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박정희는 누구인가
1.2 박정희의 관한 조의 입장
2. 본론
2.1 경제개발 5개년이란?
2.2 박정희의 개발독재가 가능했던 이유
2.3 박정희의 개발독재의 의한 긍정적 결과
2.4 박정희의 개발독재의 의한 부정적 결과
2.5 박정희식 경제개발의 대한 우리들의 평가
1.1 박정희는 누구인가
1.2 박정희의 관한 조의 입장
2. 본론
2.1 경제개발 5개년이란?
2.2 박정희의 개발독재가 가능했던 이유
2.3 박정희의 개발독재의 의한 긍정적 결과
2.4 박정희의 개발독재의 의한 부정적 결과
2.5 박정희식 경제개발의 대한 우리들의 평가
본문내용
을 위해 필수적이었으며, 이를 가능케 하는 절대조건이었다. 그의 경제철학은 경제발전이 국가안보와 통일의 기초가 된다는 것, 경제발전은 민주주의의 초석이 된다는 것이었다. 그는 18년간의 통치기간에 1인당 국민소득을 87달러에서 일약 1,650달러로 끌어올림으로써 부정할 수 없는 ‘한국 경제기적의 주역’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1945년 이후 독립한 세계의 130여 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나라이다. 척박한 한반도에서 대통령과 국민이 한 덩어리가 되어 만들어낸 피와 땀의 결실이다. 일본은 100년, 미국은 180년, 영국은 200년이 걸린 국민소득 1만 달러 달성을 우리는 30년 만에 해냈다. 중국의 덩샤오핑, 싱가포르 리콴유 총리, 말레이시아 마하티르 총리, 파키스탄 무샤라프 대통령 등 아시아의 여러 지도자들이 한결같이 박정희 경제모델을 벤치마킹하여 국가경제를 일으키려 노력했다. 그들 모두 박정희를 가장 존경스럽고 본받을 지도자로 꼽았다. 덩샤오핑은 박정희의 외교·경제정책을 본받아 실사구시 전략을 구사, 미국과 협조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 중국을 다국적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투자지역으로 만들었다. 이를 위해 천안문사태 때 탱크군단을 동원, 민주화를 열망하여 광장에 운집한 100만 학생시민에게 발포하여 2천여 명을 사살, 1만 2천 명의 부상자를 내는 참사를 빚었다. 그러나 오늘 중국인들은 그를 천하대란에 빠진 나라를 구한 은인으로 추앙한다. 리콴유는 국민의 인권·언론을 통제, 길거리에 휴지 한 장을 버려도 곤장 20대, 마약소지자는 사형 등의 무시무시한 형벌로 국민들을 통치, 싱가포르를 아시아 최고의 부국으로 만들었다. 장제스, 장징궈는 1949년 중국 공산당에 밀려 대만으로 후퇴한 뒤, 국민정부를 다시 세워 1987년까지 38년간 계엄령 하 1당 독재정치를 펼쳤지만, 경제우선 정책으로 대만의 발전을 이끌었다. 국민들은 이들을 독재자라고 비난하지 않았으며, 나라를 구하고 일으킨 은인으로 추앙하고 존경한다. 물론 박정희식 개발정책으로 인한 부조리가 없지 않게 있고 민주주의 발전에 저하가 있게 하였지만, 아무런 기틀이 없던 한국사회에 안보를 우선시 했던 기득권층의 지지를 받으며, 국민과 국가의 좀더 윤택한 삶을 주고자 했던 최고통치자의 최선을 방법이 아니였나 생각이 든다.
3. 결론
3.1 결론
역사의 추는 박정희의 경제개발이라는 업적에 있는지 아니면 과오에 향하고 있는지는 바라보는 것은 사람의 뷰 포인트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것은, 박정희는 대통령 기간 동안 대통령으로써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그의 상응하는 부정적인 것이 더 많다는 것이다. 분명 우리나라는 경제대국으로 잘 살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불안전하며, 성숙하지 못한 정치 체제와 심한 양극화를 겪고 있는 이유를 잘 살펴본다면, 박정희식 경제 발전의 피해를 지금 우리가 또다시 감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 잘 살기 위해 발전과정에서 억압받던 그 국민들이 이번에는 살아남기 위해서 또 다시 고통을 감수 하는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문제점들이 과연 지금 갑작스레 나왔는지 보다는 그 근본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역사의 평가에 대해서 만큼은 사실적이며, 한 가지의 장점으로 아홉가지의 단점을 가리려고 하는 그런 치졸한 역사는 기록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경제 개발 5개년은 분명히 앞 정부에서 시행하고자 하였으며, 오히력 박정희의 쿠데타로 인하여 우리는 성숙한 정치 체제에서 윤택한 경제 발전의 혜택을 박탈당한 처사일지도 아닐까 라는 의문을 가지며, 독재 개발은 그 어떠한 이유에라도 그 어떠한 결과에서라도 정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3. 결론
3.1 결론
역사의 추는 박정희의 경제개발이라는 업적에 있는지 아니면 과오에 향하고 있는지는 바라보는 것은 사람의 뷰 포인트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것은, 박정희는 대통령 기간 동안 대통령으로써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그의 상응하는 부정적인 것이 더 많다는 것이다. 분명 우리나라는 경제대국으로 잘 살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불안전하며, 성숙하지 못한 정치 체제와 심한 양극화를 겪고 있는 이유를 잘 살펴본다면, 박정희식 경제 발전의 피해를 지금 우리가 또다시 감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 잘 살기 위해 발전과정에서 억압받던 그 국민들이 이번에는 살아남기 위해서 또 다시 고통을 감수 하는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문제점들이 과연 지금 갑작스레 나왔는지 보다는 그 근본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역사의 평가에 대해서 만큼은 사실적이며, 한 가지의 장점으로 아홉가지의 단점을 가리려고 하는 그런 치졸한 역사는 기록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경제 개발 5개년은 분명히 앞 정부에서 시행하고자 하였으며, 오히력 박정희의 쿠데타로 인하여 우리는 성숙한 정치 체제에서 윤택한 경제 발전의 혜택을 박탈당한 처사일지도 아닐까 라는 의문을 가지며, 독재 개발은 그 어떠한 이유에라도 그 어떠한 결과에서라도 정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추천자료
한국 경제의 나아갈 길 ( 한국경제의 과거와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부제 : 한국 경제의 비효...
[한국경제][한국경제 세계화][경제][IMF]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배경, 대응과 IMF경제위...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한국경제개혁][한국경제발전]IMF경제위기의 원인, 내용고찰과 한국...
한국경제론,지역경제발전 방향과 과제
[정통저널리즘][시민저널리즘][포털저널리즘][경제저널리즘][방송저널리즘][저널리즘][시민][...
싱가포르 성공요인, 경제발전, 과정,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의 비교, 특징, 경제적 효과, 현황...
한국경제의이해 4A) 1960년대 이후 한국경제의 전개과정에 대한 논의
[한국경제사] 한국경제의 성장 - 한국경제의 발전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고찰
경제성장과 경제성장모형, 경제성장과 경제개발5개년계획, 경제성장과 민주화, 경제성장과 사...
리더십(리더쉽)의 개념, 리더십(리더쉽)의 유형, 리더십(리더쉽)의 본질, 이승만 대통령의 리...
식민지화가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 - 식민시대 농업, 식민시대 공업, 해방 후 경제 (식민지 경...
[경제학과 A형]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1) 8.15 광복 이후 전후 복구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