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대수와 드모르간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n Collector 출력 소자를 Wire-AND한 그림으로 3개Transistor가 모두 Off일 때 출력은 High이고, 어느 하나라도 On 되면 출력은 Low 상태로 된다.
2. Pull-up저항
LOGIC에서 5V는 High이다. 그리고 0V(GND)는 0이다.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open)상태는 전압이 없다고 해서 0이 아니라 High impedance 상태 또는 Open상태라고 한다. 논리적으로는 부정의 상태이다. 1도 0도 아닌 상태라는 의미이다. 회로를 꾸며 보면, 스위치를 누 르면 두 단자가 붙고 떼면 두 단자가 떨어지는 스위 치가 있을 때, 이것을 and나 or gate 입력으로 넣어 주면 스위치 중 한 단자를 GND로 연결하고 다른 한 단자는 GATE input에 넣어줬다고 가정할 때 스위치 를 누르면 GND(0)이 되지만 스위치를 떼면 이때는 입력이 Open이 되면서 부정의 상태가 된다. 이때 여 기에 pull up저항을 달아주면 부정상태가 아니라 High상태가 되는것이다. 즉 Pull up은 부정의 상태를 High로 만들어 주고, Pull down 저항은 부정의 상태를 Low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입력단에서 부정의 상태를 없애주는 경우이고, 출력단에 pull up이나 pull down을 걸어줄 때가 있는데, 이경우는 보다 높은 전압을 걸어 전압을 높여 사용할 때라든지 아니면 wired OR gate등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한다. 입력에 풀업, 풀다운을 다는 이유는 입력 논리 값을 H, L 을 올바르게 인가하려는 경우와<그림1,그림2.> 지금은 사용하지 않으나 나중에 사용할 경우<그림3.>, 풀업 및 풀다운 저항에 의한 입력 전류<그림4.>가 있다.
3. 와이어드 AND(Wired AND)와 와이어드 OR
기본 게이트를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 등으로 만들었을 때 이들을 능동 소자라 한다. 이러한 게이트들의 출력 단자를 직접 연결하여 논리소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것을 와이어드 게이트(wired gate)라 한다.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연결하여 만드는 TTL에서 개방 콜렉터 (OC : open collector)를 사용할 때, 이들을 묶으면 특정 논리를 수행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왼쪽 그림에서 두 개의 NAND 게이트가 하나의 풀업 저항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트랜지스터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연결된 것과 같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포화 되면 출력은 낮은 전압이 되고, 모두가 차 단되면 높은 전압이 된다. 그러므로 개방 콜렉터를 공통된 전압에 연결되면 자동적 으로 AND 역할을 한다.
개방 콜렉터를 외부에서 연결하여 AND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와이어드 AND라 하며,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한다.
ECL(emitter coupled logic)인 경우 같은 방법으로 출력 단자를 연결하여 어느 하 나의 출력 단자의 전압이 높으면 결과가 높은 전압이 되므로 OR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아래 그림은 와이어드 OR 회로 를 보여 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5.14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