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석유의 개념과 역사
Ⅲ. 석유의 특성
Ⅳ. 석유의 성분과 성상
Ⅴ. 석유의 생성
1. 유전의 생성
2. 유전의 발견
Ⅵ. 석유의 미래
1. 석유는 유한자원
2. 슬며시 다가오는 석유위기
참고문헌
Ⅱ. 석유의 개념과 역사
Ⅲ. 석유의 특성
Ⅳ. 석유의 성분과 성상
Ⅴ. 석유의 생성
1. 유전의 생성
2. 유전의 발견
Ⅵ. 석유의 미래
1. 석유는 유한자원
2. 슬며시 다가오는 석유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유전의 규모, 구조, 성질등 경제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Ⅵ. 석유의 미래
1. 석유는 유한자원
현대는 석유문명의 시대라 일컬어진다. 자동차의 휘발유를 비롯하여 의료품, 생활용품, 건축재료, 그리고 식품의 포장등 우리들의 주변은 그 대부분이 석유 제품들이다. 그 덕분에 우리는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향유하고 있다. 석유는 1859년에 미국의 드레이크가 세계 최초의 유정을 발굴하는데 성공한 이래, 처음에는 등불용으로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자동차나 항공기의 연료로 대량 소비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석유의 수요, 용도는 비약적으로 확대되었고, 2차대전 후의 석유제품관련 기술의 진보는 특히 눈부시다. 겨우 50년 사이에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사회의 Infrastructure는 정비되었고 사람들은 석유문명사회 속에서 더욱 풍요로운 사회를 추구하고 있다.
세계의 석유생산은 현재 연간 2백37억 배럴로, 1940년 당시의 약 11배에 달한다. 석유는 한정된 자원으로 조만간에 고갈될 것이다. 3억년에 걸쳐서 축적된 석유자원을 인류는 겨우 200년에 다 써버리려 하고 있다.
현재 석유의 원시매장량은 7조배럴로 알려지고 있다. 이중 30%에 상당하는 약 2조2천억배럴이 배럴당 20달러 이하의 생산코스트로 채굴되고 있다. 앞으로 생산코스트는 상승할 전망인데 이산화탄소, 수증기나 화학물질을 사용한 증진회수기술 진보로 다시 8천억배럴이 채굴가능한 추가자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미 과거 백년간 7천억배럴이 소비되었기 때문에 잔존가채량은 2조3천억 배럴이 되는셈이다. 이중 1조배럴이 현재의 확인가채매장량이다. 나머지 1조3천억배럴은 경제적 채산성이 맞지 않아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자원이다.
생산량은 지난 1960년경부터 급증, 현재는 연간 2백40억배럴에 이르고 있다.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가채년수가 과거와 거의 변하지 않는 이유는 매년 생산량과 맞먹거나 또는 그 이상의 석유가 새로 확인매장량으로 추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인매장량으로 발견되는 만큼 미확인 매장량은 줄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면 석유는 도대체 언제부터 공급이 어려워질까?
2. 슬며시 다가오는 석유위기
석유의 안정공급을 위협하는 세 가지 불안요인이 있다. 그것은 석유수요의 지속적 증가, 자원의 편재성 그리고 환경?안전문제이다.
참고문헌
- 국제 경제 연구원(1981) / 중동 주요국의 석유 정책과 장기 원유 확정 방안
- 국제 경제 연구원(1979) / 원유가 급등과 주요국의 대응
- 김정인(2002) / 에너지관련법 제도개선 운동관련 주요내용 / 에너지시민연대 내부토론자료
- 김상연(기자)(2004) /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41년 뒤 바닥나는 석유 - - 대한 석유 협회1993 / 석유의 이해
- 에너지경제연구원(2005) / 석유개발지역성장사례연구
- 에너지 전환 준비할 때 / 과학동아
- 이필렬(2002) / 석유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 / 녹색평론사
- 조성문(1981) / 석유개발공학 / 대광서림
Ⅵ. 석유의 미래
1. 석유는 유한자원
현대는 석유문명의 시대라 일컬어진다. 자동차의 휘발유를 비롯하여 의료품, 생활용품, 건축재료, 그리고 식품의 포장등 우리들의 주변은 그 대부분이 석유 제품들이다. 그 덕분에 우리는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향유하고 있다. 석유는 1859년에 미국의 드레이크가 세계 최초의 유정을 발굴하는데 성공한 이래, 처음에는 등불용으로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자동차나 항공기의 연료로 대량 소비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석유의 수요, 용도는 비약적으로 확대되었고, 2차대전 후의 석유제품관련 기술의 진보는 특히 눈부시다. 겨우 50년 사이에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사회의 Infrastructure는 정비되었고 사람들은 석유문명사회 속에서 더욱 풍요로운 사회를 추구하고 있다.
세계의 석유생산은 현재 연간 2백37억 배럴로, 1940년 당시의 약 11배에 달한다. 석유는 한정된 자원으로 조만간에 고갈될 것이다. 3억년에 걸쳐서 축적된 석유자원을 인류는 겨우 200년에 다 써버리려 하고 있다.
현재 석유의 원시매장량은 7조배럴로 알려지고 있다. 이중 30%에 상당하는 약 2조2천억배럴이 배럴당 20달러 이하의 생산코스트로 채굴되고 있다. 앞으로 생산코스트는 상승할 전망인데 이산화탄소, 수증기나 화학물질을 사용한 증진회수기술 진보로 다시 8천억배럴이 채굴가능한 추가자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미 과거 백년간 7천억배럴이 소비되었기 때문에 잔존가채량은 2조3천억 배럴이 되는셈이다. 이중 1조배럴이 현재의 확인가채매장량이다. 나머지 1조3천억배럴은 경제적 채산성이 맞지 않아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자원이다.
생산량은 지난 1960년경부터 급증, 현재는 연간 2백40억배럴에 이르고 있다.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가채년수가 과거와 거의 변하지 않는 이유는 매년 생산량과 맞먹거나 또는 그 이상의 석유가 새로 확인매장량으로 추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인매장량으로 발견되는 만큼 미확인 매장량은 줄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면 석유는 도대체 언제부터 공급이 어려워질까?
2. 슬며시 다가오는 석유위기
석유의 안정공급을 위협하는 세 가지 불안요인이 있다. 그것은 석유수요의 지속적 증가, 자원의 편재성 그리고 환경?안전문제이다.
참고문헌
- 국제 경제 연구원(1981) / 중동 주요국의 석유 정책과 장기 원유 확정 방안
- 국제 경제 연구원(1979) / 원유가 급등과 주요국의 대응
- 김정인(2002) / 에너지관련법 제도개선 운동관련 주요내용 / 에너지시민연대 내부토론자료
- 김상연(기자)(2004) /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41년 뒤 바닥나는 석유 - - 대한 석유 협회1993 / 석유의 이해
- 에너지경제연구원(2005) / 석유개발지역성장사례연구
- 에너지 전환 준비할 때 / 과학동아
- 이필렬(2002) / 석유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 / 녹색평론사
- 조성문(1981) / 석유개발공학 / 대광서림
추천자료
[국제유가]최근 고유가 상황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류사용으로 인한 피해 및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
두바이유와 고유가 시대의 현황과 전망
에너지와 생명
국제유가상승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안제시
기업보고서 - gs칼텍스
s-oil 마케팅 전략 분석자료
고유가시대의 수출제조업 국제경쟁력 방안
국제유가 동향분석와 한국경제
[추천] 에스오일 (S-oil)의 마케팅 전략 분석 (3C SWOT) 및 전략 제시 (STP 4P)
고유가시대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세계경제] 고유가 시대에 따른 수출 제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
에너지안보 에너지패권에 따른 우리나라의 에너지 현황 수급과 전망
SK 이노베이션 & S-Oil 경영분석 (SK이노베에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