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으로 본다. 그는, ‘유럽과 미국에서 형성된 신학의 복사물은 결코 제3세계의 교회들의 신학적인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복음이 지적인 동의를 넘어 실제적인 삶의 영역을 장악하기 위한 필수적 요건이 상황화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신학이 상황화의 도구라고 보며, 상황화의 실행은 하나님의 말씀을 규범으로 하여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을 현장으로 삼아,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순종을 목표로 하여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위의 책, 131-133.
그는 또한 상황화가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성령의 행위로 말미암아 가능해지는 것으로 본다. 하나님의 선교 차원에서 상황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는, 하나님은 복음이 교회 안에서 화육되고 교회를 통하여 역사 안에서 화육되기를 원하신다고 한다. 복음의 상황화는 결코 역사 안에서의 교회의 현장화 없이 성취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가 보기에, 참으로 토착적인 교회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결과로 자신의 고유한 문화 속에서 복음을 화육시키는 교회다. 그들의 고유한 문화적 패턴이 복음에 의해 변화된 새로운 삶의 양식, 사고방식, 그리고 행동양식을 취하는 교회다. 하나님의 선교의 교회적 과정으로 상황화를 보고 있는 것이다. 위의 책, 133-135.
그래서 그는 특히 신학의 상황화보다는 교회의 상황화를 강조한다. 그가 가난의 생활양식, 나눔과 청지기 의식에 대해 강조하는 선교 등을 강조하는 것 위의 책, 200-216.
등을 이러한 교회의 상황화에 대한 요청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파딜랴는 복음과 선교의 통전성을 강조한다. 그의 통전적 선교신학은 주로 교회성장운동에 대한 비판과정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하나님 나라와 구원의 성격, 세상과 죄의 본질 등에 대한 성서적 분석을 통해 그 모두가 우주적이며 포괄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선교가 통전적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통전적 이해의 근거로 삼고 있는 가장 중요한 논리는 그리스도 통치의 우주적 성격에 대한 이해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선교신학적 주요 개념들을 정리하고, 선교 현실과 과제들, 바람직한 방향 등을 끄집어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는 것이다.
파딜랴는 그리스도의 우주적 통치의 전망으로부터 세상과 교회와 하나님 나라가 각각 유리되지 않는 가운데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복음과 구원이 본질적으로 통전적임을 주장한다. 파딜랴가 통전적 선교의 관점에서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은 제자도를 동반한 복음화 선교, 1세계와 3세계의 교회 사이에 상호의존과 상호 나눔을 기반한 진정한 협력과 연합의 선교, 사회개발과 정의추구 문제에 있어서 예언자적이며 대안적인 모델을 개발해 내는 선교 등을 꼽고 있다. 그리스도 통치의 우주성 개념은 그의 문화이해와 상황화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에도 작용하고 있다. 그는 특히 상황화를 ‘생동성있는 번역’의 문제로 보고 있다. 바람직한 상황화의 방향은 잘못된 상황대응의 양 극단을 극복하는 데에서 주로 찾아지고 있다.
그는 또한 상황화가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성령의 행위로 말미암아 가능해지는 것으로 본다. 하나님의 선교 차원에서 상황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는, 하나님은 복음이 교회 안에서 화육되고 교회를 통하여 역사 안에서 화육되기를 원하신다고 한다. 복음의 상황화는 결코 역사 안에서의 교회의 현장화 없이 성취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가 보기에, 참으로 토착적인 교회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결과로 자신의 고유한 문화 속에서 복음을 화육시키는 교회다. 그들의 고유한 문화적 패턴이 복음에 의해 변화된 새로운 삶의 양식, 사고방식, 그리고 행동양식을 취하는 교회다. 하나님의 선교의 교회적 과정으로 상황화를 보고 있는 것이다. 위의 책, 133-135.
그래서 그는 특히 신학의 상황화보다는 교회의 상황화를 강조한다. 그가 가난의 생활양식, 나눔과 청지기 의식에 대해 강조하는 선교 등을 강조하는 것 위의 책, 200-216.
등을 이러한 교회의 상황화에 대한 요청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파딜랴는 복음과 선교의 통전성을 강조한다. 그의 통전적 선교신학은 주로 교회성장운동에 대한 비판과정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하나님 나라와 구원의 성격, 세상과 죄의 본질 등에 대한 성서적 분석을 통해 그 모두가 우주적이며 포괄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선교가 통전적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통전적 이해의 근거로 삼고 있는 가장 중요한 논리는 그리스도 통치의 우주적 성격에 대한 이해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선교신학적 주요 개념들을 정리하고, 선교 현실과 과제들, 바람직한 방향 등을 끄집어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는 것이다.
파딜랴는 그리스도의 우주적 통치의 전망으로부터 세상과 교회와 하나님 나라가 각각 유리되지 않는 가운데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복음과 구원이 본질적으로 통전적임을 주장한다. 파딜랴가 통전적 선교의 관점에서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은 제자도를 동반한 복음화 선교, 1세계와 3세계의 교회 사이에 상호의존과 상호 나눔을 기반한 진정한 협력과 연합의 선교, 사회개발과 정의추구 문제에 있어서 예언자적이며 대안적인 모델을 개발해 내는 선교 등을 꼽고 있다. 그리스도 통치의 우주성 개념은 그의 문화이해와 상황화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에도 작용하고 있다. 그는 특히 상황화를 ‘생동성있는 번역’의 문제로 보고 있다. 바람직한 상황화의 방향은 잘못된 상황대응의 양 극단을 극복하는 데에서 주로 찾아지고 있다.
추천자료
세계선교 동향과 한국에 대한 선교정책
[선교사][알렌][네비우스][남장로교 선교][북한 선교]최초 선교사 알렌과 네비우스, 남장로교...
선교의 성경적 기초(선교학개론)
[선교 설교][인터넷을 이용한 선교][선교][설교][인터넷][교회][목회][성경]선교 설교와 인터...
[선교][중국][일본][캐나다][미국][한국 선교][북한 선교]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의 한국 ...
[사도행전][선교설교][일본 조합교회의 선교][남감리교 선교]사도행전의 선교설교와 일본 조...
선교사가그린선교사바울의생애서평
선교의 성경적 배경 역사와 문화 및 선교 전략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에 대한 이해와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방법에 대한 분석
R. Paul Stevens,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서평
선교의 자유와 초기 선교활동
시가서 79편 연구 (원문 번역 및 본문 비평, 양식 및 구조와 주석, 시편 79편의 최종형태 구...
<17세기의 위대한 수학자들> 갈릴레오 갈릴레이, 르네 데카르트, 케플러, 파스칼 생애 및 업...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의료선교, 아펜젤러 선교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