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 외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 FDI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직접투자]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 외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 FD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내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 향후 방향>
1) 동양제과 오리온 초코파이
2) 대우

2. <한국에 대한 외국 투자현황 / 향후 방향>

본문내용

651억달러로 2007년 3월말(1,546억달러)대비 105억달러 증가
* 유동외채 = 단기외채 + 장기외채중 1년이내 만기도래분
2). 형태별투자
가. 직접투자
2007년 6월말 현재 외국인의 국내직접투자잔액은 1,195억달러로 2007년 3월말(1,178억달
러)에 비해 18억달러 증가 형태별로는 지분투자가 14억달러 증가하여 전체 외국인 국내직
접투자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 요인별로는 거래요인으로 1억달러가 증가하고 비거래요인*으
로 17억달러가 증가
* 원화절상(1.5%) 등의 영향으로 미달러화 기준 투자잔액이 2007년 3월말 대비 증가
나. 증권투자
2007년 6월말 현재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잔액은 4,194억달러로 2007년 3월말(3,666억달
러)에 비해 528억달러 증가 형태별로는 주식투자가 402억달러, 채권투자는 126억달러 증가
요인별로는 거래요인으로 119억달러 증가하고, 비거래요인으로 409억달러 증가
다. 기타투자
2007년 6월말 현재 외국인의 기타투자*잔액은 2,096억달러로 2007년 3월말(1,970억달러)에 비해 126억달러 증가
* 차입금, 무역신용, 현·예금, 매도외환 등
형태별로는 차입금이 95억달러, 무역신용이 24억달러 각각 증가
요인별로는 거래요인으로 139억달러 증가한 반면, 비거래요인으로 13억달러 감소
3) 대외채무
2007년 6월말 현재 대외채무는 3,111억달러로 2007년 3월말(2,855억달러)대비 256억달러 증가
단기외채는 1,379억달러로 87억달러, 장기외채는 1,732억달러로 169억달러 각각 증가
외은지점의 단기외채가 단기차입금(77억달러)을 중심으로 73억달러 증가
→ 단기외채비중(단기외채/대외채무)이 44.3%로 2007년 3월말(45.3%)보다 1.0%p 하락
유동외채*는 1,651억달러로 2007년 3월말(1,546억달러)대비 105억달러 증가
* 유동외채 = 단기외채 + 장기외채중 1년이내 만기도래분
→ 유동외채비율(유동외채/준비자산)은 65.9%로 2007년 3월말(63.4%)에 비해 2.5%p 상승(통상 100%미만이면 안정적 수준)
부문별로는 2007년 3월말에 비해 은행부문이 148억달러, 기타부문*이 88억달러 각각 증가
* 비은행금융회사, 공기업, 민간기업 및 개인으로 구성
은행부문중에서는 외은지점이 82억달러 증가
-2. 외국인 투자에 대한 긍적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외국인의 한국투자가 증가한만큼 침체된 국내 기업들의 투자를 활성화시키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그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규모 확장과 대외 경쟁력 증대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정
부에는 세금확보로 인한 예산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내 증권시장의 경우에는 외국인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데, 이는 증권
시장에서 거두는 수익이 국내투자자나 기업이 거두는 수익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최근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7년 6월 말 국제투자 현황(잠정)”에 따르면 외국인 국내 투자잔
액은 7485억 3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올 2분기에만 주식투자로 37조원(394억 8000만 달
러)에 달하는 평가 이익을 챙겼다고 한다. 이는 지난해 1년간 평가이익 32조 9000억(353억
5000만 달러)을 훌쩍 뛰어넘는 규모이다. 그리고 분기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이다. 이 같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에서 확실한 이익을 확보했다고 생각한 후 갑작스럽게 철수할 경우
에는 국내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로써 국내 기업에 타격은 물론 국내 투자
자 모두에게 엄청난 타격이 될 것이다.
- 3. 향후 과제 및 방안
이러한 잠재적 위험의 대안으로는 증권시장에 몰린 투자를 국내 직접투자로 분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위의 자료처럼 직접투자의 경우는 증권투자보다 확연히 비율이 낮은
데 이는 열악한 국내 투자환경이 문제점으로 작용한 덕분이다. 그 세부 환경으로는 노사환
경이나 입지 및 공장설립여건 등을 꼽을 수 있으며 고비용ㆍ저효율 경제구조, 과다한 규제,
정책의 일관성 부족 등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국내 투자여건 개선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과제로는 각종 규제완화 및 정책일관성 유지와 기업조세부담 완화,
안정적인 노사관계 정착, 금융기관 이용여건 개선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 유치를 늘리며 그 비중을 점차로 확대해 외국인 투자에 의한 갑작스러운 타격에
대해서도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6.1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