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 속의 환상

2. 뇌는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3. 뇌는 어떻게 아름다움을 판단할까

4. 공감각, 진화하는 우리 마음의 메타포

5. 뇌 과학 - 마음의 비밀을 푸는 21세기의 철학

6. 문헌고찰

7. 느낀 점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살아 있는 장벽을 이루면서 둘 사이에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보호해 주면 뉴런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며 혈액에도 마찬가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뇌 속에서 화학환경을 조절해주기도 한다.
미세교세포(microglia) : 식세포로서 조직 내를 유주하면서 죽은 뇌세포, 세균 등 노폐물을 제거시켜 준다.
상의세포(ependymal cells) : 뇌와 척수강 안쪽 벽에 있는 섬모를 가진 원주상피세포이다. CNS 주위에 보호 쿠션을 형성하고 있는 뇌척수액이 순환하게 된다.
희돌기 교세포(oligodendrocytes) : 소수의 작은 돌기를 갖고 있는 세포로 중추신경계내의 축삭을 동심원상으로 둘러 감아 수초를 형성한다. 말초신경의 슈반세포와 유사하다.
신경교는 구조상으로 뉴런과 비슷하지만, 뉴런은 신경 충동기능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는데 비해, 신경교는 신경충동을 전달하지 못한다. 그리고 신경교는 분열능력을 절대로 상실하지 않는데 비해, 뉴런은 그 능력을 상실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뇌에서 발생하는 종양은 대부분 교종(glioma) 곧 교세포(신경교)가 형성시킨 종양이다.
말초신경계에서 지지세포는 주로 두 가지 세포, 곧 슈반세포와 위성세포로 나타난다. 슈반세포(schwann cells)는 말초신경계 내 신경섬유 주변(축삭돌기)에 수초를 형성하고 지지한다. 위성세표(satellite cells)는 신경절이나 신경원의 세포체 주위를 둘러싸고 쿠션을 주변에서 보호역할을 한다.
3)뉴런
(1) 뉴런의 구조
뉴런(neurons)은 신경세포(nerve cells)라고도 하며 신체 어느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메시지(신경충동)를 전달하는 기능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다. 신경세포는 인체의 조직세포 중에서 가장 분화된 것으로 세포체와 이로부터 돌출하는 돌기가 있다. 세포체와 돌기를 합쳐서 뉴런(neurons, 신경원)이라고도 부르며, 신경조직에서의 기능적인 단위이다.
뉴런은 구조가 서로 다르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공통점도 있다. ①모두 체포체(cell body)가 있으며, 세포체는 핵을 담은 채 세포의 대사중심 역할을 한다. ②가느다란 돌기(processes)곧 섬유(fibers)가 하나 이상 세포체 밖으로 나와 있다.
전기 전류를 세포체 방향으로 전도하는 신경돌기를 수상돌기(dendrites)라고 하며, 신경충동을 산출해서 그 충동을 대개 세포체 밖으로 전도하는 신경 돌기를 축삭(axons)이라고 한다. 뉴런은 유형에 따라 수상돌기가 수백 개나 있을 수 있지만, 축삭은 하나밖에 없다.
축삭은 길이 방향으로 측부지(collateral branch)를 내기도 한다. 축삭지는 주로 종말부 가까이에 많아서 수백 개나 수천 개씩 축삭종말(axonal terminals)을 형성한다.
축삭은 그 주위가 피막으로 덮여 있어서 신경섬유(nerve fiber)를 이룬다. 말초신경은 이들 신경섬유가 다발을 이룬 것이며, 중추신경계 내에서는 모여서 백질을 이룬다.
(2) 뉴런의 분류
기능에 따른 분류
감각뉴런(sensort neuron) ,구심성뉴런(afferent neuron) :자극 수용체가 존재하여 감각기에서 수용한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함
연합뉴런(interneuron) : 감각뉴런(sensory neuron)과 운동뉴런(motor neuron)사이에서 그 신경전도를 중재함
운동뉴런(motor neuron) : 원심성뉴런(efferent neuron)으로서, 연합뉴런(interneuron)신호를 받고 운동 충격(motor impulse)신호를 근육등의 실행기(effector)에 전달한다.
신경의 흥분전도는 감각뉴런(감지)→연합뉴런(통합)→운동뉴런(반응)순서로 일어난다.
구조에 다른 분류
유수신경(myelinated nerve)
신경섬유(nerve fiber)의 바깥쪽 부분이 수초에 의해 싸여 있는 신경이며 유수신경섬유는 척추동물에만 존재한다. 슈반세포(schwann cell), 미엘린수초(myelin sheath), 축색돌기(axon)로 구성되고, 탈분극, 재분극, 이온재배치가 일어나는 랑비에 결절(Ranvier's node)이 존재한다. 랑비에결절에서 도약전도(saltatory conduction)가 일어나므로 흥분전도속도가 빠르다.(약 100m/s)
무수신경(unmyelinated nerve)
신경섬유(nerve fiber)의 바깥쪽 부분이 수초에 의해 싸여 있는 신경이다. 주로 무척추동물에 분포하며, 척추동물의 교감신경에도 있다. 슈반세포(schwann cell), 아주 얇은 미엘린수초(myelin sheath), 축색돌기(axon)로 구성되며, 랑비에 결절(Ranvier's node)이 존재하지 않아서 흥분전도속도가 느리다(약 5m/s)
<느낀점>
“뇌가 나의 마음을 읽는다 ” 라는 제목을 보고 끌리게 되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 책은 내가 지금까지 읽은 책 중 가장 빨리 읽은 책이다. 숙제를 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읽게 되었지만 읽으면서 재미있어서 빠르게 읽어나갔다. 이 책은 세계적 뇌 과학자인 저자가 BBC의 ‘리스 강연’에서 발표한 내용을 담고 있다. 뇌의 상세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하는 저자는 예술, 자유, 의지, 자아 같은 철학적 질문들에 대해서도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며,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두 문화의 연결을 시도한 책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와 실험들을 통해 저자는 우리들에게 뇌에 관한 어려운 기능과 영역이 하는 일 등을 설명하고 있다. 조금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는 했지만, 뇌의 생리와 해부를 배우면서 나도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내가 좋아하고 즐겨하는 것이 모두 뇌의 발달한 부분에 의한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방학동안 좋은 책도 읽고 신경계 문헌고찰을 하기위해 다양한 해부생리 책도 보고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최신 해부생리학 ,정문각, 고재문 외 2004년
◎해부생리학 , 현문사, 이정수 외 2003년
◎생리학 <개정판> , 정담미디어,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편2005년
◎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 지은이: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란 ,옮긴이:이충 ,2006년

키워드

뇌과학,   공감각,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