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소품 [꽃]
공간의 활용
색채
의상
정리하며
소품 [꽃]
공간의 활용
색채
의상
정리하며
본문내용
일라이자의 술꾼 아버지가 그의 친구들과 함께 공사판에서 노래부르는 장면에서는 그 시대적인상황을 알 수있는가하면, 공사판에 널부러져있는 물건들을 사용해 흥미로운 모습을 뮤지컬장면을 연출하기도하였다.
영화 끝 무렵에서 일라이자가 하긴스와 싸운 뒤의 집을 나갔을 때에는, 하긴스가 그동안의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일라이자를 보낸 것을 후회하며 쓸쓸해하는 모습을 나뭇잎이 모두 떨어져버린 겨울 매마른나무들이 줄지어진 공간을 통해 하긴스의 심리를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색채
* 보라색: 귀족,상류층을 상징
* 하얀색: 신분상승을 의미
영화는 초반에서 끝까지 곳곳에서 보라색이 많이 등장한다.
보라색은 귀족이나 상류층 사람들의 의상이나 소품 등으로 표현하는 데 많이 쓰였다.
그리고 일라이자가 하긴스와 언어공부를 하는 과정이나 그 전의 모습은 어둡고, 낮은 톤들의 의상을 많이 입었지만 언어장벽을 허물고 신분상승, 이미지상승을 한 후에는 하얀색 옷을 많이 입는다. 그리고 하얀 옷에 의해서 영화 속의 많은 사람들에게 일라이자가 주목받는 역할도한다.
의상
가난하게 꽃파는 아가씨일 때의 일라이자는 탁하고, 더러운 카키와 브라운 계열의 누빈 옷을 입으면서 돌아다녔지만, 귀족이 된 일라이자(오드리헵번) 의상은 패션쇼를 방불케 할만큼 화려하고, 예뻤다. 화이트,핑크,오렌지,레드등의 다양한 의상이 영화속에서 보여졌는데 특히, 로얄아스콧(경마장의 풍경)씬에서 보여주었던 블랙과 화이트, 그레이로만 디자인된 일라이자의 드레스와 그 외의 군중들의 드레스들은 정말 판타스틱하고 화려하였다. 이는 이 영화에서 가장 미술에 신경 쓴 부분인듯하며, 인상 깊은 장면으로 뽑힌다.
호리병과 같은 허리를 받쳐주는 코르셋과 엉덩이를 풍만하게 만들어주는 이 스타일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의상인 것 같다. 그리고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앞서 말했듯이 의상에 꽃이 항상 포인트로 꾸며져있었다.
정리하며
‘마이페어레이디’는 신데렐라 동화 같은 이야기이다.
여자들이라면 한번쯤은 꿈꿔볼만한 상황을 화려한 색채를 통해 더욱 흥미롭게 시각적 효과를 주었고, 더불어 우리에게 익숙한 노래는 ‘역시 뮤지컬영화는 재미있어!!’ 라고 할 수 있는 이유를 마련해주었다.
한편으로 또,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중 미술과 의상에서 수상할 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1960년대 지금으로부터 한창 먼 시대의 영화에서도 영화미술이 중요시하게 존재하고 있었음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영화 끝 무렵에서 일라이자가 하긴스와 싸운 뒤의 집을 나갔을 때에는, 하긴스가 그동안의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일라이자를 보낸 것을 후회하며 쓸쓸해하는 모습을 나뭇잎이 모두 떨어져버린 겨울 매마른나무들이 줄지어진 공간을 통해 하긴스의 심리를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색채
* 보라색: 귀족,상류층을 상징
* 하얀색: 신분상승을 의미
영화는 초반에서 끝까지 곳곳에서 보라색이 많이 등장한다.
보라색은 귀족이나 상류층 사람들의 의상이나 소품 등으로 표현하는 데 많이 쓰였다.
그리고 일라이자가 하긴스와 언어공부를 하는 과정이나 그 전의 모습은 어둡고, 낮은 톤들의 의상을 많이 입었지만 언어장벽을 허물고 신분상승, 이미지상승을 한 후에는 하얀색 옷을 많이 입는다. 그리고 하얀 옷에 의해서 영화 속의 많은 사람들에게 일라이자가 주목받는 역할도한다.
의상
가난하게 꽃파는 아가씨일 때의 일라이자는 탁하고, 더러운 카키와 브라운 계열의 누빈 옷을 입으면서 돌아다녔지만, 귀족이 된 일라이자(오드리헵번) 의상은 패션쇼를 방불케 할만큼 화려하고, 예뻤다. 화이트,핑크,오렌지,레드등의 다양한 의상이 영화속에서 보여졌는데 특히, 로얄아스콧(경마장의 풍경)씬에서 보여주었던 블랙과 화이트, 그레이로만 디자인된 일라이자의 드레스와 그 외의 군중들의 드레스들은 정말 판타스틱하고 화려하였다. 이는 이 영화에서 가장 미술에 신경 쓴 부분인듯하며, 인상 깊은 장면으로 뽑힌다.
호리병과 같은 허리를 받쳐주는 코르셋과 엉덩이를 풍만하게 만들어주는 이 스타일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의상인 것 같다. 그리고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앞서 말했듯이 의상에 꽃이 항상 포인트로 꾸며져있었다.
정리하며
‘마이페어레이디’는 신데렐라 동화 같은 이야기이다.
여자들이라면 한번쯤은 꿈꿔볼만한 상황을 화려한 색채를 통해 더욱 흥미롭게 시각적 효과를 주었고, 더불어 우리에게 익숙한 노래는 ‘역시 뮤지컬영화는 재미있어!!’ 라고 할 수 있는 이유를 마련해주었다.
한편으로 또,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중 미술과 의상에서 수상할 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1960년대 지금으로부터 한창 먼 시대의 영화에서도 영화미술이 중요시하게 존재하고 있었음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