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 호 계 획 지
본문내용
동 진단명 : 담낭염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담도계 폐쇄 ·
담낭염증으로 인한 통증
1. 통증의 성격, 빈도, 위치, 방사, 음식과 통증의 관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2. 급성 담낭염 환자는 침상 안정시킨다
3. 금식시키고, 정맥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4. 처방에 의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2
금식,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1. 활력증후, 피부색깔, 섭취량과 배설량, 체중을 자주 관찰한다.
2. 전해질을 자주 측정하고 부족하면 보충한다.
3. 구강섭취가 부족하거나 불가능하면 비경구적으로 전해질, 수분,
교질액을 보충하고 체액보충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관찰 기록한다.
4. 비경구적 고영양 식이를 시행한다.
5. 구강섭취가 허용되면 메스꺼움, 구토, 음식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자주 관찰한다.
#3
진단검사 및 시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1. 검사를 위한 합리적 근거, 필요한 준비 및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2.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지를 해 준다.
3.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Inflammatory Bowel Disease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장점막 염증과
관련된 설사
1. 필요시 지사제를 투여한다.
2.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사정( I&O Check, 체중 측정)한다.
3. 구강 건조, 빈맥, 발진, 소변정체가 있는지 사정한다.
4. 위장 자극이 생기면 음식물과 함께 투여한다.
5. 복부 팽만, 통증, 발열 사정한다.
6. 배변 횟수와 대변 경도 사정한다.
7. 항문 주변 피부 찰과상 관찰한다.
#2
설사,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 부족
1. 대상자가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다면, 수분, 음식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2. 빈혈과 VitB12 결핍증 교정한다.
3. TPN(Total Parenteal Nutrition)투여한다.
#3
점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1. 통증사정, 처방된 진통제 투여한다.
2. 통증에 대한 호소내용에 변화를 기록한다.
3.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금한다.
#4
질병과 질병악화에 대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1. 장기간의 스트레스가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이나 악화이전에
선행되어 나타난다는 걸 인지시킨다.
2. 퇴원 후 추후 신체 검사를 계획대로 받으며, 장질환 증상기간과
그 진단에 따라서 1-2년마다 결장경 검사를 받도록 권고한다.
3. 궤양성 대장염 대상자에게서는 암 발생율이 높기 때문에 5년이나
그 이상 이 질환을 앓는 대상자들은 결장경 검사나 바륨 관장
검사를 받도록 한다.
4. 염증성 장질환의 재발 증상이 나타나면 그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5. 만약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대한 내과적 관리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외과적 중재가 필요할 수도 있음을 설명한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위염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위점막 자극과
관련된 통증
1.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2. 위염의 원인과 질병을 악화시킬수 있는 음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4. 소량의 식사를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5. 흡연을 피하도록 한다.
6. 잦은 휴식을 취하고, 안정된 병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7. 야간의 통증을 경험하면, 통증이 생기기전 한 시간 전에 가벼운
음식을 먹도록 한다.
8. hat bag을 대준다.
#2
식욕 감소 및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1. input/output을 모니터 한다.
2. 오심 &구토가 가라앉을 때까지 금식시킨다.
3. 수액을 공급한다.
4. 빈혈이 있을 시는 vitamin을 투여한다.
5. 식품 선호 사항을 확인하여 금기가 아니면 먹도록 격려하고
필요한 경우 집에서 준비한 식사를 가져오도록 한다.
#3
질병과 관련된 관련된 지식부족
1.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질병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특성을 설명해 준다.
3. 발병원인 및 자극을 적게 해주는 요인들을 인식시킨다.
4.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과다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한다.
5. 필요시 영양사와 식이 상담을 한다.
6. 위염을 악화시키는 약물들을 가르쳐 준다.
7. 통증이 없어도 치유될 때까지 내과적 치료가 계속 되어야 하는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급성 췌장염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췌장의 부종, 팽만, 복막자극과 관련된 통증
1.처방에 따라 Meperidine을 자주 투여한다
2. 진통제 투여 전·후의 동통 수준을 사정한다
3. 완화되지 않는 동통이나, 동통의 강도가 증가되면 보고한다
4. 2시간마다 체위변경 시킨다
5. 췌장 효소의 분비억제를 위해 금식한다
6. 위장 분비물 제거와 복부팽만감을 완화시킨다
7. 구강간호를 자주 해준다
8. 위장 튜브를 잠그고 난 후에 제산제를 투여한다.
#2
오심, 섭취제한,
발열 등과 관련된 체액부족
1.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
2. 수분과 전해질을 상실하는 근원을 사정한다
3. 처방대로 혈장, 알부민 혈액을 투여한다
4. 복수형성 여부를 사정한다
5. 혈압하강이나 소변 배출량의 감소, 맥박증가 등을 즉시 보고한다
#3
계속적인 금식으로 인한 영양 요구의 증가와 관련된
영양 부족
1. 최근의 영양상태와 증가된 대사요구량을 사정한다
2. 혈당치를 검사해 처방된 대로 인슐린을 투여한다
3. 처방된 대로 비경구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4. 허용하는 대로 고탄수화물, 저단백, 저지방이식을 제공한다
5. 알코올을 금하도록 교육한다
6. 커피와 향료음식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도록 설명한다
#4
심한통증, 늑막삼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1. 호흡상태(횟수, 양상, 소리)를 사정한다
2. 환자를 앉아 있게 하거나,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3. 호흡기능 증진을 위해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4. 처방된 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5.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담도계 폐쇄 ·
담낭염증으로 인한 통증
1. 통증의 성격, 빈도, 위치, 방사, 음식과 통증의 관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2. 급성 담낭염 환자는 침상 안정시킨다
3. 금식시키고, 정맥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4. 처방에 의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2
금식,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1. 활력증후, 피부색깔, 섭취량과 배설량, 체중을 자주 관찰한다.
2. 전해질을 자주 측정하고 부족하면 보충한다.
3. 구강섭취가 부족하거나 불가능하면 비경구적으로 전해질, 수분,
교질액을 보충하고 체액보충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관찰 기록한다.
4. 비경구적 고영양 식이를 시행한다.
5. 구강섭취가 허용되면 메스꺼움, 구토, 음식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자주 관찰한다.
#3
진단검사 및 시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1. 검사를 위한 합리적 근거, 필요한 준비 및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2.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지를 해 준다.
3.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Inflammatory Bowel Disease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장점막 염증과
관련된 설사
1. 필요시 지사제를 투여한다.
2.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사정( I&O Check, 체중 측정)한다.
3. 구강 건조, 빈맥, 발진, 소변정체가 있는지 사정한다.
4. 위장 자극이 생기면 음식물과 함께 투여한다.
5. 복부 팽만, 통증, 발열 사정한다.
6. 배변 횟수와 대변 경도 사정한다.
7. 항문 주변 피부 찰과상 관찰한다.
#2
설사,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 부족
1. 대상자가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다면, 수분, 음식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2. 빈혈과 VitB12 결핍증 교정한다.
3. TPN(Total Parenteal Nutrition)투여한다.
#3
점막의 염증과
관련된 통증
1. 통증사정, 처방된 진통제 투여한다.
2. 통증에 대한 호소내용에 변화를 기록한다.
3.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금한다.
#4
질병과 질병악화에 대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1. 장기간의 스트레스가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이나 악화이전에
선행되어 나타난다는 걸 인지시킨다.
2. 퇴원 후 추후 신체 검사를 계획대로 받으며, 장질환 증상기간과
그 진단에 따라서 1-2년마다 결장경 검사를 받도록 권고한다.
3. 궤양성 대장염 대상자에게서는 암 발생율이 높기 때문에 5년이나
그 이상 이 질환을 앓는 대상자들은 결장경 검사나 바륨 관장
검사를 받도록 한다.
4. 염증성 장질환의 재발 증상이 나타나면 그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5. 만약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대한 내과적 관리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외과적 중재가 필요할 수도 있음을 설명한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위염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위점막 자극과
관련된 통증
1.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2. 위염의 원인과 질병을 악화시킬수 있는 음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4. 소량의 식사를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5. 흡연을 피하도록 한다.
6. 잦은 휴식을 취하고, 안정된 병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7. 야간의 통증을 경험하면, 통증이 생기기전 한 시간 전에 가벼운
음식을 먹도록 한다.
8. hat bag을 대준다.
#2
식욕 감소 및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1. input/output을 모니터 한다.
2. 오심 &구토가 가라앉을 때까지 금식시킨다.
3. 수액을 공급한다.
4. 빈혈이 있을 시는 vitamin을 투여한다.
5. 식품 선호 사항을 확인하여 금기가 아니면 먹도록 격려하고
필요한 경우 집에서 준비한 식사를 가져오도록 한다.
#3
질병과 관련된 관련된 지식부족
1.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질병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특성을 설명해 준다.
3. 발병원인 및 자극을 적게 해주는 요인들을 인식시킨다.
4.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과다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한다.
5. 필요시 영양사와 식이 상담을 한다.
6. 위염을 악화시키는 약물들을 가르쳐 준다.
7. 통증이 없어도 치유될 때까지 내과적 치료가 계속 되어야 하는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간 호 계 획 지
간호단위 : 62병동 진단명 : 급성 췌장염
번호
발생일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평가
해결일
서명
#1
췌장의 부종, 팽만, 복막자극과 관련된 통증
1.처방에 따라 Meperidine을 자주 투여한다
2. 진통제 투여 전·후의 동통 수준을 사정한다
3. 완화되지 않는 동통이나, 동통의 강도가 증가되면 보고한다
4. 2시간마다 체위변경 시킨다
5. 췌장 효소의 분비억제를 위해 금식한다
6. 위장 분비물 제거와 복부팽만감을 완화시킨다
7. 구강간호를 자주 해준다
8. 위장 튜브를 잠그고 난 후에 제산제를 투여한다.
#2
오심, 섭취제한,
발열 등과 관련된 체액부족
1.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
2. 수분과 전해질을 상실하는 근원을 사정한다
3. 처방대로 혈장, 알부민 혈액을 투여한다
4. 복수형성 여부를 사정한다
5. 혈압하강이나 소변 배출량의 감소, 맥박증가 등을 즉시 보고한다
#3
계속적인 금식으로 인한 영양 요구의 증가와 관련된
영양 부족
1. 최근의 영양상태와 증가된 대사요구량을 사정한다
2. 혈당치를 검사해 처방된 대로 인슐린을 투여한다
3. 처방된 대로 비경구 영양 및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4. 허용하는 대로 고탄수화물, 저단백, 저지방이식을 제공한다
5. 알코올을 금하도록 교육한다
6. 커피와 향료음식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도록 설명한다
#4
심한통증, 늑막삼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1. 호흡상태(횟수, 양상, 소리)를 사정한다
2. 환자를 앉아 있게 하거나, 반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3. 호흡기능 증진을 위해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4. 처방된 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5.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