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의 개념,경제적 효과, FTA(자유무역협정)의 장점,단점,추진배경, 한국 FTA(자유무역협정)의 향후 전망, 중국, 일본과의 FTA(자유무역협정) 향후 전망 분석(FTA, 자유무역협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FTA][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의 개념,경제적 효과, FTA(자유무역협정)의 장점,단점,추진배경, 한국 FTA(자유무역협정)의 향후 전망, 중국, 일본과의 FTA(자유무역협정) 향후 전망 분석(FTA,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FTA(자유무역협정)의 개념

Ⅲ. FTA(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

Ⅳ. FTA(자유무역협정)의 장점

Ⅴ. FTA(자유무역협정)의 단점

Ⅵ. 한국 FTA(자유무역협정)의 추진배경

Ⅶ. 한국 FTA(자유무역협정)의 향후 전망

Ⅷ. 중국, 일본과의 FTA(자유무역협정) 향후 전망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범위한 통합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역내에서의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공급과 소비가 보장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할 것이다. 후발주자로서 이미 다른 두 지역무역협정에 비해 뒤져 있는 상황에서 최소한 NAFTA 수준의 통합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만 최소한이라는 의미를 통해 NAFTA의 수준을 뛰어넘는 지역통합의 가능성은 열어 놓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한·중·일 FTA가 경제적 이득만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3국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번영과 평화를 함께 도모하는 형태가 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3국이 수평적인 분업구조를 갖춘 상호 보완적인 산업구조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역내무역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만약에 경제통합의 혜택이 어느 한쪽에만 치우친다면 상호신뢰 구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중·일 FTA를 추진하는 데 있어 경제통합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데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한·중·일 FTA가 경제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동북아지역의 평화 정착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유용할 것이다. 즉 이 지역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동북아인들이 서로 교류하며 공동의 평화와 번영을 구가하는 데 있어 한·중·일 FTA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중·일 FTA를 통해 3국의 국민들이 공동의 경제적 이익을 누리는 외에 서로 자유롭게 왕래하면서 상대방의 역사와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동북아인들은 서로 공통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관심사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동북아공동체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Ⅸ. 결론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된 자유무역 협정(FTA)은 273건, 발효중인 것은 189건으로 집계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 해에만 11건의 FTA가 맺어졌고 33건의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체결된 FTA(역외국간 협정 중복포함)를 대륙별로 보면 아시아 7건(역내 5건, 역외 2건), 미주 6건(역내 3건, 역외 3건), 유럽 1건(역외)이다. 나라별로는 미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태국, 멕시코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경쟁국이 1건 이상의 FTA를 맺었고 우리나라는 일본하고만 FTA 협상을 시작했다.
나라별 FTA 체결국 수는 우리나라의 첫 FTA 상대인 칠레가 34개국과 협정을 맺었고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35개국, 멕시코 32개국, 유럽연합(EU) 31개국, 싱가포르 17개국, 미국 10개국, 태국 10개국 등이다.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비중은 멕시코 96.2%, EU 74.6%, 칠레 66.3% 등이며, 싱가포르(51.0%), 미국(41.1 %), 중국(17.8%), 인도(5.1%), 일본(3.6%)도 협정 대상국으로의 수출비중이 크게 늘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FTA 협상도 미주 17건, 아시아 12건, 유럽 11건, 대양주 4건 등으로 올해안에 적어도 8건의 FTA가 새로 발효되고 협상 타결 및 시작 건수도 각각 15건과 10건을 넘을 전망이다. 올들어 발효됐거나 발효될 것으로 예상되는 FTA는 한국-칠레, 미국-싱가포르, 미국-칠레, 대만-파나마, 중국-홍콩, 중국-마카오, 칠레-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인도-태국 협정이다. 협상 타결이 예상되는 것은 미국-호주, 미국-모로코, 미국-코스타리카, 미국-바레인, 일본-멕시코, 일본-말레이시아, 일본-태국, 일본-필리핀, 싱가포르-요르단, 인도-싱가포르, 인도-태국, 중국-아세안, 멕시코-아르헨티나, 인도-남아프리카공화 국 등이다. 협상 개시는 한국-싱가포르, 미국-도미니카, 미국-콜롬비아, 미국-페루, 일본- 태국, 일본-말레이시아, 일본-필리핀, 칠레-인도, 중국-싱가포르가 예정돼 있다. 나라별로는 미국의 경우 현재 진행중인 호주, 남아프리카 관세동맹(SACU) 등과의 협상을 계속하면서 바레인, 도미니카공화국 등과도 협상에 들어가 올해 8건의 FTA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미주지역 34개국이 참가하는 범미자유무역지대(FTAA) 협상도 주도적으로 이 끌어 간다는 방침이다. 올해부터 FTA 전담인력을 3배 늘린 일본은 현재 진행중인 멕시코, 한국과의 협상 외에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과 5건의 협상을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며, 올해 말 아세안 3국과의 협상타결을 목표로 하고있다. 싱가포르는 한국, 요르단, 인도와의 FTA 체결을 목표로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인도는 이달초 서명한 남아시아 FTA(SAFTA) 세부 협상을 비롯해 태국, 싱가포르, 남아공과 연내 협상 타결을 추진중이다. 이미 32개국과 FTA를 맺은 멕시코는 기존 협상에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되고 EU 는 WTO 다자간 무역협상 및 EU 확대에 주력하고 있어 당분간 FTA 체결 활동이 소강 상태를 보일 전망이다.
참고문헌
김준동(2000), 세계경제 여건의 변화와 투자협정·자유무역협정의 의의, KIEP 현안브리핑자료
김도형(2002), 한일 FTA관련 주요 쟁점논의 배경, 2002 한·중·일 FTA 남경 국제통상정김진중(2003), 한·칠레 FTA 협상 妥結에 따른 韓國의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김승태, 한국 FTA의 정책과 전망, 서강경제논집
경제사회연구회(2003), 동북아 중심국가 건설 연구
대한경제정책연구원(KIEP), 한미FTA 경제적 효과 해설
박종귀(2004), FTA와 한국경제의 미래, 새로운 사람들
배성인, 한미 FTA와 한미군사동맹, 한미FTA와 한국사회
세계화 FTA의 포커스, 한올 출판사
이윤영 외교통상부 자유무역협정정책과장, 한ㆍ싱가포르 FTA 타결
안충영, 자유무역협정의 효과와 한국의 대응
외교통상부 발표자료, 5억인구 거대시장의 ASEAN과 FTA 기본협정 서명
정인교(1999), 한·칠레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책포럼 및 국제학술대회, 한국국제통상학회
후안강, 중국.홍콩.한국.일본 간 자유무역지대 설립구상, 중국 청화대학
KOTRA(2002), 한·칠레 경제관계
FTA의 이해, 한올출판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5.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