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2월 2일 Day case 한OO F/54
<총괄적 소견>
<관찰 기록지>
<SAH(지주막하 출혈)질병연구>
1.증상
2.진단
12월 3일 Day case 유OO F/86
<총괄적 소견>
<관찰 기록지>
<복부팽만 질병연구>
12월 4일 Day case 김OO F/50
<허혈성 뇌졸중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12월 5일 Eve case 장OO F/44
<충수돌기염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12월 6일 Eve case 이OO F/80
<장폐색증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총괄적 소견>
<관찰 기록지>
<SAH(지주막하 출혈)질병연구>
1.증상
2.진단
12월 3일 Day case 유OO F/86
<총괄적 소견>
<관찰 기록지>
<복부팽만 질병연구>
12월 4일 Day case 김OO F/50
<허혈성 뇌졸중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12월 5일 Eve case 장OO F/44
<충수돌기염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12월 6일 Eve case 이OO F/80
<장폐색증 질병연구>
1.증상
2.진단
3.검사
본문내용
되고 오심, 구토 증상이있어 오후 3시경 로컬 내원 하여 장폐색 진단받고 진료의뢰서 가지고 보호자의 부축을 받으며 ER 내원함. 내원 당시 v/s 154/73-36.3-87-20 이었으며 BST 159mg/dl, SPO2 99% 였음. 의사 문진 하고 CT 촬영하여 장폐색 확인 하고 L-tube insertion하여 장 내용물 흡인 한 후 입원 권유 되어 입원 준비함.
시간
관찰내용
이론적 근거
17:00
보호자의 부축을 받으며 인상을 찡그리면서 배를 부여잡고 주춤주춤 들어옴.
의식 있으며 전체적으로 힘이 빠져있고 심한 통증을 호소함.
17:05
EKG 모니터링을 적용하고 BST와 v/s을 측정함
SPO2:99% BST:159mg/dl
v/s 154/73-36.3-87-20
EKG-진단이나 기록을 위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것으로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 진단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SPO2-동맥혈산소포화도를 비침습적으로 예측하여 환자의 호흡상태를 파악하기 위함.
V/S-신체기능의 이상상태를 파악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함.
BST-대사성 내분비 장애로 저혈당 및 고혈당에 응급처치를 하기 위함
17:10
소독솜을 주어 요도를 닦은 후 중간소변을 채취하게 함.
소변은 신장에서 혈액을 거른 뒤 나오는 노폐물로서 여러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다. 소변을 검사함으로써 요로계의 이상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내분비/대사 질환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17:25
의사 선생님께서 문진함
의사: 배가 언제부터 아팠어요?
환자: 어제 저녁부터 아팠는데 아침에 더 심해졌어요. 똥도 안나오고.
-배를 누르고 장음을 들으며 신체검진을함.
장폐색은 촉진시 배가 폐색된 부위가 단단하며 장음 청진시 거의 장음이 들리지 않음으로 확인하기 위해 신체검진을 시행한다.
17:35
정맥을 확보함 금식 교육함.
수술과 각종 검사를 대비하여 금식을 유지하고 약물 투여를 위해 정맥 확보
17:45
CT를 찍으러 감
복부 CT는 장 폐색증 자체를 진단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그 원인을 파악 하는 데에도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18:00
CT 결과 장 폐색증 확인하고 L-tube를 통해 장 내용물을 흡인 하여 감압해야 하는 것을 설명함.
장 폐색시 역류한 장 내용물과 가스를 흡인하여 장폐색으 완화 한다.
18:10
L-tube insertion 하여 장 내용물 1L흡인됨. 지속적 치료 위해 입원 권유되어 입원 준비함.
<장폐색증 질병연구>
1.증상
기계적 장 폐색증으로 인한 증상에는 쥐어짜는듯한 극심한 복통, 오심과 구토, 복부팽만 등이 있는데, 막힌 부위에 따라 증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 외에 고형질의 장내용물은 내려가지 못하고 수분만 내려가서 소량의 물 설사를 하거나 아예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계적 장 폐색이 지속되면 장에서 정상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소화 및 흡수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빈맥(맥박수가 90~100회 이상), 저혈압,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팽창된 장의 벽을 통해 장내의 세균과 유해 물질이 복강 내로 빠져나가거나, 장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허혈상태로 빠져들 수 있고, 탈장 등에 의해 범발성(명이 몸의 특정 부위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장기 및 신체 부위에 널리 발생하는 것) 복막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주로 열(fever)이 동반된다.
마비성 장 폐색증 증상은 기계적 장 폐색증과 비슷하게 복통, 오심 및 구토, 복부팽만 등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그 양상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마비성 장 폐색증의 경우 산통과 같은 주기적인 극심한 복통이 없이 발생하는 복부팽만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장 폐색증과 달리 가스 배출(방귀)이 나타나고 설사도 계속 하게 된다.
2.진단
마비성 장 폐색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기계적 장 폐색증과 구분하는 것이다. 기계적 장 폐색증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그 적절한 시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마비성 장 폐색증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 오직 수액요법과 약물요법으로만 치료를 하기 때문이다. 두 질환에 대한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두 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의 차이와 초기의 이학적 검사 결과가 중요하다.
복통 환자에서 심하게 증가된 장음을 청진할 수 있는 경우, 특히 그 환자가 과거에 복강내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면 기계적 장 폐색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동일한 증상의 환자에서 과거 수술을 받은 적이 없다 하더라도 복부를 만져서 진단해 보았을 때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역시 기계적 장 폐색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가장 간편하고 신뢰할 만한 검사는 단순복부방사선촬영이며, 촬영상 막힌 부위의 위쪽 장관에서 증가된 공기 음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막힌 부위 이하에는 정상적으로 보여야 할 공기 음영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만약 대장보다 윗부분에서 폐색이 되었다면 정상적으로 보여서는 안 되는 소장 내의 가스가 관찰되고, 정상적으로 보여야 하는 대장 내의 가스는 아주 소량으로 관찰되거나 관찰되지 않는다.
기계적 장 폐색증의 60% 정도는 단순복부방사선촬영만으로도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지만, 여기에서 진단되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시행해볼 수 있는 검사로는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과 바륨조영술 검사 등이 있다. 나머지 20~30%에 대한 진단은 이 두 가지 검사로 가능하다. 특히 복부 CT는 기계적 장 폐색증 자체를 진단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그 원인을 파악 하는 데에도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반면 바륨조영술 검사는 기계적 장 폐색증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된다. 조영제 자체가 복강 내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급적 완전한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시행하지 않고, 부분적인 기계적 장 폐색증 환자에서 폐색이 발생한 위치와 폐색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다.
3.검사
단순복부방사선촬영, 복부 CT, 바륨 조영검사
시간
관찰내용
이론적 근거
17:00
보호자의 부축을 받으며 인상을 찡그리면서 배를 부여잡고 주춤주춤 들어옴.
의식 있으며 전체적으로 힘이 빠져있고 심한 통증을 호소함.
17:05
EKG 모니터링을 적용하고 BST와 v/s을 측정함
SPO2:99% BST:159mg/dl
v/s 154/73-36.3-87-20
EKG-진단이나 기록을 위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것으로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 진단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SPO2-동맥혈산소포화도를 비침습적으로 예측하여 환자의 호흡상태를 파악하기 위함.
V/S-신체기능의 이상상태를 파악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함.
BST-대사성 내분비 장애로 저혈당 및 고혈당에 응급처치를 하기 위함
17:10
소독솜을 주어 요도를 닦은 후 중간소변을 채취하게 함.
소변은 신장에서 혈액을 거른 뒤 나오는 노폐물로서 여러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다. 소변을 검사함으로써 요로계의 이상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내분비/대사 질환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17:25
의사 선생님께서 문진함
의사: 배가 언제부터 아팠어요?
환자: 어제 저녁부터 아팠는데 아침에 더 심해졌어요. 똥도 안나오고.
-배를 누르고 장음을 들으며 신체검진을함.
장폐색은 촉진시 배가 폐색된 부위가 단단하며 장음 청진시 거의 장음이 들리지 않음으로 확인하기 위해 신체검진을 시행한다.
17:35
정맥을 확보함 금식 교육함.
수술과 각종 검사를 대비하여 금식을 유지하고 약물 투여를 위해 정맥 확보
17:45
CT를 찍으러 감
복부 CT는 장 폐색증 자체를 진단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그 원인을 파악 하는 데에도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18:00
CT 결과 장 폐색증 확인하고 L-tube를 통해 장 내용물을 흡인 하여 감압해야 하는 것을 설명함.
장 폐색시 역류한 장 내용물과 가스를 흡인하여 장폐색으 완화 한다.
18:10
L-tube insertion 하여 장 내용물 1L흡인됨. 지속적 치료 위해 입원 권유되어 입원 준비함.
<장폐색증 질병연구>
1.증상
기계적 장 폐색증으로 인한 증상에는 쥐어짜는듯한 극심한 복통, 오심과 구토, 복부팽만 등이 있는데, 막힌 부위에 따라 증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 외에 고형질의 장내용물은 내려가지 못하고 수분만 내려가서 소량의 물 설사를 하거나 아예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계적 장 폐색이 지속되면 장에서 정상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소화 및 흡수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빈맥(맥박수가 90~100회 이상), 저혈압, 탈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팽창된 장의 벽을 통해 장내의 세균과 유해 물질이 복강 내로 빠져나가거나, 장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허혈상태로 빠져들 수 있고, 탈장 등에 의해 범발성(명이 몸의 특정 부위에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장기 및 신체 부위에 널리 발생하는 것) 복막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주로 열(fever)이 동반된다.
마비성 장 폐색증 증상은 기계적 장 폐색증과 비슷하게 복통, 오심 및 구토, 복부팽만 등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그 양상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마비성 장 폐색증의 경우 산통과 같은 주기적인 극심한 복통이 없이 발생하는 복부팽만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장 폐색증과 달리 가스 배출(방귀)이 나타나고 설사도 계속 하게 된다.
2.진단
마비성 장 폐색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기계적 장 폐색증과 구분하는 것이다. 기계적 장 폐색증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그 적절한 시기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마비성 장 폐색증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거의 없으며 오직 수액요법과 약물요법으로만 치료를 하기 때문이다. 두 질환에 대한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두 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의 차이와 초기의 이학적 검사 결과가 중요하다.
복통 환자에서 심하게 증가된 장음을 청진할 수 있는 경우, 특히 그 환자가 과거에 복강내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면 기계적 장 폐색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동일한 증상의 환자에서 과거 수술을 받은 적이 없다 하더라도 복부를 만져서 진단해 보았을 때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역시 기계적 장 폐색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가장 간편하고 신뢰할 만한 검사는 단순복부방사선촬영이며, 촬영상 막힌 부위의 위쪽 장관에서 증가된 공기 음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막힌 부위 이하에는 정상적으로 보여야 할 공기 음영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만약 대장보다 윗부분에서 폐색이 되었다면 정상적으로 보여서는 안 되는 소장 내의 가스가 관찰되고, 정상적으로 보여야 하는 대장 내의 가스는 아주 소량으로 관찰되거나 관찰되지 않는다.
기계적 장 폐색증의 60% 정도는 단순복부방사선촬영만으로도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지만, 여기에서 진단되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시행해볼 수 있는 검사로는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과 바륨조영술 검사 등이 있다. 나머지 20~30%에 대한 진단은 이 두 가지 검사로 가능하다. 특히 복부 CT는 기계적 장 폐색증 자체를 진단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그 원인을 파악 하는 데에도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반면 바륨조영술 검사는 기계적 장 폐색증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된다. 조영제 자체가 복강 내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급적 완전한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시행하지 않고, 부분적인 기계적 장 폐색증 환자에서 폐색이 발생한 위치와 폐색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다.
3.검사
단순복부방사선촬영, 복부 CT, 바륨 조영검사
추천자료
대장의 진단적 검사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위장관 문제를 알아내기 위한 진단적 검사법
케이스 스터디 Appendicitis
GS case study - appe
(아동간호) 아동 약어
복통과 WBC 종류 및 수치
ER casestudy-Thyroid lobectomy-10쪽
[간호학] 응급간호 - 흉부손상
협력적 팀워크의 필요성과 저해요인 및 대처방안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맹장염 case (맹장염 간호과정, 맹장염 사례연구, 맹장염 케이스, 맹장염, appendicitis case...
[간호학] Appendicitis 환자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