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cephalus(뇌수종, 뇌수두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ydrocephalus(뇌수종, 뇌수두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학적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Ⅳ. 검사(LAB)

Ⅴ. 투여약물

Ⅵ. 간호과정

Ⅶ. 실습후기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목적: 대상자의 신체손상 위험요소를 줄여 손상을 방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
1)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정리하여 대상자 신체의 위험요소가 없다.(11/4까지)
1)-①대상자 주변 환경을 사정한다.(11/3)
1)-②대상자에게 낙상할 위험이 있는 물품들을 조사하고 제거한다. (11/3)
1)-③Bed side rail을 철저하게 올린다.(11/3, 계속)
1)-④대상자를 이동시킬 때 위험요소가 있는지 철저하게 파악하고 제거한다. (휠체어로 옮기는 중 어떤 틈에 살이 끼거나 하는 등)(11/3)
③Bed side rail은 대상자의 낙상을 예방한다. (기본간호학 각론)
④의식이 저하된 대상자를 옮길 때에는 위험요소가 생길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를 요한다.(최신임상간호매뉴얼)
2)항상 대상자를 주시하여 대상자는 어떠한 위험요소도 없다.(11/4까지)
2)-①대상자를 혼자 두지 않는다. (화장실을 갈 때나 잠시 물건을 가지러 갈 동안)(11/3, 계속)
2)-②대상자가 수면을 취할 때에도 항상 곁에 있어야 함을 간병사에게 강조한다. (11/4)
①의식이 저하된 환자를 혼자 두어서는 안 된다.
(최신임상간호매뉴얼)
3)푯말을 붙여 대상자가 지각인지장애가 있음을 알려 대상자는 신체적 손상이 없다.(11/4까지)
3)-①대상자를 함부로 건드리거나 움직이게 하지 않도록 하는 푯말을 붙인다.(11/4)
3)-②푯말은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 (침상과 휠체어)(11/4)
①푯말을 붙여 대상자의 상태를 알리는 것은 대상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한다.(간호진단과 간호중재)
②푯말은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위치시켜야 한다.
4. 간호수행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서명
11/2
#1
P
1)-①,③ 2)-①,②,③,④,⑤ 3)-①,②
SN
I
-감염징후를 사정하였다.
-간병사에서 손씻기를 철저히 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2시간바다 흉부를 청진하여 흡인이 필요한지를 사정한 후 필요시 흡인을 하였다.
-점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10초 이내로 흡인하였다.
-과산화수소를 묻힌 스펀지로 관의 바깥을 청결히 함.
-흡인 시 멸균방법을 유지하였다.
-목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관찰함.
E
-대상자는 감염증상이 악화되지 않았다.
-대상자의 객담이 적절히 제거되었다.
-대상자는 기도 개방 자세를 유지하였다.
11/2
#2
P
1)-①,②,③
SN
I
-대상자의 구강점막상태를 사정하였다.
-흡인 시 10초 이내로 수행하였다.
-Mouth care를 2시간 마다 시행하였다.
-가습기를 제공하였다.(30~60%)
E
-대상자의 구강이 청결하다.
-구강과 입술이 건조하지 않다.
-대상자 구강 점막 손상이 완화되었다.
11/2
#3
P
1)-①,②,③,④,⑤
SN
I
-산소공급의 연결관의 적절함 여부를 관찰함.
-대상자의 침대머리를 30도 상승시켰다.
-호흡수를 자주 체크하였다.(2시간마다)
-객담에 의해 거칠 호흡음이 들릴 때 흡인을 시행함.
-호흡곤란 증세가 나타날 때 간호사선생님께 보고함.
E
-대상자의 계속 빈호흡을 하였다.
-대상자는 계속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11/3
#4
P
1)-①,②,③ 2)-①,②,④
SN
I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2시간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시켰다.
-체위 변경 시마다 마사지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손과 발을 자극이 없는 비누로 세척하고 부드러운 타월로 건조시켰다.
E
-대상자의 피부는 손상의 위험이 없다.
-대상자의 피부는 청결하다.
11/3
#5
P
1)-①,②,③,④ 2)-①,② 3)-①,②
SN
I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정리하였다.
-Bed side rail을 철저하게 올렸다.
-대상자를 이동시킬 때 위험요소가 있는지 철저하게 살펴보았다.
-대상자가 수면을 취할 때에도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어야 함을 간병사님께 교육하였다.
-대상자 근처에서는 주의를 요하는 푯말을 침상과 휠체어에 붙여주었다.
E
-대상자의 신체에 위험한 요소가 제거되었다.
-대상자는 신체손상 위험성이 없다.
Ⅶ. 실습후기
11병동 실습은 이제껏 병동 실습과는 달리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았다. 특히 기본간호학 시간에 배웠던 기관절개관 간호, Suction, Feeding, Change position, 욕창예방 간호 등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Nelatone도 해보았다. 철저한 무균술을 사용하여 간호사선생님의 지도 하에 시행하였는데 큰 일을 해낸 기분에 무척이나 뿌듯했다.
이곳에서 실습을 하면서 많은 의식저하 상태의 환자 분들을 볼 수 있었으며, 그 분들의 안위를 위한 최선의 간호들이 무엇인지 많이 조사도 해보았었다. 그리고 직접 적용할 수도 있어 좋았다.
내가 Case로 잡은 환자분께서는 GCS 7점에 Mental : Stupor한 상태로 11병동에서 많이 하는 간호들을 그 분께 제공해 드릴 수 있었다. 최근에 이 분에 상태가 악화되어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매우 조심스러웠다.
환자 분들을 돌보시는 간병사님들과 보호자 분들이 많이 도와주시고 협조를 잘 해주셔서 실습을 잘 마칠 수 있었던 것 같다. 많은 것을 배우고 돌아가는 실습이어서 기뻤다. 11병동의 환자 분들의 빠른 쾌유하기를 바라며 여기서 마치겠다.
Ⅷ. 참고문헌
- 개정판 기본간호학 각론. (2001). 이명화 외. 정담
- 제 4판 성인간호학 하. (2005). 전시자 외. 현문사
- 간호진단과 계획. (2001). 서울대학교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1999). 현문사
-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2002). 고성희, 김명애, 이영희, 김현경. 현문사
- 최신신경학. (1999). 김진수 외 공저. 과학서적센터
- 임상신경학. (1999). 이대희 저. 고려의학
- 제 2판 신경병리학. (1997). 이민철, 지제근. 전남대학교 출판부
- 임상 간호 메뉴얼. (1997). 씨그마학회. 현문사
- English-Korean MOSBY's Dictionary.(2002). 현문사.
- http://www.healthkorea.net/
- http://www.druginfo.co.kr/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6.03.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