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식상태 사정도구
- 의식수준의 분류
-무의식 대상자 간호
1. 무의식의 정의
2. 무의식의 원인
3. 무의식 대상자 간호
- 의식수준의 분류
-무의식 대상자 간호
1. 무의식의 정의
2. 무의식의 원인
3. 무의식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변인 경우 수거주머니를 사용하고, 세심한 피부간호가 필요하다.
③ 청진기를 이용하여 장음을 들어 본다.
④ 하복부를 촉진하여 복부팽만이 있는지 확인한다.
(9) 무의식 환자 가족교육과 지지
① 가족과 지지적, 신뢰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② 환자의 상태와 진행과정을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자주 알려준다.
③ 환자 간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방법을 교육시킨다.
④ 감각자극의 방법을 교육시켜 자주 사용케 한다.
a. 신체적 접촉과 음성을 확인한다.
b. 환자가 반응이 없어 보이더라도 이야기를 하도록 한다.
c. 환자에게 규칙적으로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해 알려준다.
⑤ 반의식환자에게 환각증상을 주지 않도록 조명을 적절히 조정한다.
⑥ 뇌의 저산소증이나 대사불균형의 증상이 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일 경우 보고 하도록 교육한다.
⑦ 재정문제, 의료기구 사용, 가정간호 등을 위하여 사회사업가나 가정간호센터, 기타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을 알려준다.
<참고문헌>
씨그마 학회(2000),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이강이 외(2000), 건강사정, 현문사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 2, 현문사
③ 청진기를 이용하여 장음을 들어 본다.
④ 하복부를 촉진하여 복부팽만이 있는지 확인한다.
(9) 무의식 환자 가족교육과 지지
① 가족과 지지적, 신뢰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② 환자의 상태와 진행과정을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자주 알려준다.
③ 환자 간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방법을 교육시킨다.
④ 감각자극의 방법을 교육시켜 자주 사용케 한다.
a. 신체적 접촉과 음성을 확인한다.
b. 환자가 반응이 없어 보이더라도 이야기를 하도록 한다.
c. 환자에게 규칙적으로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해 알려준다.
⑤ 반의식환자에게 환각증상을 주지 않도록 조명을 적절히 조정한다.
⑥ 뇌의 저산소증이나 대사불균형의 증상이 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보일 경우 보고 하도록 교육한다.
⑦ 재정문제, 의료기구 사용, 가정간호 등을 위하여 사회사업가나 가정간호센터, 기타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을 알려준다.
<참고문헌>
씨그마 학회(2000),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이강이 외(2000), 건강사정, 현문사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 2, 현문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중환자실에서의 환자의 간호문제
[간호진단][부동환자 간호진단][골절환자 간호진단][간헐적 도뇨 간호진단][화상환자 간호진...
[간호중재][간호]간호중재의 정의, 비사용증후군 간호중재, 간헐적 도뇨 간호중재, 영적 간호...
[재활간호][실어증환자][관절염환자][뇌졸중환자][유방암]재활간호의 배경, 재활간호의 과정,...
[성인간호학 4학년 공통]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
(전략적간호관리)보건의료 시스템을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을제시+간호사와 환자에게 미치...
전략적간호관리+1.보건의료시스템을 재구성하게하는 압력요인을제시,간호사와 환자에게미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