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종 환자 (Benign lipomatous neoplasm of other sites)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종 환자 (Benign lipomatous neoplasm of other sites)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Vt B1 10mg,Vt B2 5.47mg, Vt B6 5mg, Vt B12 10mcg, Nicotinamide 40mg, Dexpanthenol 5.17mg
【효 능】복합 비타민제
【용 법】1Amp IM, IV
【부작용】쇽, 발진, 가려움, 열감, 오한
【부작용】구토, 식욕부진, 과민증, 두통, 오한, 호흡곤란
5.간호 과정
2006.3.27
#1.투병생활 대한 피로
간호진단 및 자료
ⓢ:“또 언제까지 이렇게 병실 생활만 해야 하는지...”
ⓞ:환자가 멍하게 허공을 응시하고 있는 시간이 길다.
목표
환자가 좀 더 많이 웃고, 질병과 현재 상황에 대해 여유를 가진다.
계획 및
수행
①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가능한 많은 대화를 시도한다.
②환자가 병실에서 편안한 마음이 들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성한다.
③환자의 휴식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보호자와 일상생활 활동의 재배열에 대해 의논한다.
④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⑤환자가 집중을 다른 곳에도 돌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평가
환자는 처음 뵐 때보다 좀 더 밝은 모습이다.
2006.3.27
#2. 수술 후의 합병증을 예방한다.
간호진단 및 자료
ⓞ:수술 후의 간호는 수술의 사전 계획 여부나 수술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수술과 마취로 인한 생리적 불균형 상태로부터 환자를 신속히 적정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이고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합병증을 예방하여 환자의 원활한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
목표
수술 후의 합병증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계획 및
수행
①호흡과 체액 배액이 용이하도록 Semi Fowler Position을 취해준다.
②수술 직후 매시간 또는 적어도 매 2시간마다 심호흡과 기침을 한번에 최소 5회 이상 하도록 격려하며, 필요성에 대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설명해 준다.
-ECDB (Encourage Coughing & Deep Breathing)권장
③배액관으로 배출되는 배출량과 색깔, 냄새등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④드레싱과 드레싱제거 후 상처에 홍반, 부종, 악취, 분비물이 있는지 등을 살핀다.
⑤드레싱의 상태를 규칙적으로 점검하여, 건조하고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⑥환자의 활력증상을 하루6회 체크한다.
⑦환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후의 주의점에 대해 교육한다.
평가
환자가 수술 후의 합병증으로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잠재적인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2006.3.28
#3.수술과 관련된 통증
간호진단 및 자료
ⓢ:“또 아픈데 진통제 좀 줄 수 있어요?”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민감성과 내성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므로 간호사는 진통제의 필요성을 사정한 다음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간호 중재한다.
목표
통증호수의 횟수가 줄어든다.
안위와 통증완화를 표현한다.
계획 및
수행
①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겪고 있는 동통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③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를 수행한다.(이완요법)
④방해받지 않은 휴식시간을 지속하도록 환경조성을 한다.
⑤통증 완화를 위해 지시된 열요법이나 냉요법을 실시한다.
⑥통증의 원인에 대해 알려주어 통증이 이상소견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 정서적인 안정을 갖게 한다
⑦PCA가 사용되고 있음을 설명해 예견되는 통증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킨다.
평가
환자는 통증의 완화를 표현하였다.
2006.3.28
#4. 잠재적 체액 부족의 위험성
간호진단 및 자료
ⓞ:시간당 urine output 50~60정도로 나와 Day total 섭취/배출량이 900/345로 체크되어졌다. (3.28 NPO상태)
목표
체내 전해질과 수분의 균형이 유지된다.
계획 및
수행
①체액과 전해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매시간 섭취량, 배설량을 엄격히 측정한다.
②환자의 활력증상을 하루6회 이상 체크한다.
③지속적으로 섭취량과 배출향이 불균형을 이룰 경우 간호사 선생님께 보고한다.
평가
(지속적인 I/O불균형이 보고되어 Lasix 20mg이 주사되어졌다.)
체내 수분 균형이 유지되었다.
PROBLEM TREE
조○○(M/71) 무직
2005년 4월 급성 담낭염
담낭절제술 시행 받음
총담관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ERCP 시행받음
2005년 11월 ERCP의
합병증으로 인한 췌장염
(췌장염 치료중)2006년 3월
장간막에 지방종 발견되어
3월27일 진단개복술시행받음
수술 합병증
ⓟ:수술 후의 간호는 수술의 사전 계획 여부나 수술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수술과 마취로 인한 생리적 불균형 상태로부터 환자를 신속히 적정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이고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합병증을 예방하여 환자의 원활한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
통증
ⓢ:“또 아프다고 그러는데 진통제 좀 줄 수 있어요?”
ⓟ:통증호수의 횟수가 줄어든다.
안위와 통증완화를 표현한다.
체액부족의 위험성
ⓞ:시간당 urine output 50~60정도로 나와
Day total 섭취/배출량이 900/345로 체크되어졌다. (3.28 NPO상태)
ⓟ:체내 전해질과 수분의 균형이 유지된다.
피로
ⓢ:“또 언제까지 이렇게 병실 생활만 해야 하는지...”
ⓞ:환자가 멍하게 허공을 응시하고 있는 시간이 길다.
ⓟ:환자가 생활의 활력을 되찾는다
Ⅵ.결론
이상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본 학생은 외과에서 전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간호의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간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였다. 그 결과 외적으로는 수술 후 간호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었고, 내적으로는 지식 이외에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과 정도에 대해 조금이나마 근원적인 접근이 가능하였다.
1주일이라는 짧은 실습기간 동안에 환자를 얼마나 이해하고 신뢰를 얻을 수 있는가하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꼈지만, 환자 및 가족들의 기쁜 모습을 보면서 짧은 기간이나마 도움이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Ⅶ.참고문헌
내과학, 서울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교실편, 군자출판사, 1996
내과학, 대표저자 김노경, 고려의학, 1998
성인간호학下, 신재신외, 도서출판 정담, 2005
성인간호학上-2, 김조자외, 현문사, 2005
성인간호실습지침서,현문사 2005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