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신체적 영향
(2) 여성과 술
술의 종류
술을 마시면 필름이 끊기는 이유
(1) 신체적 영향
(2) 여성과 술
술의 종류
술을 마시면 필름이 끊기는 이유
본문내용
, 미림 등은 동양의 술이다. 중국의 술인 백주는 무색 투명한 술이다. 또 다른 중국술인 황주는 노랑또는 주황색깔의 양조주이다. 일본술인 미림은 당분이 40%나 되는 단맛이 강한 술로서 주로 조미료용으로 사용된다.
술을 마시면 필름이 끊기는 이유
◆필름은 왜 끊길까?
알코올은 대뇌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때 대뇌 옆부분인 측두엽의 해마 부위에서 기억을 입력 저장 출력하는 과정 중 입력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 '필름 절단 사고'이다.
의학계에선 알코올의 독소가 직접 뇌세포를 파괴하기 보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 메카니즘에 이상이 생겨 기억이 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필름이 끊길 때 뇌의 다른 부분은 정상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술자리의 다른 사람은 필름 절단 사고를 알아채지 못한다. 뇌가 저장된 정보를 꺼내고 사용하는 것에는 이상이 없기 때문에 집에는 무사히 갈 수 있다. 또 뇌에 기억이 아예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최면요법사가 최면을 걸어도 '그때'를 기억할 수 없다.
◆ 블랙아웃
필름 끊기는 것의 의학용어는 '블랙아웃(Blackout)'이다. 원래 군사용어로 전투기 조종사가 전투기를 급상승시킬 때 일시적으로 시각장애가 일어나는 것, 공습에 대비한 등화관제, 전시의 보도관제, 본격적인 핵공격에 앞서 적의 미사일기지에 미사일을 쏟아부어 적 방공 체제를 무력화시키는 것 등을 뜻한다.
◆ 누가 필름이 잘 끊기는가?
선천적으로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0순위'이다. 또 술을 자주 마시면 뇌가 술에 취하는 것을 늦게 알기 때문에 만취할 가능성이 높아져 필름이 잘 끊어진다. '술꾼'중엔 유전적으로 필름이 안 끊기는 사람도 있다.
◆ 필름이 끊기면 알코올중독?
필름이 끊긴다고 곧 알코올 중독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술을 마실 때마다 필름이 끊겨 가정 직장 사회생활에 문제가 생기는데도 계속 술을 마신다면 알코올 중독이다. 필름이 계속 끊기면 비타민B의 일종인 시아민이 부족해 술을 마시지 않아도 필름이 끊기는 '베르니케―코르사코프 뇌증'에 걸릴 수 있다.
◆ 필름이 안 끊기는 묘책은?
술을 많이 마시면서 필름만 안끊기는 방법은 없다. 적게 마시는 수 밖에 없다. 평소 엽산과 시아민이 풍부한 채소류를 비롯해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욜라의 솔크생물학연구소에선 쥐 실험결과 운동을 하면 해마의 세포들이 자라나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뉴러사이언스지'에 발표하였다.
술을 마시면 필름이 끊기는 이유
◆필름은 왜 끊길까?
알코올은 대뇌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때 대뇌 옆부분인 측두엽의 해마 부위에서 기억을 입력 저장 출력하는 과정 중 입력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 '필름 절단 사고'이다.
의학계에선 알코올의 독소가 직접 뇌세포를 파괴하기 보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 메카니즘에 이상이 생겨 기억이 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필름이 끊길 때 뇌의 다른 부분은 정상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술자리의 다른 사람은 필름 절단 사고를 알아채지 못한다. 뇌가 저장된 정보를 꺼내고 사용하는 것에는 이상이 없기 때문에 집에는 무사히 갈 수 있다. 또 뇌에 기억이 아예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최면요법사가 최면을 걸어도 '그때'를 기억할 수 없다.
◆ 블랙아웃
필름 끊기는 것의 의학용어는 '블랙아웃(Blackout)'이다. 원래 군사용어로 전투기 조종사가 전투기를 급상승시킬 때 일시적으로 시각장애가 일어나는 것, 공습에 대비한 등화관제, 전시의 보도관제, 본격적인 핵공격에 앞서 적의 미사일기지에 미사일을 쏟아부어 적 방공 체제를 무력화시키는 것 등을 뜻한다.
◆ 누가 필름이 잘 끊기는가?
선천적으로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0순위'이다. 또 술을 자주 마시면 뇌가 술에 취하는 것을 늦게 알기 때문에 만취할 가능성이 높아져 필름이 잘 끊어진다. '술꾼'중엔 유전적으로 필름이 안 끊기는 사람도 있다.
◆ 필름이 끊기면 알코올중독?
필름이 끊긴다고 곧 알코올 중독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술을 마실 때마다 필름이 끊겨 가정 직장 사회생활에 문제가 생기는데도 계속 술을 마신다면 알코올 중독이다. 필름이 계속 끊기면 비타민B의 일종인 시아민이 부족해 술을 마시지 않아도 필름이 끊기는 '베르니케―코르사코프 뇌증'에 걸릴 수 있다.
◆ 필름이 안 끊기는 묘책은?
술을 많이 마시면서 필름만 안끊기는 방법은 없다. 적게 마시는 수 밖에 없다. 평소 엽산과 시아민이 풍부한 채소류를 비롯해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라욜라의 솔크생물학연구소에선 쥐 실험결과 운동을 하면 해마의 세포들이 자라나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뉴러사이언스지'에 발표하였다.
추천자료
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술과 건강
여성알코올문제와 태아알콜증후군
술(알코올) 정리
익명의 알콜중독자들
[맥주][소주][맥주산업][소주산업][맥주시장][소주시장][술][음주][마케팅전략]맥주의 원료, ...
정신과-알콜중독 Alcholism 케이스스터디
정신 간호학 CASE( 알콜 병동 케이스 ) - Alcohol dependency 대상자
노동과 술의 정치경제학, 국제정치경제체제의 정치경제학, 기업과 언론의 정치경제학, 언론개...
알콜중독
알코올과 약물중독 (알콜, 음주, 정신보건, 증상, 단계, 개입모델, 중독과가족, 회복과정, 상...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가족] 알코올 중독 가족 원인, 알코올 중독 가족 특징, 알코올 중...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알콜이 신체에 미치는영향, 알코올 사용장애가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