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나르시시즘의 의미
2. 모든 사람은 나르시시스트가 될 수 있다.
Ⅱ. 본론 : 사례를 통한 나르시시즘의 분석 및 자기애의 규명
1. '된장녀’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2. 명품 신드롬과 나르시시즘
3. 자살이라는 자기애의 실현
Ⅲ. 사랑이란 이름의 나르시시즘
1.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2.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지는 이유
3.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 불완전한 모습 그대로 보아라!
4.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 경계를 정하자
Ⅳ. 청소년기의 나르시시즘
1.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라
Ⅴ. 결론
적당한 자기애
2. 모든 사람은 나르시시스트가 될 수 있다.
Ⅱ. 본론 : 사례를 통한 나르시시즘의 분석 및 자기애의 규명
1. '된장녀’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2. 명품 신드롬과 나르시시즘
3. 자살이라는 자기애의 실현
Ⅲ. 사랑이란 이름의 나르시시즘
1.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2.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지는 이유
3.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 불완전한 모습 그대로 보아라!
4. 나르시시스트와 사랑에 빠졌을 때 - 경계를 정하자
Ⅳ. 청소년기의 나르시시즘
1.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라
Ⅴ. 결론
적당한 자기애
본문내용
혼을 강탈하여 넋을 잃게 했다. 만약 나르키소스가 수면에 반사된 자신의 모습과 대면하지 않았다면 그는 무사했을까? 하지만 그가 수면을 피하기란 애초에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나르키소스가 필연적으로 물에 비친 자신과 대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그 해답을 숙명처럼 짊어지고 잇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신화는 자기 투영의 예술적 존재로서 호수의 수면을 채택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와 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시 한 번 돌이켜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한 때는 내가 자기애를 너무 갈구해서 그것이 이기심으로 변하지는 않았는지, 또 다른 한편으로 다른 사람의 자기애에 착취당하면서 사람과의 관계를 정립해가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말이다. 개강한지 몇 주 지나지 않아서 나는 ‘명지대생은 약간 자신감이 부족한 것 같아.’라는 말을 몇 번이고 들었다. 교수님들, 졸업을 앞둔 선배님들, 그리고 친구들로부터 말이다. 명지인들 스스로도 약간 적극적인 무엇인가가 필요할 텐데.. 라는 생각을 하는 것 같지만, 그것에 대해서 스스로 타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이 들다. 강의시간 교수님의 질문에 얼굴을 붉히는 친구들을 보면서 ‘저 질문이 그렇게 어려운 질문은 아닌데 우물쭈물 하는 구나’라는 생각을 하며 한편으로는 나한테 질문이 떨어지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한다. 조금은 자기애를 부풀리고 자신감을 위해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참고문헌
샌디호치키스(2006). 나르시시즘의 심리학.
김상봉(2002). 나르시스의 꿈.
나르키소스가 필연적으로 물에 비친 자신과 대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그 해답을 숙명처럼 짊어지고 잇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신화는 자기 투영의 예술적 존재로서 호수의 수면을 채택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와 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시 한 번 돌이켜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한 때는 내가 자기애를 너무 갈구해서 그것이 이기심으로 변하지는 않았는지, 또 다른 한편으로 다른 사람의 자기애에 착취당하면서 사람과의 관계를 정립해가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말이다. 개강한지 몇 주 지나지 않아서 나는 ‘명지대생은 약간 자신감이 부족한 것 같아.’라는 말을 몇 번이고 들었다. 교수님들, 졸업을 앞둔 선배님들, 그리고 친구들로부터 말이다. 명지인들 스스로도 약간 적극적인 무엇인가가 필요할 텐데.. 라는 생각을 하는 것 같지만, 그것에 대해서 스스로 타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이 들다. 강의시간 교수님의 질문에 얼굴을 붉히는 친구들을 보면서 ‘저 질문이 그렇게 어려운 질문은 아닌데 우물쭈물 하는 구나’라는 생각을 하며 한편으로는 나한테 질문이 떨어지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한다. 조금은 자기애를 부풀리고 자신감을 위해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참고문헌
샌디호치키스(2006). 나르시시즘의 심리학.
김상봉(2002). 나르시스의 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