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자원]풍력발전시스템의 국내외 현황과 풍력자원예측 및 운용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풍력발전과 풍력발전시스템의 개요
1. 풍력발전이란
2. 풍력발전시스템의 구성요소
3. 풍력발전 시스템의 분류
1) 회전자 축의 방향에 의한 분류
2) 운전형태에 의한 분류
3) 출력제어 방식에 의한 분류 및 비교
4) 회전자 정/가변속 운전에 의한분류
4. 국내 풍력발전 설비 현황

Ⅲ. 풍력발전시스템의 국내외 현황과 풍력자원예측 및 운용사례
1. 세계의 풍력발전 보급현황 및 전망
2. 국내의 풍력발전시스템의 운용사례 및 설치현황
3. 풍력발전의 전력생산 단가와 대형화
4. 실측 후보지점의 도출 및 측정자료의 통계분석
5. 풍력자원의 통계분석 결과 예
6. 행원지역의 풍속과 기종별 예상발전량
1) 고도별 평균 풍속과 표준편차
2) 행원지역 설치기종의 월별 이용율 및 예상 발전량
3) 계절별, 계급별 평균풍속의 누적시간

Ⅳ. 풍력발전시스템 운전실적과 문제점
1. 운전 현황
2. 운전시 문제점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Remote))
High windspeed
1 (Auto)
26시간
Emerg. -> Stop, EMC not conn.
15 (Local)
Thermoerror hydraulicmotor
11 (Remote)
189시간
Gnd.RPM :
2 (Local)
Max rotor RPM:
1 (Remote)
Thermoerror yawmotor
13 (Remote)
Error temp.sensor
64 (Auto)
43시간
Low workingpressure
4 (Remote)
Feedback = : Hydraulicmotor
12 ( Remote)
87시간
Ambient temperature
4 (Auto)
CT *** initial. error pos.
1 (Local)
Trip Q8 Feedback error
6 (Auto)
Frequency error:
3 (Auto)
Low processor temp. in top
11 (Auto)
144시간
풍력발전기 운용결과로부터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풍력터빈의 이용율은 평균 약 24.5% 내외로 풍황 분석에 의한 예상 이용율(30%)보다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표 11의 Wind Turbine Error에서 보는바와 같이 Error로 인해 중단된 시간이 많기 때문이다. 주된 중단이유로는 정전이나 시스템, 유압계통, 피치시스템, Electricical grid, Generator, yawing등의 Error발생과 돌풍이나 낮은 풍속으로 인한 회전시의 Error등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빈번한 Error는 유압계통의 Error이다.유압계통의 Error에서 주된 Log는 Safety-pressostat brake, Thermoerror hydraulicmotor, Feedback = : hydraulicmotor, Low oil-level hydraulic, Max time hydr.pumping: 등이다.
표 11에서 살펴보면 'Acknowledge'는 Local과 Remote, Auto의 3가지 상태로 표현된다. Local은 Wind Turbine이 직접 설치된 곳에서 사람에 의해 가동이 재기됨을 의미하고, Remote는 통신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에서 복구하여 다시 재가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Auto는 Wind Turbine이 자체적으로 재가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각 터빈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Wind Turbine이 Error가 걸렸을 때 'Acknowledge'가 Auto인 경우는 Local이나, Remote인 경우에 비해 매우 적다. 따라서 Wind Turbine이 Error가 걸렸을 때, 빠른 조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도 재가동시킬 수 있는 것을 멈춰있게 함으로써 많은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 운용요원을 두어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고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즉각적으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Ⅴ. 결 론
풍력발전의 국내외 현황에서 실운전의 문제점까지 실측자료에 근거하여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풍력발전 시스템이 국내보급이 가능하며 아울러 국산화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풍력단지가 정부계획에 따라 내륙으로 확산 보급설치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실뢰성있는 정밀 풍력자원조사가 이루어져 풍력발전기 설치시 이용률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국내의 풍황 자료와 실부하 운전 중인 시스템의 특성 및 출력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시스템 개발에 기술력을 집중시킨다면, 풍력 발전 시스템이 국내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적절한 운전관리 방안으로는 우선 풍력발전시스템의 운격감시 제어 기능을 충분히 검토하여 가장 효과적이며 능률적인 기능을 갖는 원격 제어시스템에 대해 평가를 하여야 할 것이다. 실용화 사업이 타 지역으로 확산될시 풍력시스템 설치지역이 여러곳으로 분산되는 방식으로 실용화 사업이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LAN 방식의 원격 감시 시스템보다는 모뎀을 이용한 여러 곳의 원격지에 대해 우수한 감시제어 기능을 갖는 운전감시시스템이 바람직 할 것이다.
참고문헌
허종철 외, "제주도내 풍력자원 조사에 관한 연구 용역(I)", 제주도청, 1998.
허종철 외, "제주도내 풍력자원 조사에 관한 연구 용역(II)", 제주도청, 2000.
Lahmeyer International, "Wind Energy Technology-Technology, Market, Costs, Perspectives", 2000.
BTM Consult ApS, "International Wind Energy Development", 2000.
김건훈외, "새만금지구내 풍력발전단지 건설 타당성 조사연구 용역", 한국 에너지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1997.
김건훈외, "제주도내 1.2MW 풍력발전단지 건설 설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KIER-975406, 1998.
"Global Installed WindPower Capacity", Windpower Monthly Vol 12 No 10, 1996.
AWS Scientific Inc., Wind Resource Assessment Handbook, WindPower '96 Training Seminar Edition, Denver, CO, 1996
Paul Gipe, "Wind Energy Comes of Age", John Wiley & Sons, Inc.,1995.
M.J.M. Stevens, "The estimation of Parameters of the Weibull Wind Speed Distribution for Wind Energy Utilization Purpose", Wind Engineering Vol. 3, No, 2, 1979.
G.J. Bowden et al, "The Weibull Function and Wind Power Statistics", Wind Engineering Vol. 7, No. 2, 1983.
  • 가격2,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5.0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