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핵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병태 생리

2. 발생 현황
국내

3. 결핵균의 특성

4. 감염 경로 및 전파
1) 관성 전파
2) 혈행성 전파
3) 림프행성 전파

5. 임상 증상

6. 진단과 검사

7. 치료

8. 예방과 간호 관리

9. 감염 관리

▶ 간호 사정 ◀
1. 간호력
2. ABGA
3. 사용된 약물
4. 간호 과정

본문내용

다.
호흡음 ; decreased
호흡양상 ; no destress
객담 색 ; yellow
객담 양 ; large
객담 양상 ; thick
이 환자분은 E-tube를 하시는데, 나날이 상태가 호전 되어서 자가호흡을 서서히 준비하기 위해 E-tube의 설정요소를 변경하였다.
12월 28일
- FIO2 ; 60 L/min
- peep ; 5
- RR ; 20
- I : E = 1:2
12월 29일
- PS(pressure spport) ; 10
-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5
- FIO2 ; 45 L/min
* FIO2(fraction of inspired oxygen)
- 산소중독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한 농도로 줄것.
peep(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호기말 양압
- 수동 호흡이 끝난후 폐에 일정한 양압을 주오 폐포의 확장을 유지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기계의 도움이 없느 SWKQKF적 호흡 동안에 respiration cycle 내내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 시키는 것. 즉, 자발적 호흡에 peep기능이 추 가된것.
weaning ; 환자가 의존해 있던 기계호흡에서 벗어나는것. ventilator을 사용하게 한 원인 질병이 안정되거나 좋아지는 것을 사정해서 단계적으로 시행함.
IMV mode RR을 줄여나감 → CPAP → 호흡기 제거하고 T-peice사용하여 ABGA 와 V/S 검사하고 환자가 호흡이 안정되면 extubation
IMV(intermitent mandantory ventilation)
- 자발적으로 숨을 쉬도록 하면서 주기적으로 기계 호흡을 시키는것. 기계적 환기와 자발적 환기를 합하여 적절한 환기. 기계적인 호흡수를 줄여나가면서 스스로의 호흡을 늘림으로 써 weaning 시도
2. ABGA
PH
PO2
PCO2
HCO3
정상치
7.35~7.45
80~100%
35~45%
22~26
12월 28일
7.314
66.5
115.7
33
3. 사용된 약물
효능
용법
부작용
금기
ceftazidime
제 3세대 cephalosprin계 항생물질
1회 0.5~2g/dose, 2~3회 분할
반점상 구진성담마진성 홍반, 발열, 오심구토, 두통, 현기증, 고미감,
cepha계에 과민환자
cycloserine
항결핵성항생물질
250mg/day
1일 2회
두통, 현기, 졸음, 진전, 우울, 정신착란, 환각, 혼수, 경련, 간질양발작, 말초신경염, 지각이상, 위장장애
정신병환자, 간질환자, 과민증환자
isoniazid
제 1차 항결핵제
예방; 300mg/day
치료 ; 200~400mg/day(타결핵제와병용)
발열, 발진, 간장애, 각혈, 비출혈, 빈혈, 두통, 백혈구감소, 근경련, 말초신경증, 시신경염
과민환자, 심한 간장애
curan
H2-antagonist ; 소화성 궤양치료제
tab ; 150mg을 1일 2회(오전, 취침전)또는 300mg을 취침전에 복용
백혈구 혈소판감소, 간장애, 변비, 졸음, 위장장애, 두통, 여성형 유방
tarivid
quinolone계 화학 요법제
1회 1~2정씩
1일 3회
위장장애, 발진, 백혁구적혈구혈소판감소, 소양감, 구내염, 불면, 두통
임부, 수유부, 12세 이하, 신장애
theolan
기관지천식, 울혈성 심부전
400mg/day
오심, 구토, 식욕부진, 설사, 불안, 불면, 두통, 진전, 심계항진, 단백뇨, 혼수
ventolin
기관지 확장제
1회 1~2번(0.1~0.2mg)씩 흡입하여 필요시 4시간 마다
위장장애, 두통, 부정맥, 심계항진, 협심증, 수면장애, 발진
교감흥분성 amine류 과민체질
freamine
단백아미노산제제
lacteol
변비, 설사, 소화불량증
1tab씩 1일 3회 복용
TC와 병용시 흡수방해
4. 간호 과정
진단
근거
목표
중재
결과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 ; “suction 해주세요”
“숨이차요”
O ; RR이 30회 이상 상승
suction을 1시간에 4~5번하고 할때마다 양이 많다
환자의 얼굴색이 어둡게 변함
suction의 횟수를 2~3번으로 낮춘다.
1. V/S을 매시간마다 측정한다.
2. ABGA를 확인한다.
3.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4. satuation을 매시간마다 측정한다.
5. 저산소증상을 관찰한다.
6. 처방에따른 산소요법을 제공한다.
7. 침상머리를 상승시킨다.
8. 처방된 진해거담제, 기관지확장제 등 약물을 투여한다.
9. 호흡을 청진한다.
RR이 30회 이하로 낮아짐
suction을 1시간에 2번함.
질병의 특성에 따른 전파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O ; 격리된 방에 있으며, 객담검사 결과 positive임
감염된 징후를 보이는 사람이 없다.
1. 결핵은 호흡시 비말이나 분비물에 의해 전파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2. 환자와 접촉하는 모든 의료진과 방문객은 마스크를 착용한다.
3. 기침할 때 손수건이나 휴지로 입을 막는다.
4. 기침, 재채기우 손을 씻는다.
5. 밀봉 비닐 주머니에 즉시 휴지를 버린다.
6. 환자 및 방안의 기구나 홑이불을 직접 접촉하여야 할때는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손을 닦는다.
7. 환자를 격리 시킨다.
질병이 전파되지 않음
식욕부진, 피로, 객담 동방 기침과 관련된 영양부족
S ; ‘별로 먹고 싶지 않다’
O ; L튜브로 식사할 때 다 드시지도 않았는데 chamber를 잠근다. 다시 열어 놓으려고 하면 얼굴을 찡그리시며 입모양으로 먹고 싶지 않다고 얘기하심
식사를 1/2이상 드신다.
1. 치유를 촉진하고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양이 풍부한 식이를 섭취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2. 풍부한 식이를 섭취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3.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에는 소량의 식사를 자주하고 음료수를 자주 마시도록 한다.
4. 체중을 관찰한다.
5. 지시대로 비타민 보충제, 특히 isoniazid를 복용하는 환자들에서 말포신경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타민 B6를 투여한다.
식사를 3/4이상 드심.
체중을 52~50kg유지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5.0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