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열분해장치, 가열방식, 기본공정, 장치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열분해장치, 가열방식, 기본공정, 장치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열방식
가. 무산소의 열풍으로 로내에 송입하는 방법
나. 무산소의 열풍과 로 내의 부분연소 병용방법
다. 직화 가열식
라. 부분연소법

2. 가열방식에 따른 장치의 구분
가. 외열식 열분해방식
나. 내열식 열분해방식

3. 열분해의 기본 공정
(1) 전처리 : 분쇄.분별.건조 (2) 열처리 : 열분해,
(3) 후처리 : 분리.정제.저장.이용 (4) 공해관리 : 배기가스 처리, 배수처리, 잔사

4. 열분해 장치의 종류
가. 열분해장치의 형태
나. 열분해장치의 종류

본문내용

부로 배출된다. 가스의 상승속도는 0.2 ∼ 0.6 m/hr로 체류기간이 비교적 길다. 유동상 열분해 장치는 고정상과 부유상태의 열분해 장치의 중간단계로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폐기물의 수분함량의 변화에도 큰 문제없이 운전되는 장점을 가져왔으나 열손실이 크며 운전이 까다로운 것이 결점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유 상태의 열분해 장치는 가장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 어떠한 종류의 폐기물도 열분해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작아야 하며 또한 유입량이 크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나. 열분해장치의 종류
(1) 이동층식 열분해 방식
용광로와 같은 Shaft Kiln을 이용한 열분해 장치로서 분해열의 공급 방식에 따라 내열식과 외열식으로 분류한다.
① 고온 용융 방식 : 쓰레기 중의 유기물을 천수 백도의 고온으로 열분해 가스화를 하는 동시에 무기물을 안정한 용융 슬러그로 고형화한다.
② 외열식 이동층 방식 : 분해로 외벽을 생성가스로 가열하는 방식, 쓰레기가 투입되 어 벽면의 젖은 열에 의하여 건류되어 열분해와 연소가 동시에 일어난다. 여기에서 저산소 분위기를 유지하므로 연소에 의하여 열이 공급되고, 발생된 열에 의하여 열분해가 촉진된다.
(2) 다단식 방식
탑형의 연소로를 단을 두어, 상부의 단을 건조단으로 하고 하부의 단을 열분해로 사용하여 폐기물을 분해하는 장치
(3) 로타리킬린 방식
원통형의 회전로를 설치하여 로의 회전과 함께 폐기물을 이송시키면서, 무산소상태하에 열분해되는 장치
(4) 유동층식 방식
① 단탑형
열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부분연소와 열분해를 동시에 병용하는 방식으로서 기름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500℃로 낮고, NOx 발생이 거의 없고, 로의 손상을 끼치지 않는다.
② 2탑형
열분해탑과 연소탑을 별개로 설치하여 이들과의 사이에 모래를 순환시켜 연소탑에서의 재의 연소와 열분해를 분리한 것이며, 가스화를 위한 열분해온도로서는 700 ~ 800℃로서 가스를 회수한다.
(5) 프래시서스팬션 방식 (Oxidental process, Garret process)
열분해 유화를 목적으로 한 프로세스로서 열분해 반응용기로 스텐레스 수직관을 이용하여 이것에 미분쇄한 유기물 원료와 열분해 생성물인 회분을 함께 반응조에 통과시킨다. 관로를 통과하는 동안 열분해 회분은 사이클론으로 분리, 가스는 80℃로 급냉되어 액상의 유분(5800 kcal)으로 분리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03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