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분배장치 및 냉온열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기분배장치 및 냉온열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이 론-
1. 공기분배장치
1. 송풍기
2. 덕트
3. 외기취입구와 배기구
4. 취출구와 흡입구
5. 댐퍼
2. 냉온열원
1. 축열시스템
2. 냉열원장치
3. 온열원장치

☆ 현장조사 - 전라북도청사

본문내용

<목 차>
-개 요-
-이 론-
1. 공기분배장치
1. 송풍기
2. 덕트
3. 외기취입구와 배기구
4. 취출구와 흡입구
5. 댐퍼
2. 냉온열원
1. 축열시스템
2. 냉열원장치
3. 온열원장치
☆ 현장조사 - 전라북도청사
<서론>
1. 개요
공기조화장치는 공기를 정화, 냉각·감습, 가열·가습을 하는 섹션으로, 이 섹션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각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을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Air Handling Unit : AHU, 공조기) 즉 공기여과기, 공기냉각기, 감습기, 공기가열기, 가습기 및 송풍기 등의 기기를 1∼2개의 케이싱내에 조합된 유닛(Unit)을 공기조화기(空氣調和機) 또는 공조기(空調機)하고 하며 중앙식 공기조화기와 개별식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누어진다.
중앙식 공기조화기는 전체 제어방식이나 존 제어방식에서 중앙의 공조기실 또는 존별 공조기실에 배치하는 것을 말하며 중앙식 공조기는 현장조립형, 공장조립형(일체형), 멀티존 공조기로 분류된다.현장조립형 공조기는 현장설치형 공조기라고도 말하며 대규모 건물의 중앙공조기 또는 1차 공조기로 이용되는 대형 공조기로, 냉열원(냉수)나 온열원(온수)를 공급받아 공기와의 열교환을하는 열교환부분(공기가열기, 공기냉각기 등)과 공기를 여과하거나 송풍하는 공기처리부분을 각기 단독으로 현장에서 조립하고 그 사이를 연결 케이싱으로 이어 일체화한 것을 말한다.
공장조립형 공조기는 일체형이라고도 말하며 중형, 소형으로 현장조립식의 공조기에 비해 설비비가 저렴, 시공의 간편성등을 도모할 목적으로, 공장에서 사전에 각 기기를 1개의 케이싱내에 조립해서 패키지화한 것을 말한다.
멀티존 공조기는 1대로 몇개 존의 공조 즉 멀티존 유닛(Unit)방식의 공조를 하도록 한 것이다. 송풍기는 보통, 삽입식으로 공기냉각기와 공기가열기로 공기를 보내고 출구에서 이 2종류의 공기를 댐퍼(Damper 조절기)로 적당히 혼합해서 그 존에 필요한 송풍온도로 조정하는 조정댐퍼 섹션이 몇개 조합되어 있다.
AHU 흐름도(계락적인 흐름도)
<본론>
1. 공기분배장치
공기분배장치는 실내공기조화를 위해 중앙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잘 조절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기 위한 제반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송풍기, 덕트, 외기취입구, 취출구 흡입구, 댐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송풍기
기계적인 에너지를 기체에 주어서 압력과 속도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기계인 송풍기는 인간의 생활향상을 위한 일반건축물의 급배기용 및 공기조화용으로 활용됨은 물론 산업체의 제조공정용, 보일러 및 발전설비의 연소공기 공급용, 광산·지하철 및 터널등의 급배기용으로 산업발전을 크게 뒷바치해온 가장 중요하고도 사용용도가 매우 관범위한산업기계로서 국내 산업체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필수적으로 송풍기 주요증가를 수반하며 송풍기 가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송풍기는 정압 1000㎜Aq(=0.1㎏/㎠)미만을 팬(fan)이라 하고, 1000㎜Aq 이상을 블로어(blower)라 한다. 그러나 공조용에서는 300㎜Aq 이하의 압력을 사용하므로 송풍기라 하면 팬(fan)이라 칭한다.
-공조용 송풍기의 종류와 특징-
품 명
특 징
취급기체의 성질
용 도

익 형FAN
후곡형(BACKWARD, CURVED)의비행날개단면 형상의 임펠러를갖고 특히 효율이 우수하고 소음이적은 것이 특징
상온공기 또는 부식성,마모성이적은 기체
보일러용 압입통풍기, 광산용주FAN 시멘트COOLER 냉각용, 각종 로, 가마의 송풍용,Ejector 송풍용, Duct량이 적은 배풍용

터 보FAN
후곡형(BACKWARD,CURVED),단엽날개의 임펠러를 갖고, 고효율과 내구성을 겸비하여 적용범위가넓고 사용이 간편함
상온공기는 물론,약간의 부식성,마모성DUST를 함유한 공기(gas),, 부착성 성분이 있는 공기(gas), 고온공기(gas)
각종 집진장치, 배연탈류장치, 중유보일러, 철강용평로, 전로·전기로 등의 배기용, 시멘트COOLER배기용, 요업용 등 450℃까지의 고온가스의 순환용, 유인용

플레이트FAN
경방향의 날개(RADIAL VANE)인임펠라를 갖은, 특히 내열, 내마모, 내식에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는 `강력 구조용 FAN임
부식성, 마모성이 많은 기체, 부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체,고온기체
석탄보일러 유인통풍기, 소각로배풍기, 시멘트키론, COOLER등의 배기유입용, PULP공업회수보일러, 폐열보일러의 유인용, 각종 로,요업용 고온기체 순환기, 목핀·수지핀 등의공기 수송용, 화학
  • 가격3,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08.05.2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