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 허드슨 테일러에 대한 이해와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방법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 요
1. 서론

2. 본론
(1) 토착화
1) 토착화의 정의
2) 성경에서 찾아볼 수 있는 토착화
3) 한국의 토착화
(2) 허드슨 테일러
1) 허드슨 테일러에 대하여
2) 허드슨 테일러의 사역
(3) 허드슨 테일러와 토착화
1) 허드슨 테일러와 토착화
2) 헨리 벤 과의 비교

3. 결론

본문내용

다. 그것은 스코틀랜드 선교사들의 경험에 근거한 저서들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1843년에 앤쏘니 그란트 라는 성공회학자는 Bampton 강좌에서 감독제도에 대한 High Church 입장들에 기초한 선교 이론을 천명한 데에 반대하는 입장을 소유했다.
⑤ 기타
그는 실질적으로는 현지 선적과 탐험에 대한 정부지원을 위한 로비활동을 했다. 자신의 자금을 대기 위해서 솜 사업을 벌였다. 벤의 선교에 대한 원리적 관점은 귀납법적 관점이었다. 그는 선교사 위주, 교회 위주, 선교사가 주도하는 교회의 단점을 지적했다. 그가 주장하는 성공적인 선교 교회발전에는 두 가지 요건이 있다. 먼저는 자기의전교회와 적절히 대응하라는 선교 구조를 제시했다. “선교의 열성”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현지 교인들의 훈련과 임명을 반복적으로 배정했다. “자발적 확장‘안을 제시함으로, 선교 및 현지 신학의 개발과 실천적 교회 성장으로 많은 관련자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⑥ 정리
그는 영국 교회 선교회의 총무였다. 그가 주장한 선교의 목적은 복음 전파와 교회 설립, 선교와 식민주의의 결탁을 철저히 비판하고 배격했다. 현지인 지도자를 양성하여 자치하는 토착교회가 되게 하는 일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장한 것이 3자 원리(자립, 자전, 자치)였다. 또한 교회의 반대를 무릅쓰고 현지인 청년인 Samuel Adgat Crother를 나이지리아 최초의 감독으로 임명했다. 선교의 안락사를 주장했다. 이것은 자립교회를 세운 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인데, 현지 교회는 흥하고 선교사는 쇠퇴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령의 역사에 대한 강한 확신이 있었다. 현지 교회는 외국인의 도움은 없어도 성령의 도우심으로 능히 설 수 있다고 했다.
3. 결론
전에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토착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을 하셨을 때, 나는 어떻게 대답했는지 잘 기억이 안 난다. 고등학교 시절에 하도 면접에 대한 준비를 철저하게 한 나머지, 웬만한 주제의 토론 문제라면 내가 진심으로 찬성을 하건 반대를 하건 대답은 생각과 다른 입장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웠기 때문이다.
이 과제를 하기 전까지 나는 토착화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했다. 기독교 자체가 복음이고, 복음은 변할 수 없는 것인데 어떻게 그것을 변형 시켜서 대입을 할 수가 있겠느냐는 생각이었다. 어떻게 보면 참 유두리 없고 꽉 막힌 생각이다.
하지만 나는 이 과제를 하면서 내가 믿고 있는 기독교가 토착화된 기독교라는 것을 알고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었다. 내가 그렇게 열심히 드리고 있던 새벽예배도, 눈감고 기도하던 이 습관들도, 술과 담배의 유혹을 뿌리쳤던 고등학교 때의 기억들도 모두 토착화 된 기독교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던 나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았다.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의 모습을 뒤돌아 봤다. 지난번 발제 할 때도 허드슨 테일러에 대해서 공부했고 알아봤다. 그때는 허드슨 테일러의 토착화 보다는 허드슨 테일러가 중국인처럼 살기로 마음먹은 것을 보며 그만큼 중국을 사랑하는 마음을 나도 본받아야 겠다고 느꼈다. 같은 인물을 가지고 했지만 느끼는 바가 다르다. 만약에 허드슨 테일러가 토착화 없이 선교를 계속 하려고 노력만 했다면, 어찌 보면 노력에서 그쳤거나 중국내지 선교의 시대는 열리지 않았을 수도 있다. 바울이 그랬던 것처럼 복음을 위해서 토착화 하는 것을 왜 반대 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토착화. 그때 들었던 것처럼 선교한다는 말은 기독교를 그 땅에 토착화 시키는 것이라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복음은 변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변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가 아무리 토착화를 위해서 변화된 모습의 기독교를 전파한다고 해도, 복음은 변하지 않는 다는 것을 깨달았다.
※ 참고문헌
1. 허드슨테일러 [허드슨 테일러의 자서전]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62)
2. Ruth A. Tucker : FROM JERUSALEM TO IRIAN JAYA (Grand Rapids, MI : Zondervan, 1983)
3. 서동원, “토착화신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박사학위 논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4. 바빌론의 창조설화에 대해 C.F. 화이틀리, 『고대 이스라엘 종교의 독창성』안성림 역 (분도출판사, 1988)
5. P. Arrupe, "Letter to the Whole Society on Inculturation," Studies in the Inthernational Apostolate of Jesuits, 7(June, 1978)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2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