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철큰콘크리트 바닥구조 방식
-일방향 구조방식
-조이스트 구조방식
-보 슬래브 방식
-플랫 슬래브 방식
2.철골 및 합성구조의 바닥구조 방식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메탈데크 위 콘크리트 슬래브
3.수직 구조체
-기둥
-내력벽
-전달보
4.기타 건물 사례
-일방향 구조방식
-조이스트 구조방식
-보 슬래브 방식
-플랫 슬래브 방식
2.철골 및 합성구조의 바닥구조 방식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메탈데크 위 콘크리트 슬래브
3.수직 구조체
-기둥
-내력벽
-전달보
4.기타 건물 사례
본문내용
값 비싼 재료인 철골의 양을 줄이는 이점을 얻게 된다.
2. Luth Headquarters Building, 쿠알라 룸플, 말래이시아
Luth Headquarters Building은 쿠알라 룸품에 위치한 38층 높이의 사무소 건물이다. 모든 층은 원형이고 원형 중앙코어를 포함하고 있다. 1층 위의 모든 바닥판은 전부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 40개의 방사선 방향의 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며, 이 슬래브들은 현장에서 덧쳐저 합성시스템을 이룬다.
3. 311 South Wacker Drive, 시카고
프리스트레스 바닥판은 세계 도처의 건물에서 특히 주차장과 쇼핑센터와 같은 저층 구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프리텐션 바닥은 1960년대 이래로 꾸준히 보급되어 왔고, 현장타설 포스트텐션 바닥은 1970년대 중반 이래로 폭 넓게 수용되어 왔다. 포스트텐션 바닥은 1980년대 초반 이래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고층사무소 건물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미국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시카고의 311 South Wacker Drive건물로, 완공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콘크리트 건물이었다. 사무실용 고층건물은 기둥이 없는 효율적인 공간을 얻기 위하여 통상 장스팬의 바닥판을 가지며, 스팬은 일반적으로 코어와 외면 사이에서 불연속으로 되어있다. 장스팬을 이루면서 허용 처짐량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철골조나 철근콘크리트조의 춤이 큰 바닥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보를 채택하면, 비용이 많이 드는 치올림 처리를 하지 않고도 얕은 바닥구조로 허용처짐량을 유지할 수 있다.
2. Luth Headquarters Building, 쿠알라 룸플, 말래이시아
Luth Headquarters Building은 쿠알라 룸품에 위치한 38층 높이의 사무소 건물이다. 모든 층은 원형이고 원형 중앙코어를 포함하고 있다. 1층 위의 모든 바닥판은 전부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 40개의 방사선 방향의 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며, 이 슬래브들은 현장에서 덧쳐저 합성시스템을 이룬다.
3. 311 South Wacker Drive, 시카고
프리스트레스 바닥판은 세계 도처의 건물에서 특히 주차장과 쇼핑센터와 같은 저층 구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프리텐션 바닥은 1960년대 이래로 꾸준히 보급되어 왔고, 현장타설 포스트텐션 바닥은 1970년대 중반 이래로 폭 넓게 수용되어 왔다. 포스트텐션 바닥은 1980년대 초반 이래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고층사무소 건물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미국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시카고의 311 South Wacker Drive건물로, 완공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콘크리트 건물이었다. 사무실용 고층건물은 기둥이 없는 효율적인 공간을 얻기 위하여 통상 장스팬의 바닥판을 가지며, 스팬은 일반적으로 코어와 외면 사이에서 불연속으로 되어있다. 장스팬을 이루면서 허용 처짐량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철골조나 철근콘크리트조의 춤이 큰 바닥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보를 채택하면, 비용이 많이 드는 치올림 처리를 하지 않고도 얕은 바닥구조로 허용처짐량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