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실존주의란?
3, 실존주의 속 <이방인>
A. 감정의 불명
B. 신앙의 불신
C. 사회에 대한 '반항'
4, 후기
2, 실존주의란?
3, 실존주의 속 <이방인>
A. 감정의 불명
B. 신앙의 불신
C. 사회에 대한 '반항'
4, 후기
본문내용
묻고 싶다. 사회를 구성한 것 또한 인간 개개인이 아닙니까?
후기
<이방인>은 재미있는 소설이다. 실존주의의 사상을 굉장히 잘 담아내고 있었다고 자신할 수 있는 작품이다. 다만, <이방인>이 뫼르소의 행동을 너무 좋게만 표현하려고 한 나머지, 뫼르소의 살인행각이 용서될 수 있다는 착각을 독자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했다는 것이 아쉽다. 어쩌면 뫼르소는 아랍인를 향해 총구를 겨냥한 순간부터 잘못된 ‘선택’을 했는지 모른다. ‘자유’라는 단어는 옳고 그름을 분별해 주는 능력이 없으니 말이다. 그리고 그 선택에 의해 뫼르소는 ‘생존’권을 빼앗겼다. 다만, 뫼르소는 자신의 죽음이 ‘선택’에 의거한 ‘책임’이라고 여겼던 것 같다. 실존주의를 그대로 빼다 박은 듯한 뫼르소의 삶에 잠시 현기증을 느낀다.
후기
<이방인>은 재미있는 소설이다. 실존주의의 사상을 굉장히 잘 담아내고 있었다고 자신할 수 있는 작품이다. 다만, <이방인>이 뫼르소의 행동을 너무 좋게만 표현하려고 한 나머지, 뫼르소의 살인행각이 용서될 수 있다는 착각을 독자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했다는 것이 아쉽다. 어쩌면 뫼르소는 아랍인를 향해 총구를 겨냥한 순간부터 잘못된 ‘선택’을 했는지 모른다. ‘자유’라는 단어는 옳고 그름을 분별해 주는 능력이 없으니 말이다. 그리고 그 선택에 의해 뫼르소는 ‘생존’권을 빼앗겼다. 다만, 뫼르소는 자신의 죽음이 ‘선택’에 의거한 ‘책임’이라고 여겼던 것 같다. 실존주의를 그대로 빼다 박은 듯한 뫼르소의 삶에 잠시 현기증을 느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