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장애인]장애(장애인)정의, 장애(장애인)범주, 장애(장애인)특성(지체장애, 뇌성마비, 소아마비, 절단, 근육디스트로피, 말초신경장애, 척수장애, 뇌졸중, 시각장애, 음성언어기능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장애인]장애(장애인)정의, 장애(장애인)범주, 장애(장애인)특성(지체장애, 뇌성마비, 소아마비, 절단, 근육디스트로피, 말초신경장애, 척수장애, 뇌졸중, 시각장애, 음성언어기능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애인의 정의

Ⅱ. 장애의 범주

Ⅲ. 장애인의 유형별 특성
1. 지체장애
2. 뇌성마비
3. 소아마비
4. 절단
5. 근육디스트로피
6. 말초신경장애
7. 척수장애
8. 뇌졸중
9. 시각장애
10. 음성․언어기능장애
11. 청각장애
12. 정신지체

참고문헌

본문내용

울러거림을 호소한다.
얼굴이나 관자놀이에 고통을 느끼고 차에 올라타면 어지러움을 느낀다.
영화나 텔레비젼을 볼 때 피로를 느낀다.
눈동자가 돌아간다. 쑤시고 아프다. 물건이나 문자가 뚜렷하지 못해 잘 볼 수 없다. 이중으로 보인다. 힘이 빠진다. 문이 가렵다.
10. 음성·언어기능장애
정의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언어습득 및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여 의사소통에 곤란을 느끼고 이로 인하여 사회적응에 문제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언어발달지체, 조음장애, 실어증, 말더듬, 음성장애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정신지체, 자폐증, 뇌성마비로 인한 언어장애 등과 감별하여야 한다.
원인
지적요인 -- 정상적인 지능, 사고, 지각, 기억력, 주의력의 결함
신체적 요인 -- 시?청?촉각 등 감각기능의 장애, 언어기관(치아, 혀, 입술, 인두, 후두)의 장애, 언어중추 이상
환경정서적 요인 -- 유아기에 풍부한 언어적 자극의 결핍, 정서적 불안정, 가족내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등
증상
언어발달이 현저하게 지체된다. 상대방이 이해하기 곤란할 정도로 발음이 좋지 않다. 음의 고저가 개인의 성별에 비해 적당하지 않다. 발성하기가 어렵고 언어가 다른 사람과 현저하게 달라서 알아들을 수 없고 불쾌하다. 말을 더듬는다.
11. 청각장애
정의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기든가 또는 들은 소리를 뜻있는 말로 해석하는 중추기관에 이상이 생겨 이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경우를 청각장애라고 한다. 장애정도에 따라 보청기나 그외의 도움으로 청각을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를 난청으로, 활용할 수 없는 상태를 농으로 분류한다. 또한 청력검사상 25dB(데시벨) 이상을 난청, 90dB 이상일 때는 농이라고 하는데 실제적으로 70dB 이상의 고도 난청은 일상생활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농아라고도 한다. 한편 장애 부위에 따라서 전음성 난청, 감음신경성 난청으로 분류하는데 이것은 난청환자의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음성난청은 외이나 중이의 질환에 의하여 초래된 청각장애로써 일반적으로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치료가 가능하여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감음신경성난청은 내이나 청신경계에 장애가 생긴 것으로써 치유가 극히 드물고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대상이 된다.
원인
외이손상 -- 선천성 기형(산모의 바이러스감염, 풍진, 인푸루엔자, 피임약 부작용)
중이손상 -- 급성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 외상성 고막파열
내이손상 -- 유전성 이상, 선천성(임신 중이나 분만시의 이상), 이질환성(내이염, 메니엘씨병), 전신질환성(당뇨병, 매독, 신장병, 열병, 심장혈관질환으로 인한 난청), 약물종독성(스트렙토마이신 부작용, 연탄가스종독 등),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중추신경손상 -- 뇌중추 발육부진이나 손상의 기질적 손상과 정신과 문제를 수반하는 기능적 손상
증상
일반적으로 난청인 경우에는 어휘 수가 부족하고 받침을 빼고 발음하며 콧소리를 많이 내는 특징을 나타낸다. 그리고 잘 듣지 못하므로 말하는 사람의 입모양을 쳐다보면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12. 정신지체
정의
정신박약이라고도 하며 발달시기 즉 13세 이전에 발생하고 일반적 지적 능력이 IQ70이하로 떨어지며 동시에 적응행동상에 결함을 나타내는 장애이다. 일생동안 지속된다. 정신능력(IQ)?적응력?유아시의 신체발달 정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경도(IQ50-69), 중등도(IQ35-49), 중증도(IQ20-34), 최중도(IQ20 이하)로 분류한다.
원인
(1) 신체?생물학적 원인
유전적 원인 -- 신진대사장애, 염색체 이상 등
출산전 원인 -- 임신초 3개월 이내의 산모의 풍진, 약물중독, 방사선노출, 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보약복용, 매독, 결핵, 과음 등의 질병 감염, 태아와 산모의 혈액형이 다를 때
출산시 원인 -- 조산?난산으로 인한 산소결핍이나 뇌손상, 신생아의 심한 황달이나 감염으로 인한 뇌손상
출생후 -- 생후 1년 이내의 질병감염, 뇌손상, 약물종독, 뇌종양, 간질, 뇌염, 뇌먁염, 납중독, 심한 영양실조
사회심리적 원인 -- 유아기의 애정결핍 및 자극부족, 정서적 불안정, 영양결핍.
증상
일반적으로 말을 늦게 하며, 목을 가누고, 앉고, 걷는 등의 모든 운동발달이 늦다. 대소변 등의 일상적인 신변처리가 늦추어진다.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이상행동을 보이며 수개념이 희박하고 신체동작이 민첩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권도용(1995) / 장애인의 재활복지 / 서울 : 홍익제 32-39
김삼섭(1994) / 특수교육의 심리적 기초 / 서울:양서원
구본권(1990) / 특수교육학 / 서울:교육과학사
김통원(1995) / 장애인의 정의·분류·통계·등록 / 서울: 아·태 장애인 10년(1993~2002)에 대처할 국가적 장기전략 및 정책대한 모색을 위한 연구논문집 39~78
남상만, 나운환, 유명화 공저(2000) / 장애인복지개론 / 서울 : 홍익제
박옥희(1998) /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 학문사
백은희(1996) / 특수아 조기 중재의 과제 / 특수교육학회지
박명기(2002) / 청각장애 아동의 평형성 향상을 위한 게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석사학위 논문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준우 저(1999) / 장애인과 지역사회 / 서울 : 한국밀알선교단출판부
이상복(1989) / 특수교육과 부모교육 / 특수교육학회지
서동우, 변용찬, 김동진, 이선영(2000) / 2단계 장애범주 확대방안 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선우(1999) / 내부장애인의 직업적 특성과 고려사항 / 장애인고용 겨울호 통권 34호
이선우 외(1995) / 가정환경과 자기개념과의 관계 /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4호
임안수(1999) / 시각장애인의 자기 존중감 / 서울 :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이태영(1983) / 특수아동의 심리 /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여광응(1997) / 정신지체아의 심리학적 이해 / 서울 / 특수교육
한국실명예방협회(1988) / 학교아동의 안보건을 위한 워크샵 보고서
한국맹인복지연합회(1993) / 맹인의 교육과 복지 /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6.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