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경제성 공학 연습문제 풀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학)경제성 공학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직접노무비배부율
×제품 ⅰ의 단위생산당 직접노무비
DATA)
연간 총제조간접비= 8,500만원
연간총직접노동비= 270만원+320만원+180만원+290만원+420만원= 1,480만원
직접노무비배부율=
8,500만원
= 5.74
1,480만원
제품 Ⅰ) 제품 Ⅰ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5.74×270만원=15,498,000원
제품 Ⅱ) 제품 Ⅱ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5.74×320만원=18,368,000원
제품 Ⅲ) 제품 Ⅲ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5.74×180만원=10,332,000원
제품 Ⅳ) 제품 Ⅳ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5.74×290만원=16,646,000원
제품 Ⅴ) 제품 Ⅴ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5.74×420만원=24,108,000원
2) 直接材料費法
공식)
직접재료비배부율=
연간총제조간접비
연간총직접재료비
제품ⅰ의 단위당 제조간접비배부액(overhead)=직접재료비배부율
×제품 ⅰ의 단위생산당 직접재료비
DATA)
연간 총제조간접비= 8,500만원
연간총직접재료비= 850만원+720만원+650만원+420만원+900만원= 3,540만원
직접재료비배부율=
8,500만원
= 2.40
3,540만원
제품 Ⅰ) 제품 Ⅰ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2.40×850만원=2,040만원
제품 Ⅱ) 제품 Ⅱ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2.40×720만원=1,728만원
제품 Ⅲ) 제품 Ⅲ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2.40×650만원=1,560만원
제품 Ⅳ) 제품 Ⅳ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2.40×420만원=1,000만원
제품 Ⅴ) 제품 Ⅴ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2.40×900만원=2,160만원
3) 直接勞務時間法
공식)
직접노무시간배부율=
연간총제조간접비
연간직접노무시간
제품ⅰ의 단위당 제조간접비배부액(overhead)=직접노무시간배부율
×제품 ⅰ의 단위생산당 직접노무시간
DATA)
연간 총제조간접비= 8,500만원
연간직접노무시간= 1,350시간+1,080시간+950시간+1,250시간+1,500시간= 6,130시간
직접노무시간배부율=
8,500만원
= 1.38만원/시간
6,130시간
제품 Ⅰ)
제품 Ⅰ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1.39만원/시간×1,350시간=18,765,000원
제품 Ⅱ)
제품 Ⅱ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1.39만원/시간×1,080시간=15,012,000원
제품 Ⅲ)
제품 Ⅲ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1.39만원/시간×950시간=13,205,000원
제품 Ⅳ)
제품 Ⅳ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1.39만원/시간×1,250시간=17,375,000원
제품 Ⅴ)
제품 Ⅴ의 단위 생산당 제조간접비배부액=1.39만원/시간×1,500시간=20,850,000원
제 3 장
利子와 利子公式
□ 연습문제
(1) 화폐의 시간적 가치란 무엇인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하는 수익력 (利子)으로 투자기간 동안 원금에 대한 이자뿐 아니라 이자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2) 은행에서 연리 125로 5,000,000원을 융자했다면 1년후의 이자는 얼마인가?
I = P×i× n ( 이자 = 원금 × 이자율 × 사용기간 )
= 5,000,000 × 0.12 × 1
= 6,000,000원
(3) 회사가 새로운 공정에 50,000,000원을 투자하여 1년만에 750,000원의 이익을 올렸다면 이율은 얼마인가?
i = ( I / P ) × 100 이율(%) = (단위기간당 이자/원래의 투자액)×100
= ( 750,000 / 50,000,000 ) * 100 = 1.5 %
(4)1,000,000원을 3년간 저축하려 한다. 연 단리 7%와 연 복리 6%의 두가지 조건 중 어느 것이 투자자 입장에서 유리하겠는가?
1) 연 단리 7%
I = P×i×n 이자 = 원래의 투자액 × 이자율 × 단위기간
= 1,000,000×0.07×3
= 210,000원
총액(F) = 원래의 투자액 + 이자
= 1,000,000 + 210,000
= 1,210,000원
2) 연 복리 6%
총액(F)= P(1+i)n
= 1,000,000(1+0.06)3
= 1,191,016원
따라서, 연 단리 7%가 더 유리한 조건이다.
(5) 150,000원 차용하고 2년째에 180,000원을 상환하여야 한다면 차용금에 대한 이자율은 얼마인가(이자는 연복리라고 가정)?
P(원금) : 150,000원, F(미래금) : 180,000 원, n(이자기간) : 2년
i(이자율) : ?
F = P ( 1 + i )n
180,000 = 150,000 ( 1 + i )2
1.2 = ( 1 + i )2
1 + i = 1.09544511
i = 0.0954
이자율 : 9.54 %
(6) 지금부터 5년후 예금구좌에 3,000,000원이 되도록 적립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면 이율이 8%라 할 때 지금 얼마를 적립해야 하는가?
n(이자기간) : 5년, F(미래금) : 3,000,000원, i(이율) : 8%,
A(연차동일액) = ?
A = [ i / { ( 1 + i )n - 1}]
= 3,000,000[0.08 / {(1 + 0.08 )5 -1 }]
= 3,000,000 × 0.1705
= 511,500원
(7) 1년 말부터 5년동안 매년 100,000원을 적립한다면 5년째에 은행구좌에는 얼마가 들어 있겠는가?(연리는 12%라 한다.)
i(이율) : 12% , n(이자기간) : 5년, A(연차동일액) : 100,000원,
F(미래금) : ?
F = A [ { ( 1 + i )n - 1 } / i ]
= 100,000 [ { (1.12)5 - 1 } / 0.12 ]
= 1,000,000 × 6.3528
= 635,280원
(8) 이자율 연 10%로 450,000원을 융자하였다. 이것을 1년후로부터 매년 일정액씩 10년동안 상환하려면 얼마씩 갚아야 하는가?
i(이율) : 0.1% , n(이자기간) : 10년 , P(원금) : 450,000원 ,
A(연차동일액) : ?
A = [ { i ( 1 + i )n } / { ( 1 + i )n - 1} ]
= 450,000 × 0.1627
= 73,260원
(9) 이율이 10%일

키워드

경제성,   공학,   연습,   문제,   풀이,   경영
  • 가격3,3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8.05.2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