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철학-아도르노의 문화산업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철학-아도르노의 문화산업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도르노의 생애

2. 문화산업의 탄생배경

3. 아도르노의 문화산업 비판
1) 대중을 지배하는 수단으로서의 문화
2) 상품으로서의 문화
3) 문화소비자의 위치
4) 대중문화는 대중의 문화욕구를 충족시켜주는가?
5)아도르노가 말하는 진정한 문화.예술

4.문화산업의 예
1) 문화제국주의로서의 아시아 문화 평정 - 한류
2) 문화라는 이름으로 허위욕구를 자극하는 매체 - 광고

본문내용

장하는 자본주의의 문화를 그대로 전달하는 매체가 바로 광고인 것이다.
3) <성공시대>속의 이데올로기
- <성공시대>에서 과거의 시련은 현재적 평가를 통해 승화시키는 역순적 재구성을 통해 현재적 시련에 대한 불합리와 고통을 정당화 내지 승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 빈곤의 문제는 철저하게 개인의 가정사 내지는 개인적 불행으로 귀속적 빈곤은 그의 재수없음으로 단순히 제시해 사회적 불평등, 불공정의 경쟁 같은 ‘구조적 모순’을 철저히 은폐시키고 결국 사회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로 귀착되며 구조의 효율성은 개인의 행위를 통해 담보화된다. 이는 바로 ‘개인화’와 ‘개별화’라는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의 강화적 양상인 것이다.
- 또 끊임없는 노력과 성실, 창의와 도전을 성공에 이르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경쟁의 구조 속에서 사회 구성원들이 낙오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을 강조하고 구성원들을 물질적 가치라는 자본주의의 근본 가치에 매몰되게 만들어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경쟁구조의 정당성을 인정하게 한다. 이러한 식의 경쟁의 인정과 근면의 강조는 자본주의의 ‘경쟁이데올로기’를 정당화 하는 데 이바지하게 되는 것이다.
- 그 외에 성공의 잣대를 물질적 가치로 전환해 물질적 가치의 위대함과 견고함을 제시하며 모든 가치들에 우선함을 배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풍요는 선, 빈곤은 악이라는 이등식 사고도 성립하게 된다.
- 노력에 합당한 인정과 물질적 보상이라는 ‘행복한 결말’로 사회와 화해한다. 보상을 통한 시련의 화해라는 서사구조는 소수의 자들에 부여하는 보상구조를 통해 사회 전체의 불평등성을 용인하게 한다.
- 유사한 서사구조를 통해 누구나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구체적이고 가능한 성공의 목표와 방식을 제시해 사회에 저항하기보다 사회에 순응하고 좀더 노력하여 성공의 보상을 받으라고 권유하면서, 기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 대기업의 창업자들은 자신들이 맨손으로 출발하여 오늘의 거대그룹을 이루어 냈음을 자랑스러이 회고하면서 그들은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끈 시대적 '영웅'으로 자리매김되며 그들의 생애는 '영웅신화'로 각색되어 유통된다. 이러한 '영웅신화'에서는 당시 정권이 재벌을 키우기 위해 투여한 엄청난 국민의 혈세나 그 과정에서 흘린 산업노동자의 피땀은 철저히 배제된다. 2000-09-14, 뉴스앤조이 “개신교와 성장주의 이데올로기1 - 성공시대와 영웅신화”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14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