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론 공간에 관한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대한 분명한 공간감을 드러내 지 않는데 형태에 대한 주관적이고도 개념적인 측면을 위해 이 같은 점이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
A:테베의 나크트 무덤벽화의 부분도.BC1410년
평행투사법
평행투사법은 공업적이거나 기계적인 제도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반면 일반적으로 서양화 기법에서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동양미술에서 대상의 사실적 서술보다는 작가의 주관적 해석이 더 중시되는 까닭에 종종 평행투사법을 사용한다. 평행 투사법에서는 마주보는 선이 평행하므로 그 소실점이 있을 수 없다. 오늘날 평행 투사법은 공업적이거나 기계적인 그림에 있어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반면 미술에 있어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B:스즈끼 하루노부. 판화,18세기 중엽
개방형/폐쇄형
폐쇄형은 일반적으로 다소 형식적인, 즉 구조적인 모습을 띠지만 개방형은 비일상적인 방법으로 포맷에서 전진하기도 하고 또는 없어지기도 하는 요소들로써 하나의 우연적이고 순간적인 느낌을 만들어낸다.
화가는 우리에게 완전한 장면을 보여줄 것인가 또는 단지 그 포맷을 넘어서 계속되는 어떤 장면의 일부분만 보여줄 것인가를 선택하게 된다.
화면 속 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한번에 보여주는 것이 폐쇄형이고, 부분만을 표현함으로써 그림 밖의 상황을 상상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개방형이다.
A:클레이톤 폰드: 내 스튜디오의 물건들 시리즈로부터 발췌한 목욕통 속의 자화상. 1973
B:에드가 드가: 경주에서. 1877~80
A: 장 밥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1760년 경
B: 장 밥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The Silver Goblet. 1760년 경
투명
중첩에 변화라고도 볼 수 있는데, 두 개의 사물이 중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두 형태가 완전한 형태를 드러낼 때 그것은 투명한 것이라 한다.
입체파 화가들은 만일 각각의 형태가 중첩에 의해 부분적으로 숨겨지는 대신 완전하게 보여진다면 다양한 형태들간의 관계와 대비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 여겨 흔히 투명법을 사용했다.
D:후앙 그리:열린 창 앞에 있는 정물. 1915
공간의 혼동
화가들은 여러 가지 공간감을 배우게 되는데 일부러 특이한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 이런 습관적인 방법을 무시해 버린다. 그리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그림을 더 열심히 보게 만들어 흥미를 일으킨다. 이러한 공간의 왜곡이나 속임수는 회화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어서 건축가나 조각가들 또한 원근감을 확대시키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왔다.
A:데이비드 호크니: Kirby Useful knowledge. 1975
B:윌리암 호가드: 투시의 유희. 1754
C:르네 마그리트: 텅 빈 흔적. 1965
D:로마 건축물
참고문헌 및 출처
조형의 원리/ 데이비 라우어 지음/ 이대일 옮김(1985 초판)
조형의 원리/ 데이비드A 라우어/ 스티븐 펜탁 지음/ 이대일 옮김(2002년 5차 개정판)
그림을 보는 52가지 방법/ 구어슈쉬엔/ 김현정 옮김
www.yahoo.co.kr 통합검색 및 이미지 검색
www.naver.co.kr 통합검색 및 이미지 검색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1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