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tube
2. surgicel
3. gelfoam
4. bone wax
5. Beriplast
6. tissel
7. surgical drape
8. staple
9. penrose drain
10. hemovac
11. bovie plate
2. surgicel
3. gelfoam
4. bone wax
5. Beriplast
6. tissel
7. surgical drape
8. staple
9. penrose drain
10. hemovac
11. bovie plate
본문내용
uture)한 후 발생되는 Bleeding을 배액할 때 사용하고 음압을 이용해서 내용물을 배출시 킨다. PVC line이 피부에 침투하여 안쪽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빨아들인다.
♣ bovie plate
사용목적 : 전기수술기 사용 시 전류의 회류를 유도하여 환자에게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
사용부위 : 가능한 심장과 멀리 위치, 사지나 엉덩이 부분위 위치시킴.
가능한 시술하고자 하는 반대편에 붙이며 근육이 많은곳에 붙인다.
예)오른다리 수술실 왼쪽다리에 붙임 / 다리에 붙일 경우 종아리나 허벅지
보관방법 : 본 제품은 일회용이므로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처분한다.
사용방법 :
(1) 환자 전극판의 라이너를 제거한 후 접착 표면이 다른 것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2) 극판을 환자에게 부착한다. 전극판의 긴 면이 수술부위와 마주 놓일 수 있는 지점에 부착한다.
(3) 부착 시, 전극판의 한쪽 끝에서 시작해서 다른 쪽 끝으로 접촉면을 잘 부착. 이때, 공기가 접촉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환자 피부가 전극판 아래에 접혀있거나 너무 늘려있지 않도록 한다.
(4) 코드가 부착된 전극판을 띄어내지 않도록 유의해서 전극판을 부착한다.
(5) 전극판을 전기수술기와 연결한다. 코드가 부착되어있지 않는 전극판은 전극판에 알맞은 코드를 부착한 후 전기수술기와 연결한다.
(6) 필요하다면 코드부착 전극판의 경우에 이용할 전기수술기에 사용이 가능한 아답타를 연결하고 수술한다.
(7) 수술이 끝나면, 전극판은 탭 끝에서부터 들어올려 180도 뒤로 젖혀 띄어낸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천천히 제거한다.
♣ bovie plate
사용목적 : 전기수술기 사용 시 전류의 회류를 유도하여 환자에게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
사용부위 : 가능한 심장과 멀리 위치, 사지나 엉덩이 부분위 위치시킴.
가능한 시술하고자 하는 반대편에 붙이며 근육이 많은곳에 붙인다.
예)오른다리 수술실 왼쪽다리에 붙임 / 다리에 붙일 경우 종아리나 허벅지
보관방법 : 본 제품은 일회용이므로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처분한다.
사용방법 :
(1) 환자 전극판의 라이너를 제거한 후 접착 표면이 다른 것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2) 극판을 환자에게 부착한다. 전극판의 긴 면이 수술부위와 마주 놓일 수 있는 지점에 부착한다.
(3) 부착 시, 전극판의 한쪽 끝에서 시작해서 다른 쪽 끝으로 접촉면을 잘 부착. 이때, 공기가 접촉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환자 피부가 전극판 아래에 접혀있거나 너무 늘려있지 않도록 한다.
(4) 코드가 부착된 전극판을 띄어내지 않도록 유의해서 전극판을 부착한다.
(5) 전극판을 전기수술기와 연결한다. 코드가 부착되어있지 않는 전극판은 전극판에 알맞은 코드를 부착한 후 전기수술기와 연결한다.
(6) 필요하다면 코드부착 전극판의 경우에 이용할 전기수술기에 사용이 가능한 아답타를 연결하고 수술한다.
(7) 수술이 끝나면, 전극판은 탭 끝에서부터 들어올려 180도 뒤로 젖혀 띄어낸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천천히 제거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