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를 접속시킨다
(b) 전압계 선택 전환 스위치를 돌려 7-N로 맞춘다.
(c)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놓고 저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동기화 스위치를 닫아 3상 전력을 공급한 후 변화를 관찰한다.
(d)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e) 동기 전동기가 유도 전동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가?
(f) 전압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돌려 D.C 120[V]가 되게 조정한다.
(g)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h) 전동기가 동기 전동기로 동작하는가?
(i)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후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
(8) 그림 34-3 회로를 만든다.
(a) 전원 공급장치 1번 단자와 교류 전류계(A.C 8[A])I1의 한 단자를 접속하고 교류
전류계(A.C 8[A])I1의 다른 한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1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2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2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3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3번 단자를 접속한 후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4번, 5번, 6번 단자를 합하여 하나가 되게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1번과
2번 단자 사이에 교류 전압계(A.C 0-250[V])E1을 접속한다.
(b) 전동기 회전자 권선 7번, 8번 단자에 교류 전압계(A.C 0-250[V])E2을 접속하고
회전자 권선 스위치 S를 ON시킨다.
(c) 전원 공급장치의 1번 단자와 N단자를 전기 동력계의 두 단자에 접속한다.
(d)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동기 전동기의
최대 시동 부하를 위해).
(e) 전원 스위치를 ON시킨후 E1, E2, I1, 기동 토오크를 신속히 측정하고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실험을 10초 내에 끝내야 한다).
E1 =[V]
E2 =[V]
I1 =[A]
기동 토오크 =[1bf-in]
(f) 동기 전동기의 기동시 피상 전력을 계산하시오.
피상 전력 =[VA]
(g) 1800[r.p.m]이며 1/4[HP]에 대한 전부하 토오크를 계산하시오.
전부하 토오크 =[1bf-in]
(h) 전부하 토오크에 대한 기동 토오크의 비율을 게산하시오.
비 율 =
(i) 교류 전압 E2가 회전자 권선내에 유도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9) 그림 34-3 회로의 결선을 그대로 놓아 둔 채 전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부하를 줄인다. 동기 전동기는
회전속도에 도달하게 되며 농형 유도 전동기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유도 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a) 전동기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E2가 감소된 이유는?
[7] 연구 고찰 사항
(1) 동기 전동기를 기동시킬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2) 만일 회전자 표면에 설치한 권선을 제거한다면 동기 전동기는 그 자체로서
기동이 이루어지겠는가?
(3)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 권선을 기동할 때 외부 저항과 결선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동기 전동기의 기동 특성을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와 비교하시오.
(b) 전압계 선택 전환 스위치를 돌려 7-N로 맞춘다.
(c)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놓고 저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동기화 스위치를 닫아 3상 전력을 공급한 후 변화를 관찰한다.
(d)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e) 동기 전동기가 유도 전동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가?
(f) 전압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돌려 D.C 120[V]가 되게 조정한다.
(g)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h) 전동기가 동기 전동기로 동작하는가?
(i)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후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
(8) 그림 34-3 회로를 만든다.
(a) 전원 공급장치 1번 단자와 교류 전류계(A.C 8[A])I1의 한 단자를 접속하고 교류
전류계(A.C 8[A])I1의 다른 한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1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2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2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3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3번 단자를 접속한 후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4번, 5번, 6번 단자를 합하여 하나가 되게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1번과
2번 단자 사이에 교류 전압계(A.C 0-250[V])E1을 접속한다.
(b) 전동기 회전자 권선 7번, 8번 단자에 교류 전압계(A.C 0-250[V])E2을 접속하고
회전자 권선 스위치 S를 ON시킨다.
(c) 전원 공급장치의 1번 단자와 N단자를 전기 동력계의 두 단자에 접속한다.
(d)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동기 전동기의
최대 시동 부하를 위해).
(e) 전원 스위치를 ON시킨후 E1, E2, I1, 기동 토오크를 신속히 측정하고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실험을 10초 내에 끝내야 한다).
E1 =[V]
E2 =[V]
I1 =[A]
기동 토오크 =[1bf-in]
(f) 동기 전동기의 기동시 피상 전력을 계산하시오.
피상 전력 =[VA]
(g) 1800[r.p.m]이며 1/4[HP]에 대한 전부하 토오크를 계산하시오.
전부하 토오크 =[1bf-in]
(h) 전부하 토오크에 대한 기동 토오크의 비율을 게산하시오.
비 율 =
(i) 교류 전압 E2가 회전자 권선내에 유도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9) 그림 34-3 회로의 결선을 그대로 놓아 둔 채 전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부하를 줄인다. 동기 전동기는
회전속도에 도달하게 되며 농형 유도 전동기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유도 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a) 전동기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E2가 감소된 이유는?
[7] 연구 고찰 사항
(1) 동기 전동기를 기동시킬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2) 만일 회전자 표면에 설치한 권선을 제거한다면 동기 전동기는 그 자체로서
기동이 이루어지겠는가?
(3)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 권선을 기동할 때 외부 저항과 결선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동기 전동기의 기동 특성을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와 비교하시오.
추천자료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실험
한국주택시장의 구조와 특성 및 변화요인
[졸업작품]Buck Converter
청소년의 일탈, 비행의 종류와 그 원인
전기기기
[조직문화][조직구조]조직문화의 개념, 조직문화의 구성과 조직문화의 특성 및 조직문화의 기...
휴대폰(휴대폰산업)의 기능, 휴대폰(휴대폰산업)의 구조, 휴대폰(휴대폰산업)의 특성과 휴대...
[관광여행업][관광여행산업][관광][여행]관광여행업의 특성, 관광여행업의 분류, 관광여행업...
[모발][탈모][머리카락][털][두피][모발의 특성][모발의 구조][탈모의 원인][모발에 좋은 음...
Arc 용접 전원의 특성과 용접기의 종류 및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퇴행성관절염][관절염치료]관절염의 정의, 관절염의 구조, 관절염...
[중국 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구조,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특성, 중국공산...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 및 가족치료이론(보웬, 경험적, 인지행동주의적, 구조적, 이야기치료)
전기액츄에이터 (Electric Actu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