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동공급의 탄력성
- 노동공급의 탄력성의 뜻
- 노동공급의 탄력성의 크기와 결정요인
2. 근로를 유인하는 복지프로그램
- 국민기초생활보장
- 현금지급과 부(-)의 소득세제
- 근로장려세제
3. 인적자본이론
- 인적자본의 의의
-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대상
- 인적자본 투자의 수요
- 인적자본 투자의 수요곡선
- 인적자본 투자의 공급
- 인적자본 투자의 결정
- 인적자본 투자의 수익률
- 선별가설
- 신호가설
- 노동공급의 탄력성의 뜻
- 노동공급의 탄력성의 크기와 결정요인
2. 근로를 유인하는 복지프로그램
- 국민기초생활보장
- 현금지급과 부(-)의 소득세제
- 근로장려세제
3. 인적자본이론
- 인적자본의 의의
-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대상
- 인적자본 투자의 수요
- 인적자본 투자의 수요곡선
- 인적자본 투자의 공급
- 인적자본 투자의 결정
- 인적자본 투자의 수익률
- 선별가설
- 신호가설
본문내용
줄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함. 기초 교육 무상제공, 고등교육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비 보조 확대.
(8) 선별가설
① 선별가설의 의의
㉠ 선별가설(screening hypothesis)은 교육 · 훈련과 높은 생산성의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교육 · 훈련이 높은 임금을 가져온다는 인적자본이론을 비판하여 루카스(R. lucas), 애로우(K. Arrow), 스펜스(M. Spence) 등에 의하여 주장된 가설.
㉡ 선별가설은 교육 · 훈련이 생산성을 높이기보다는 능력 있는 사람을 식별하거나 선별하는 데만 이용된다고 주장. 즉 노동자의 채용 시에 드는 채용 및 선별비용, 훈련비용을 사용자가 줄이기 위해 능력의 대리변수인 교육에 높은 임금을 지불하게 되는 것. 이 가설에 의하면 교육제도는 유능한 사람을 식별 내지 선별하는 기구에 불과함.
② 교육 투자의 방향
㉠ 인적자본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 · 훈련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라면 저소득층의 교육수준을 향상시키는 정책에 의해 빈곤 해소 가능.
㉡ 그러나 선별가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 · 훈련이 높은 소득을 얻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면 저소득층에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교육기회의 평등화 정책은 의미가 없게 된다.
㉢ 따라서 이런 경우 정부의 교육투자는 소수의 엘리트를 선발하여 중점 투자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함.
(9) 신호가설
① 신호가설의 의의
㉠ 인적자본이론에 대해 가장 중요한 비판의 하나는 ‘교육이 과연 노동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하는 것이다. 비판적인 견해에는 선별가설과 함께 신호가설(signaling hypothesis)이 있다.
㉡ 교육이 노동자들의 선천적인 재능을 보여주거나 숨겨져 있는 생산성을 시그널(signal) 혹은 신호로 나타내 줄 뿐 직접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 = 신호가설 or 시그널링 가설. 신호가설은 스펜스(M. spence)가 주장함.
② 선별가설과 신호가설
㉠ 선별가설 : 노동자의 채용에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ies)에 직면한 기업이 능력 있고 생산성이 높은 노동자를 선별(screening)하고자 할 때, 기업은 대학교육이라는 간판을 능력과 생산성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
㉡ 이 경우 노동자 개인은 대학교육을 받아 자신의 선천적 재능과 숨겨져 있는 생산성을 기업에 신호하기 위해 교육투자를 하게 됨. 교육은 신호에 대한 투자라는 것이 신호가설.
(8) 선별가설
① 선별가설의 의의
㉠ 선별가설(screening hypothesis)은 교육 · 훈련과 높은 생산성의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교육 · 훈련이 높은 임금을 가져온다는 인적자본이론을 비판하여 루카스(R. lucas), 애로우(K. Arrow), 스펜스(M. Spence) 등에 의하여 주장된 가설.
㉡ 선별가설은 교육 · 훈련이 생산성을 높이기보다는 능력 있는 사람을 식별하거나 선별하는 데만 이용된다고 주장. 즉 노동자의 채용 시에 드는 채용 및 선별비용, 훈련비용을 사용자가 줄이기 위해 능력의 대리변수인 교육에 높은 임금을 지불하게 되는 것. 이 가설에 의하면 교육제도는 유능한 사람을 식별 내지 선별하는 기구에 불과함.
② 교육 투자의 방향
㉠ 인적자본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 · 훈련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라면 저소득층의 교육수준을 향상시키는 정책에 의해 빈곤 해소 가능.
㉡ 그러나 선별가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 · 훈련이 높은 소득을 얻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면 저소득층에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교육기회의 평등화 정책은 의미가 없게 된다.
㉢ 따라서 이런 경우 정부의 교육투자는 소수의 엘리트를 선발하여 중점 투자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함.
(9) 신호가설
① 신호가설의 의의
㉠ 인적자본이론에 대해 가장 중요한 비판의 하나는 ‘교육이 과연 노동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하는 것이다. 비판적인 견해에는 선별가설과 함께 신호가설(signaling hypothesis)이 있다.
㉡ 교육이 노동자들의 선천적인 재능을 보여주거나 숨겨져 있는 생산성을 시그널(signal) 혹은 신호로 나타내 줄 뿐 직접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 = 신호가설 or 시그널링 가설. 신호가설은 스펜스(M. spence)가 주장함.
② 선별가설과 신호가설
㉠ 선별가설 : 노동자의 채용에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ies)에 직면한 기업이 능력 있고 생산성이 높은 노동자를 선별(screening)하고자 할 때, 기업은 대학교육이라는 간판을 능력과 생산성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
㉡ 이 경우 노동자 개인은 대학교육을 받아 자신의 선천적 재능과 숨겨져 있는 생산성을 기업에 신호하기 위해 교육투자를 하게 됨. 교육은 신호에 대한 투자라는 것이 신호가설.
추천자료
수요-공급곡선, 사회무차별곡선,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하여 무역의 이익 설명
공급사슬관리(SCM)의 개요
공급사슬경영론,SCM
총수요와총공급모형
공급계약 (Supply Contracts)
공급사슬경영에 있어서 채찍효과에 관한 연구
공급사슬관리(SCM)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연공급제(호봉제)와 연봉제
수요공급과 가격과의 관계
공급과 가격과 가격하한제
공급체인관리 (SCM의 의의, 국내의 SCM, 기업이 나아갈 방향)
공급사슬관리(SCM) 사례연구
공급사슬관리의 최신 경향에 대해 조사
공급자 중심의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중심의 프로그램의 다른 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