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부모님
Ⅱ. 선생님
Ⅲ.형제자매
Ⅳ.친구
Ⅴ.이웃
Ⅵ.친척
Ⅱ. 선생님
Ⅲ.형제자매
Ⅳ.친구
Ⅴ.이웃
Ⅵ.친척
본문내용
여기는 것이 중요 하다.
사소한 실수로 친구의 물건을 망가트렸을 때는 진심으로 사과하고 고쳐주거나 새로 사줄 수있는 정성이 필요하다.
친구의 물건을 자기 것처럼 소중히 생각하고 친구의 물건은 망가트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출처*
어린이 예절학 - 친구간의 예절(http://blog.daum.net/eyemi74)
푸른하늘(블로그)- http://blog.naver.com/ccbyungkr?Redirect=Log&logNo=17047021
Happy Platanus ^^* - 행복으로 통하는 문 -http://blog.naver.com/platanus15
논술과 함께 열리는 생각 주머니 - http://cafe.naver.com/shstnfwnajsl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Ⅴ.이웃
(1).방문예절
방문은 상대방과의 경계를 조금 누그러뜨리고, 서로의 교제를 깊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방문시간
먼저 상대방의 형편에 따라 미리 약속을 정한다. 시간 약속을 하지 않고 방문하는 것은 매우 특별한 경우에 한하며, 사전에 시간 약속을 해 놓는 것이 에티켓이다.
아무리 친한 친구라 하더라도 오전 방문은 실례가 된다.
외투와 장갑
현관에서 인사를 하고 일단 집으로 들어서면 모자나 레인코트 등은 벗어야 하며, 장갑이나 외투는 꼭 벗지 않아도 되나 시간이 걸리는 방문시에는 벗는 것이 예의이다.
한국 사람들은 현관에 들어서기 전에 미리 외투를 벗는 습관이 있다.
착석
실내에 들어서면 이곳저곳 기웃거리는 일은 삼가고 주인이 권하는 자리에 앉도록 한다.
머무르는 시간
처음으로 방문한 경우 15 - 20분 정도의 대화시간이 가장 적당하다.
되도록 짧은 시간 내에 용건을 마치고 일어서는 것이 좋다.
(2).이웃어른에 대한 예절
- 이웃의 어른을 만나면 몇 번을 만나도 반드시 공손히 인사한다.
- 어른이 혹시 기억을 못하시면 자신을 밝힌다.
- 이웃 어른의 근황에 관심을 갖고 알고 있도록 한다. 혹시 어려움이 생기면 도와드린다.
- 명절 때나 신변에 경사가 생겼을 경우, 가능하면 이웃 어른도 찾아 뵙고 인사를 한다.
- 좋은 모임이나 어른에게 유익한 일이 있을 경우 미리 알려서 참석하도록 한다.
- 어른을 모시고 있는 집에 함부로 놀러가서 오래도록 떠들고 놀지 않는다.
- 이웃어른이 길을 지나실 때에는 위급한 일이 아니면 가로질러 먼저 지나치지 않는다.
- 어른이 무거운 짐을 들고 가는 경우 미리 부탁하기 전에 도와드린다.
- 어른의 앞에서는 휘파람을 불거나 입이나 손으로 이상한 소리를 내지 않는다.
- 어른의 앞에서는 항상 손을 앞으로 공손히 마주 잡고 있도록 한다.
- 어른을 대하는 말씨는 항상 조심하여 올바른 경어를 쓰도록 한다.
(3).이웃간에 지켜야 할 예절
1. 친숙하게 지내기 - 이웃을 만나면 반갑고 친절하게 인사를 한다.
2. 사생활 보호하기 - 친숙하게 지내더라도 이웃사람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는다.
3. 서로 돕기 - 이웃의 경조사에 관심을 갖고 기쁨과 걱정을 함께 나누며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
4. 양해 구하기 - 잔치 손님접대 등 자기 집의 일로 이웃에 불편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반드시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5. 폐 끼치지 않기
6. 대화하기 - 이웃과 문제가 발생하면 찾아가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는다.
*출처*
블로그 - http://blog.paran.com/baeheyjin/9835336
http://www.newskr.com/bbs/view.php?id=test&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19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Ⅵ.친척
(1).촌수
촌수란? 친척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숫자체계
나를 기준으로 하면,
* 형제간은 2촌, 형제의 자녀는 3촌.
* 부모님의 형제,자매는 3촌(큰아버지(백부)작은아 버지(숙부),외삼촌(외숙).
* 부모님의 형제,자매의 자녀는 4촌.
* 큰,작은아버지의 자녀는 종형제(從兄弟).
* 고모의 자녀는 내종(內從)4촌.
* 외삼촌의 자녀는 외종(外從)4촌.
* 이모의 자녀는 이종(姨從)4촌.
* 종형제의 자녀는 5촌(종질(從姪)).
* 할아버지의 형제의 자녀는 5촌으로 당숙(堂叔).
*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제로 6촌, 재종형제의 자녀는 재종질로 7촌.
* 증조부(증조할아버지)의 형제의 자녀는 재종조부, 그 자녀는 재당숙으로 7촌이고, 재당숙의 자녀는 삼종형제로 8촌입니다.
* 9,10촌은 고조할아버지의 자녀는 재종증조부, 자녀는 삼종조부, 자녀는 삼당숙으로 9촌이며, 삼당숙의 자녀는 사종형제로 10촌 입니다.
(2).호칭
(3).친척관계
친척간에 지킬 예절
1. 친척간에 화목하여야 한다.
- 친척간에 어른을 찾아 뵙고 문안을 드리며 서로 왕래하여 정을 두텁게 한다.
2. 친척간에 서로 도와주고 아껴준다.
- 기쁜 일이나 즐거운 일, 궂은 일이나 나쁜 일 모두 서로 도우며 보살핀다.
3. 친척간이라도 의지하려 한다거나 도움을 바라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4. 친척간의 관계를 알아두어야 한다.
- 친척간에 촌수를 알아둔다.
- 친척간에 호칭을 바르게 쓴다.
*출처*
블로그명 : jsy6555님의 블로그 - http://blog.naver.com/jsy6555
naver 블로그 - http://blog.naver.com/ppyung73
Daum 블로그 - http://blog.daum.net/oceansidecity/8448291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윤호와 함께하는 공부방(http://cafe.naver.com/yoonho70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1)
가정 생활 예절 - http://user.chollian.net/~jyhong1688/etiquette/school-1.htm
사소한 실수로 친구의 물건을 망가트렸을 때는 진심으로 사과하고 고쳐주거나 새로 사줄 수있는 정성이 필요하다.
친구의 물건을 자기 것처럼 소중히 생각하고 친구의 물건은 망가트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출처*
어린이 예절학 - 친구간의 예절(http://blog.daum.net/eyemi74)
푸른하늘(블로그)- http://blog.naver.com/ccbyungkr?Redirect=Log&logNo=17047021
Happy Platanus ^^* - 행복으로 통하는 문 -http://blog.naver.com/platanus15
논술과 함께 열리는 생각 주머니 - http://cafe.naver.com/shstnfwnajsl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Ⅴ.이웃
(1).방문예절
방문은 상대방과의 경계를 조금 누그러뜨리고, 서로의 교제를 깊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방문시간
먼저 상대방의 형편에 따라 미리 약속을 정한다. 시간 약속을 하지 않고 방문하는 것은 매우 특별한 경우에 한하며, 사전에 시간 약속을 해 놓는 것이 에티켓이다.
아무리 친한 친구라 하더라도 오전 방문은 실례가 된다.
외투와 장갑
현관에서 인사를 하고 일단 집으로 들어서면 모자나 레인코트 등은 벗어야 하며, 장갑이나 외투는 꼭 벗지 않아도 되나 시간이 걸리는 방문시에는 벗는 것이 예의이다.
한국 사람들은 현관에 들어서기 전에 미리 외투를 벗는 습관이 있다.
착석
실내에 들어서면 이곳저곳 기웃거리는 일은 삼가고 주인이 권하는 자리에 앉도록 한다.
머무르는 시간
처음으로 방문한 경우 15 - 20분 정도의 대화시간이 가장 적당하다.
되도록 짧은 시간 내에 용건을 마치고 일어서는 것이 좋다.
(2).이웃어른에 대한 예절
- 이웃의 어른을 만나면 몇 번을 만나도 반드시 공손히 인사한다.
- 어른이 혹시 기억을 못하시면 자신을 밝힌다.
- 이웃 어른의 근황에 관심을 갖고 알고 있도록 한다. 혹시 어려움이 생기면 도와드린다.
- 명절 때나 신변에 경사가 생겼을 경우, 가능하면 이웃 어른도 찾아 뵙고 인사를 한다.
- 좋은 모임이나 어른에게 유익한 일이 있을 경우 미리 알려서 참석하도록 한다.
- 어른을 모시고 있는 집에 함부로 놀러가서 오래도록 떠들고 놀지 않는다.
- 이웃어른이 길을 지나실 때에는 위급한 일이 아니면 가로질러 먼저 지나치지 않는다.
- 어른이 무거운 짐을 들고 가는 경우 미리 부탁하기 전에 도와드린다.
- 어른의 앞에서는 휘파람을 불거나 입이나 손으로 이상한 소리를 내지 않는다.
- 어른의 앞에서는 항상 손을 앞으로 공손히 마주 잡고 있도록 한다.
- 어른을 대하는 말씨는 항상 조심하여 올바른 경어를 쓰도록 한다.
(3).이웃간에 지켜야 할 예절
1. 친숙하게 지내기 - 이웃을 만나면 반갑고 친절하게 인사를 한다.
2. 사생활 보호하기 - 친숙하게 지내더라도 이웃사람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는다.
3. 서로 돕기 - 이웃의 경조사에 관심을 갖고 기쁨과 걱정을 함께 나누며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
4. 양해 구하기 - 잔치 손님접대 등 자기 집의 일로 이웃에 불편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반드시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5. 폐 끼치지 않기
6. 대화하기 - 이웃과 문제가 발생하면 찾아가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는다.
*출처*
블로그 - http://blog.paran.com/baeheyjin/9835336
http://www.newskr.com/bbs/view.php?id=test&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19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Ⅵ.친척
(1).촌수
촌수란? 친척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숫자체계
나를 기준으로 하면,
* 형제간은 2촌, 형제의 자녀는 3촌.
* 부모님의 형제,자매는 3촌(큰아버지(백부)작은아 버지(숙부),외삼촌(외숙).
* 부모님의 형제,자매의 자녀는 4촌.
* 큰,작은아버지의 자녀는 종형제(從兄弟).
* 고모의 자녀는 내종(內從)4촌.
* 외삼촌의 자녀는 외종(外從)4촌.
* 이모의 자녀는 이종(姨從)4촌.
* 종형제의 자녀는 5촌(종질(從姪)).
* 할아버지의 형제의 자녀는 5촌으로 당숙(堂叔).
*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제로 6촌, 재종형제의 자녀는 재종질로 7촌.
* 증조부(증조할아버지)의 형제의 자녀는 재종조부, 그 자녀는 재당숙으로 7촌이고, 재당숙의 자녀는 삼종형제로 8촌입니다.
* 9,10촌은 고조할아버지의 자녀는 재종증조부, 자녀는 삼종조부, 자녀는 삼당숙으로 9촌이며, 삼당숙의 자녀는 사종형제로 10촌 입니다.
(2).호칭
(3).친척관계
친척간에 지킬 예절
1. 친척간에 화목하여야 한다.
- 친척간에 어른을 찾아 뵙고 문안을 드리며 서로 왕래하여 정을 두텁게 한다.
2. 친척간에 서로 도와주고 아껴준다.
- 기쁜 일이나 즐거운 일, 궂은 일이나 나쁜 일 모두 서로 도우며 보살핀다.
3. 친척간이라도 의지하려 한다거나 도움을 바라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된다.
4. 친척간의 관계를 알아두어야 한다.
- 친척간에 촌수를 알아둔다.
- 친척간에 호칭을 바르게 쓴다.
*출처*
블로그명 : jsy6555님의 블로그 - http://blog.naver.com/jsy6555
naver 블로그 - http://blog.naver.com/ppyung73
Daum 블로그 - http://blog.daum.net/oceansidecity/8448291
청소년 예절교실 - http://web.edunet4u.net/%7Esinjung/f4.htm
윤호와 함께하는 공부방(http://cafe.naver.com/yoonho70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1)
가정 생활 예절 - http://user.chollian.net/~jyhong1688/etiquette/school-1.htm
추천자료
[식사예절][상차림][다례][다도][한국][일본][중국][인도][서양]한국의 전통 식사예절, 한국...
[예의][예절][예의범절][전통배례][다도예절][상하간][대화예절]예절(예의범절)의 분류, 전통...
가정예절(예의) 조부모와 부모에 대한 예절, 가정예절(예의) 자식에 대한 예절, 가정예절(예...
[악수][악수예절][예절][악수 에티켓][악수 매너][예의범절][예의][에티켓][매너]악수(악수예...
[인사][인사예절][악수]인사(인사예절)의 순서, 인사(인사예절)의 9용태(九容態), 인사(인사...
가정예절(부모님에 대한 예절, 예의), 가정예절(가족간의 예절, 예의), 가정예절(형제간의 예...
[악수][악수 예절][악수 에티켓][악수 매너][바람직한 악수 방법]악수(악수예절)의 유래, 악...
[예의범절]가정예절사례 조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가정예절사례 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
[에티켓][예절][매너][사무실][소개][식사][교통수단][인터넷]에티켓(예절, 매너)의 기원, 사...
글로벌 사회와 예절 (최신 2012년)
[마음가짐 예절, 학교급우]친구에 대한 마음가짐 예절, 학교급우에 대한 마음가짐 예절, 이웃...
[바른 마음가짐][올바른 마음가짐]바른 마음가짐(올바른 마음가짐)과 가정의례예절, 가족예절...
(예절) 현대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예절의 필요성과 기본예절 익히기 과정과 호감 가는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