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획의 배경의 성격
2. 국토계획의 여건과 전망
- 국토의 현황
- 인구 변화전망
- 국토의 문제점과 과제
3. 계획의 기본방향
- 계획의 기조와 목표
- 약동하는 통합 국토 구조의 구축
- 6대 추진 전략
4. 결 론
5. (참고자료) 권역별ᆞ시도별 발전방향
2. 국토계획의 여건과 전망
- 국토의 현황
- 인구 변화전망
- 국토의 문제점과 과제
3. 계획의 기본방향
- 계획의 기조와 목표
- 약동하는 통합 국토 구조의 구축
- 6대 추진 전략
4. 결 론
5. (참고자료) 권역별ᆞ시도별 발전방향
본문내용
시도별 발전방향
수도권(서울)
서울시의 기본목표는 동북아경제를 선도하는 세계도시, 서울다움이 느껴지는 문화도시, 자연이 되살아나는 생태도시,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복지도시의 기본목표를 가지고 있다. 용산, 강남, 여의도, 상암 지역을 국제업무거점으로 육성시키며 동북아의 전략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계획이다. 또한 도심에 역사문화벨트. 즉. 창경궁~창덕궁~경복궁~덕수궁을 지정하고 대학로와 북촌 사간동 인사동을 문화지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생태도시로의 전환도 시작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청계천을 되살려 한강생태를 복원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문화공간으로 활용한 것이 그중에 하나이다.
강원권
강원권은 생명건강 중심지역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기본목표또한 한반도 생명건강지대, 한민족 평화`생태지대이다.
수도권(서울)
서울시의 기본목표는 동북아경제를 선도하는 세계도시, 서울다움이 느껴지는 문화도시, 자연이 되살아나는 생태도시,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복지도시의 기본목표를 가지고 있다. 용산, 강남, 여의도, 상암 지역을 국제업무거점으로 육성시키며 동북아의 전략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려는 계획이다. 또한 도심에 역사문화벨트. 즉. 창경궁~창덕궁~경복궁~덕수궁을 지정하고 대학로와 북촌 사간동 인사동을 문화지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생태도시로의 전환도 시작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청계천을 되살려 한강생태를 복원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문화공간으로 활용한 것이 그중에 하나이다.
강원권
강원권은 생명건강 중심지역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기본목표또한 한반도 생명건강지대, 한민족 평화`생태지대이다.
추천자료
도시계획 체계
지구단위계획의 내용과 역할
도시계획시설
종합 스포츠 센터 조사
아산신도시개발계획
[도시][도시계획][도시화]도시의 개념, 요소, 구성, 도시계획과 도시화 발전 사례 및 향후 제...
[신도시]신도시(신도시계획, 신도시개발)의 개념, 신도시(신도시계획, 신도시개발)의 의의와 ...
지구단위계획_국내사례_조사_및_분석서울시_한남지구_동해시_중심
[울산지역, 협력사업, 경제구조, 노동운동, 상수도, 음악, 발전계획]울산지역의 협력사업, 울...
[정보관리시스템][정보관리][노숙자정보관리시스템][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노숙자(노숙인)...
계획제한과 손실보상
개발행위허가제,개발행위 개념,개발행위 대상,개발행위 절차,도시 군 계획시설사업,도시군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