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 동기 전동기의 구조 및 기동 특성(사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자를 접속시킨다
(b) 전압계 선택 전환 스위치를 돌려 7-N로 맞춘다.
(c)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놓고 저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동기화 스위치를 닫아 3상 전력을 공급한 후 변화를 관찰한다.
(d)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e) 동기 전동기가 유도 전동기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가?
(f) 전압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돌려 D.C 120[V]가 되게 조정한다.
(g) 발생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h) 전동기가 동기 전동기로 동작하는가?
(i) 전압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 후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
(8) 그림 34-3 회로를 만든다.
(a) 전원 공급장치 1번 단자와 교류 전류계(A.C 8[A])I1의 한 단자를 접속하고 교류
전류계(A.C 8[A])I1의 다른 한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1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2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 2번 단자를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3번 단자와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3번 단자를 접속한 후 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4번, 5번, 6번 단자를 합하여 하나가 되게 접속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1번과
2번 단자 사이에 교류 전압계(A.C 0-250[V])E1을 접속한다.
(b) 전동기 회전자 권선 7번, 8번 단자에 교류 전압계(A.C 0-250[V])E2을 접속하고
회전자 권선 스위치 S를 ON시킨다.
(c) 전원 공급장치의 1번 단자와 N단자를 전기 동력계의 두 단자에 접속한다.
(d)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린다(동기 전동기의
최대 시동 부하를 위해).
(e) 전원 스위치를 ON시킨후 E1, E2, I1, 기동 토오크를 신속히 측정하고 전원
스위치를 OFF시킨다(*실험을 10초 내에 끝내야 한다).
E1 =[V]
E2 =[V]
I1 =[A]
기동 토오크 =[1bf-in]
(f) 동기 전동기의 기동시 피상 전력을 계산하시오.
피상 전력 =[VA]
(g) 1800[r.p.m]이며 1/4[HP]에 대한 전부하 토오크를 계산하시오.
전부하 토오크 =[1bf-in]
(h) 전부하 토오크에 대한 기동 토오크의 비율을 게산하시오.
비 율 =
(i) 교류 전압 E2가 회전자 권선내에 유도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9) 그림 34-3 회로의 결선을 그대로 놓아 둔 채 전원 스위치를 ON시킨 후 전기
동력계의 조정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부하를 줄인다. 동기 전동기는
회전속도에 도달하게 되며 농형 유도 전동기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유도 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a) 전동기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E2가 감소된 이유는?
[7] 연구 고찰 사항
(1) 동기 전동기를 기동시킬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2) 만일 회전자 표면에 설치한 권선을 제거한다면 동기 전동기는 그 자체로서
기동이 이루어지겠는가?
(3)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 권선을 기동할 때 외부 저항과 결선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동기 전동기의 기동 특성을 3상 농형 유도 전동기와 비교하시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4.2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