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뇨에 관한 고찰 및 어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후변화와 역사의 의미-엘니뇨의 영향

2. 엘니뇨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3. 엘니뇨 현상이 우리나라 여름과 겨울 기후에 미치는 영향

4. 엘니뇨 현상

5. 엘리뇨가 미치는 영향

6. 엘니뇨의 어원 및 정의

7. 엘니뇨의 영향

8. 엘니뇨의 현상

9. 엘리뇨(El-Nino)

10. 엘니뇨의 메커니즘

11. 엘니뇨에 영향을 받는 대기 현상

본문내용

른 표층수들은 이전에 흘러가버린 표층해수와 성질이 비슷하므로 변화가 없지만 심층수는 표층해수보다 차갑기 때문에 변화를 일으켜서 따로 용승현상이라고 이름을 붙인것 같습니다. 제가 이런생각을 해본 것은 이 질문에서 혹시나 용승현상이 일어나지않고 주변의 표층수만 몰려 온다고 생각했을 것같아서 입니다. 용승현상은 표층해수(수면)에 있는 물이 빠져나가면 일어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3. 백화현상은 탄산칼슘이 석출되어서 그런 다고 했는데,
왜 탄산칼슘이 석출이 되나요?
=> 제가 아는 백화현상은 산호에 의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산호의 껍질은 원래 탄산칼슘으로 이루어 져있습니다. 산호는 갈충조라는 생물과 공생관계를 이루는데 산호의 여러색은 갈충조의 색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갈충조는 광합성을 해서 산호의 영양분을 제공해주는데 바닷물의 수온이 높아지면 산호는 이 갈충조를 몸밖으로 내 보내게 됩니다. 갈충조가 모두 몸밖으로 빠져나가면 영양분공급이 안되어 결국 산호는 죽게되고 갈충조를 밖으로 보낸 산호는 하얀 탄산칼슘만 남아 바위나 바다 속이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제가 아는 백화현상은 산호에 의한 것인데 질문자께서 알고 계신것이 다른 것이었다면 이 내용은 참고만 해주십시오. 그런데 지구 온난화등 여러 기상이변을 이야기 한다면 제 답변이 맞을 겁니다.
**엘니뇨
El Nino
(스페인어로 '아기 예수'라는 뜻)
해양학과 기후학에서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의 서해안을 따라 흐르는 바닷물이 몇 년마다 1번씩 유난히 따뜻해지는 이례적인 현상.
이 현상은 에콰도르에서 칠레에 이르는 지역의 어업과 농업에 피해를 주고 국지적 일기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태평양의 적도지방과 때로는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에도 광범위한 기상 이상현상을 일으킨다.
엘니뇨라는 이름은 원래 19세기에 페루 북부의 어부들이 해마다 크리스마스 때가 되면 적도 부근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따뜻한 바닷물을 지칭하던 명칭이었다. 그후 페루 과학자들은 몇 년의 간격을 두고 바닷물에 좀더 심한 변화가 일어나고, 평소에는 건조 해안에 큰 재난을 가져오는 주기적인 홍수가 바로 이 현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런 열적 이상현상이 1년 이상 지속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세기에는 그보다 더 이례적인 사건들이 일어나 세계적인 주목을 끌었고, 결국 이 명칭의 의미는 해마다 적도 부근에서 내려오는 따뜻한 바닷물 대신 이런 이례적인 현상을 가리키게 되었다. 엘니뇨 현상의 시기와 강도는 매우 다양하다. 1525년 이례적으로 사막에 비가 내린 것이 처음 기록된 것은 스페인 정복자인 프란시스코 피사로가 페루 북부에 상륙했을 때였다. 사학자들은 스페인인들이 사막의 비와 식물들에 적응해 생활했기 때문에 잉카 제국을 좀더 쉽게 정복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엘니뇨 현상의 강도는 매우 다양해 약간의 온도이상(溫度異常:2~3℃)으로 일부 지역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온도이상(8~10℃)으로 전세계의 기후변동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엘니뇨 현상은 전형적으로 3, 4년 간격으로 일어나며, 강한 엘니뇨 현상은 그보다 더 드물게 나타난다. 그러나 엘니뇨 현상의 주기는 매우 다양하고, 해양 조석(潮汐)이 일정한 주기를 갖거나 예측할 수 있는 것에 반해서 이 현상은 비주기적이고 예측할 수 없다.
1930년대에 길버트 워커가 시작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학자들은 열대 대기에서도 몇 년 간격으로 이와 유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했다. 워커는 이 현상을 남방 진동(Southern Oscillation/SO)이라 불렀다. 엘니뇨와 SO는 1쌍을 이루며 각각 해양과 대기에서 대규모 상호작용을 하는 '엘니뇨 남방 진동'(ENSO)의 구성요소들인 것 같다. ENSO의 따뜻한 기간 동안 남태평양의 무역풍계는 '시소'(seesaw)라고 부르는 상태변화를 겪는다. 이 변화에서는 남태평양 동부지역의 고기압이 약해지고,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인도네시아 상공의 저기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적도를 따라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이 약해진다. 기압변화와 약해진 무역풍은 따뜻한 표층수를 태평양 서부에서 적도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시켜 동쪽 지역에서는 따뜻한 표층수가 더 두꺼워진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남아메리카에서 북쪽으로 바람이 불면 얕고 따뜻한 표층수 아래에서 영양염이 풍부한 용승류(湧昇流)가 솟아오른다. 이 영양염(주로 인산염과 질산염)은 물고기의 먹이인 광합성을 하는 플랑크톤에 풍부한 식량을 제공한다. 그러나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두꺼워진 표층수가 연안풍에 의한 용승류를 억제시키고, 이에 따라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한 표층수는 영양염이 부족해져 연안 생태계가 평소처럼 풍부한 생산력을 유지할 수 없게 한다. 또한 많은 물고기들이 엘니뇨 현상의 영향을 덜 받는 곳으로 먹이를 찾아 이동하기 때문에 그결과 이 지역에 있는 나라들의 어획고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1972~73년에 일어난 엘니뇨 현상은 지역 경제에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의 상품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적도 부근의 태평양 바닷물이 따뜻해지면 대기에도 대규모적인 이상현상이 유발된다. 에콰도르나 페루 북부지방에서는 강우량이 몇 배로 늘어나 연안성 홍수를 일으키고, 토양을 침식시켜 운송과 농업에 큰 어려움을 준다. 강한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면 인도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및 남아메리카 북동부에는 가뭄이 수반되고, 열대에는 열대 폭풍우의 형태가 바뀐다. 좀더 강한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면 대기의 '원거리 연관' 작용이 광범위하게 일어나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고위도 지역에는 이례적으로 추운 겨울 날씨가 유발된다. 20세기에 가장 강한 엘니뇨 현상은 1982년 중반에 시작하여 1983년 중반에 끝났다. 이 기간 동안 열대 태평양 동부와 그 서쪽에 있는 대부분의 적도 지역에서는 표층수의 수온이 평소보다 5~10℃ 정도 상승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심한 가뭄이 닥쳤고, 태풍은 훨씬 동쪽으로 이동하여 타히티에서 발생했다. 또한 칠레 중앙지역은 기록적인 호우와 홍수를 겪었다. 북아메리카 서해안에는 1982~83년으로 넘어가는 겨울에 이례적인 폭풍이 몰아쳤고, 멕시코에서 알래스카에 이르는 지역의 어획고가 크게 변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5.13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