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의 원류와 아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향전의 원류와 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향전의 배경설화
-박색설화 -지리산녀 설화
-노진 설화 -성이성 설화
-양진사 설화

2. 춘향전의 이본
-별춘향전 계열
-남원고사 계열
-옥중화 계열

본문내용

이몽룡 어사는 서울에 올라와 왕을 알현하고, 춘향의 일을 고하고, 이에 왕이 정렬부인이라는 이름을 내리며, 춘향과 육례를 갖추어 혼사를 치르며, 뒤에 육경의 벼슬을 하고 다섯이나 되는 자녀를 두고 화목한 가정을 꾸려가며 여생을 보낸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3) 옥중화 계열
옥중화는 판소리극 사설을 토대로 삼으면서, 신소설의 분위기를 수용한 20세기 초에 유행한 활자본이다. 이 작품은 근대 전환기의 유명 작가 이해조가 매일신보에 연재한 후, 이를 극히 일부만 수정하여 출간한 것이다. 그는 완판 84장본의 토대가 되었던 판소리극 춘향가를 계승한 명창 박기홍의 사설을 토대로 개작하였다. 이른바 신소설 작가답게 표제도 다른 근대전환기 소설의 표제처럼 ‘옥중화(獄中花)’로 하여 열녀춘향수절가 이후의 새로운 춘향전을 출발시켰다. 곧, ‘옥 속어 갇힌 꽃같이 아름다운 기생 춘향’이란 뜻을 담아, ‘열녀춘향수절가’나 ‘남원고사’가 지닌 직설적이거나 평면적인 표제법을 과감히 벗어나며 시대적인 분위기를 담아내었다.이 옥중화는 1910년대 이후의 춘향전에 새 길을 열면서 서울의 독자를 중심으로 전국에 보급되었다. 구체적 내용을 분석해 보면, 박기홍의 판소리극 사설을 대상으로 초두 부분과 이별 장면 이후 부분을 주로 개작하였다. 이 옥중화가 신문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1912년 보급서관에서 활자본으로 출간한 이후, 그 인기의 여세를 몰아 여러 출판사에서 우후죽순처럼 이 유형에 속할 수 있는 유사 작품들을 대량으로 출간해 놓았다.
이 옥중화 계열의 내용상 특징은 결미에서 월매의 청으로 암행어사가 변부사를 용서하는 점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1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