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모양과 구조
1. head
2. body
3. tail
Ⅱ. 기능
1. 외분비선(exocrine gland)
1) amylase
2) lipase
3) tripsin
2. 내분비선(endocrine gland) -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
1) 인슐린
※ 인슐린의 정상작용 과정
※ 인슐린 결핍현상-“당뇨병(diabetes mellitus)"
2) 글루카곤(Glucagon)
3) Somatostatin & gastrin
1. head
2. body
3. tail
Ⅱ. 기능
1. 외분비선(exocrine gland)
1) amylase
2) lipase
3) tripsin
2. 내분비선(endocrine gland) -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
1) 인슐린
※ 인슐린의 정상작용 과정
※ 인슐린 결핍현상-“당뇨병(diabetes mellitus)"
2) 글루카곤(Glucagon)
3) Somatostatin & gastrin
본문내용
ketosis를 일으켜 케톤뇨(ketonuria)가 나타난다. 또한 케톤체는 유기산이므로 혈액의 pH를 감소시켜 대사성 과산증(metaboic acidosis)을 일으킨다.
♣ 글루카곤(Glucagon)
1) 생성 및 분비
혈중 glucose 농도감소에 의해
2) 글루카곤의 작용
- insulin의 작용과 반대되는 carbohydrate, fat, protein metabolism에 영향
- 작용 장소가 liver에 국한
① actions on carbohydrate: increase in hepatic glucose production(간세포에서 글리코겐의 분해를 통해 혈당치를 증가시키며 아미노산의 이동을 촉진시켜 당 신생을 촉진)
↑ gluconeogenesis & glycogenolysis
↓ glycogen synthesis
② Actions on fat: ↑ fat breakdown, ↓ triglyceride synthesis(지방분해를 증가)
↑ hepatic ketone production
③ Actions on protein
↑ hepatic protein synthesis, ↓ degradation of hepatic protein
- no effect on blood amino acid level (단백질의 주 저장고인 muscle protei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
인슐린에 의해 감소
글루카곤에 의해 증가
간세포는 글루카곤에 대한 반응력이 인슐린에 대한 반응력보다 크므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동시에 분비되는 경우에는 간세포에서 포도당이 유리되어 나오고 이는 인슐린에 의해 골격근 세포내로 들어가게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
♣ Somatostatin
중추신경계와 췌장에서 somatostatin-14 50~90%, 위장관에서 somatostatin-28 70~75%차치.
somatostatin은 인슐린 분비작극 요인들인 포도당, 아미노산 등이 대량으로 있을 때 분비가 촉진되는데 분비된 다음 인슐린과 글루카곤, pancreatic polypeptide의 분비를 모두 억제.
somatostatin의 분비는 β세포를 자극하는 물직 등과 같은 포도당, 위장관 호르몬에 의해 증가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를 사전에 억제함으로써 급격한 저혈당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인다. δ-세포가 증식되어 somatostatin의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되면 고혈당 등의 당뇨병과 유사한 징후를 일으킴.
♣ 글루카곤(Glucagon)
1) 생성 및 분비
혈중 glucose 농도감소에 의해
2) 글루카곤의 작용
- insulin의 작용과 반대되는 carbohydrate, fat, protein metabolism에 영향
- 작용 장소가 liver에 국한
① actions on carbohydrate: increase in hepatic glucose production(간세포에서 글리코겐의 분해를 통해 혈당치를 증가시키며 아미노산의 이동을 촉진시켜 당 신생을 촉진)
↑ gluconeogenesis & glycogenolysis
↓ glycogen synthesis
② Actions on fat: ↑ fat breakdown, ↓ triglyceride synthesis(지방분해를 증가)
↑ hepatic ketone production
③ Actions on protein
↑ hepatic protein synthesis, ↓ degradation of hepatic protein
- no effect on blood amino acid level (단백질의 주 저장고인 muscle protei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
인슐린에 의해 감소
글루카곤에 의해 증가
간세포는 글루카곤에 대한 반응력이 인슐린에 대한 반응력보다 크므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 동시에 분비되는 경우에는 간세포에서 포도당이 유리되어 나오고 이는 인슐린에 의해 골격근 세포내로 들어가게 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
♣ Somatostatin
중추신경계와 췌장에서 somatostatin-14 50~90%, 위장관에서 somatostatin-28 70~75%차치.
somatostatin은 인슐린 분비작극 요인들인 포도당, 아미노산 등이 대량으로 있을 때 분비가 촉진되는데 분비된 다음 인슐린과 글루카곤, pancreatic polypeptide의 분비를 모두 억제.
somatostatin의 분비는 β세포를 자극하는 물직 등과 같은 포도당, 위장관 호르몬에 의해 증가한다.
소마토스타틴은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를 사전에 억제함으로써 급격한 저혈당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인다. δ-세포가 증식되어 somatostatin의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되면 고혈당 등의 당뇨병과 유사한 징후를 일으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