서 패한 청은 여러 나라의 침략을 받아 어려움을 겪었다. 여러 지역이 외국에 점령당하고, 많은 경제적 이권이 외국에 넘어갔으며, 외국 상품들이 물밀 듯이 들어왔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는 모습은 다양하였다.
캉 유웨이를 중심으로 한 지식 계층은 정치 개혁을 주장하면서 변법자강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에 불안을 느낀 보수 세력과 만주족의 반발로 좌절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민중의 반외세 운동이 크게 일어났다. 초기에는 크리스트 교의 침투에 반대하여 중국의 전통을 지키려는 운동으로 전개되었지만, 점차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전면적인 반대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민중의 반외세 운동은 의화단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의화단 운동이 실패한 후, 중국을 구하기 위해서는 청을 타도해야 한다는 이들이 늘어났다. 이들은 혁명 단체를 조직하였으며, 1905년 중국 혁명 동맹회로 통합되어 쑨 원의 삼민주의를 채택하였다.
우리 나라와 일본의 근대화 운동
서양과의 전쟁에서 중국이 패하자 우리 나라와 일본도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다. 조선은 서양인들의 통상 요구를 거절하고, 프랑스와 미국의 공격을 물리쳤다. 이 때 서양과의 통상을 반대하는 주장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서양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국력을 길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었다.
일본의 에도 막부도 서양과의 통상 교섭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으로 1854년 미·일 화친 조약을 맺었다. 이에 막부에 반대하는 세력이 정권을 잡고 막부 체제를 무너뜨렸다. 국력 강화의 필요성을 느낀 새 정부는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이를 메이지 유신이라고 한다.
조선은 일본의 강요로 1876년 강화도 조약을 맺으면서 외국과의 통상 교류를 시작하였다. 이후 서양과 교류를 확대하면서 선진 문물을 도입하고, 전통 사회를 개혁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간섭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 때, 농민들과 동학 교도들이 신분제 폐지, 토지 균등 분배 등의 근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켰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본격적으로 조선과 중국을 침략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은 남하 정책을 추진하던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이후 일본은 강제로 조선의 주권을 빼앗고 본격적인 침략을 시작하였다.
중국의 혼란
청일전쟁에서 패한 청은 여러 나라의 침략을 받아 어려움을 겪었다. 여러 지역이 외국에 점령당하고, 많은 경제적 이권이 외국에 넘어갔으며, 외국 상품들이 물밀 듯이 들어왔다.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는 모습은 다양하였다.
캉 유웨이를 중심으로 한 지식 계층은 정치 개혁을 주장하면서 변법자강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에 불안을 느낀 보수 세력과 만주족의 반발로 좌절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민중의 반외세 운동이 크게 일어났다. 초기에는 크리스트 교의 침투에 반대하여 중국의 전통을 지키려는 운동으로 전개되었지만, 점차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전면적인 반대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민중의 반외세 운동은 의화단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의화단 운동이 실패한 후, 중국을 구하기 위해서는 청을 타도해야 한다는 이들이 늘어났다. 이들은 혁명 단체를 조직하였으며, 1905년 중국 혁명 동맹회로 통합되어 쑨 원의 삼민주의를 채택하였다.
우리 나라와 일본의 근대화 운동
서양과의 전쟁에서 중국이 패하자 우리 나라와 일본도 위기감을 느끼게 되었다. 조선은 서양인들의 통상 요구를 거절하고, 프랑스와 미국의 공격을 물리쳤다. 이 때 서양과의 통상을 반대하는 주장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서양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국력을 길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었다.
일본의 에도 막부도 서양과의 통상 교섭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으로 1854년 미·일 화친 조약을 맺었다. 이에 막부에 반대하는 세력이 정권을 잡고 막부 체제를 무너뜨렸다. 국력 강화의 필요성을 느낀 새 정부는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이를 메이지 유신이라고 한다.
조선은 일본의 강요로 1876년 강화도 조약을 맺으면서 외국과의 통상 교류를 시작하였다. 이후 서양과 교류를 확대하면서 선진 문물을 도입하고, 전통 사회를 개혁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간섭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 때, 농민들과 동학 교도들이 신분제 폐지, 토지 균등 분배 등의 근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켰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본격적으로 조선과 중국을 침략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은 남하 정책을 추진하던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이후 일본은 강제로 조선의 주권을 빼앗고 본격적인 침략을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