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헤르바르트의 삶과 시대상황
2. 헤르바르트의 교육이론
3. 헤르바르트의 심리학
4. 교실에서의 헤르바르트
2. 헤르바르트의 교육이론
3. 헤르바르트의 심리학
4. 교실에서의 헤르바르트
본문내용
록 해야 한다.
⇒이때의 흥미는 ‘다면성’과 ‘통일성’ 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주요 관심 - 학생이 가지는 흥미의 힘과 다양성을 일으키는 것
。교사의 역할 - 전반적 교과목에 있어서 어떤 아이디어들이 협동하며 그것들이 어떻게 조직되고 제시될 지에 대해서 결정하는 것
。모든 학생들이 읽기, 이해력, 단어 등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말을 통해 똑같은 것을 전 달하지 않고 말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물’을 사용→모든 학생에게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음
⇒10장의 포스트모더니스트부분에서는 언어가 지식획득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헤르바르트는 말이라는 언어대신 사물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더 정확한 전달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나의 생각은 언어와 사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수업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지식전달이 잘 이루어 질 것 같다.
。말 - 그저 모델을 제시하고 물질을 제시하는 그림의 발전을 통한 더 보편적인 개념화를 위한 기초에 불과함
- 교사들이 일부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더 정확한 통각집단을 가능하게 함 → 가장 잘 교육된 인간: 가장 크고 가장 잘 정돈된 통각집단을 인간이 가지고 싶어 하는 삶과 함께 가지고 있는 사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교수법의 구성요소
①정부: 학생들을 단속하는 것은 도덕 발전의 전제 조건
②훈련: 학생들의 의지에 대한 교사들의 의지의 영향력
③교육: 어떤 것들이 어떤 순서로 보여야 하는가?
。아이디어의 획득과 통각집단의 발전을 용이하게 하는 특정 단계
<준비> 학생의 흥미 유발
<제시> 새 아이디어 설명
<협동> 이미 획득된 아이디어들과 새 아이디어들 사이의 관계를 제시
<일반화> 일반적 아이디어나 개념의 형성
<적용> 문제를 푸는 데 있어서 획득된 지식 사용
。좋은 삶을 위해서 인간은 반드시 문제를 풀 수 있어야 함
성공적인 문제풀기 - 4.3.2(일반화, 협동, 제시)단계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간의 통각개념의 정확성에 달려있음
※헤르바르트의 묘비명
신성한 진리의 심연을 끝까지 천착하는 것,
기쁨과 희망으로 인간의 복리를 위하여 정진하는 것,
이것이 그의 삶의 목적이었다.
이제 그의 영혼은 자유를 얻어 완전한 광명을 누리며,
한시적인 육신은 여기에 조용히 쉬고 계신다.
⇒여러 책을 뒤져가며 자료를 찾다가 한 책의 제일 마지막 장에 있던 이 글을 보게 되었다. 그의 삶의 목적이 그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 한번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rmsid1223?Redirect=Log&logNo=100007803813
http://blog.daum.net/ljw271/7221664
헤르바르트의 일반교육학 학지사 J.F.헤르바르트 지음 김영래 옮김
헤르바르트의 敎授理論 교육과학사 李煥基(이환기)지음
<느낀 점>
교육 철학자를 이번처럼 자세하게 깊게 조사해 본 것은 처음이다. 철학이라는 단어가 너무 낯설고 이해가 되지 않았다. 헤르바르트를 조사하고 그의 사상과 이론내용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읽어보고 또 읽어보아도 머리가 멍~함을 느꼈다. 책을 빌려서 읽어가며 일일이 타자를 쳐가면서 헤르바르트를 더 많이 이해하게 된 것 같다. 그를 다 알려면 정말 교수님 말씀대로 한 학기를 보내야만 할 것 같다. 앞으로도 헤르바르트라는 인물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싶어졌고 알아갈 것이다. 그의 사상과 이론을 나중에 교사가 되어 교육의 장에서 적용을 하기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의 이론을 외우기보다는 나의 생각과 비교해 가면서 그의 교수법을 따라 나의 교육관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이때의 흥미는 ‘다면성’과 ‘통일성’ 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주요 관심 - 학생이 가지는 흥미의 힘과 다양성을 일으키는 것
。교사의 역할 - 전반적 교과목에 있어서 어떤 아이디어들이 협동하며 그것들이 어떻게 조직되고 제시될 지에 대해서 결정하는 것
。모든 학생들이 읽기, 이해력, 단어 등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말을 통해 똑같은 것을 전 달하지 않고 말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물’을 사용→모든 학생에게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음
⇒10장의 포스트모더니스트부분에서는 언어가 지식획득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헤르바르트는 말이라는 언어대신 사물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더 정확한 전달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나의 생각은 언어와 사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수업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지식전달이 잘 이루어 질 것 같다.
。말 - 그저 모델을 제시하고 물질을 제시하는 그림의 발전을 통한 더 보편적인 개념화를 위한 기초에 불과함
- 교사들이 일부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더 정확한 통각집단을 가능하게 함 → 가장 잘 교육된 인간: 가장 크고 가장 잘 정돈된 통각집단을 인간이 가지고 싶어 하는 삶과 함께 가지고 있는 사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교수법의 구성요소
①정부: 학생들을 단속하는 것은 도덕 발전의 전제 조건
②훈련: 학생들의 의지에 대한 교사들의 의지의 영향력
③교육: 어떤 것들이 어떤 순서로 보여야 하는가?
。아이디어의 획득과 통각집단의 발전을 용이하게 하는 특정 단계
<준비> 학생의 흥미 유발
<제시> 새 아이디어 설명
<협동> 이미 획득된 아이디어들과 새 아이디어들 사이의 관계를 제시
<일반화> 일반적 아이디어나 개념의 형성
<적용> 문제를 푸는 데 있어서 획득된 지식 사용
。좋은 삶을 위해서 인간은 반드시 문제를 풀 수 있어야 함
성공적인 문제풀기 - 4.3.2(일반화, 협동, 제시)단계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간의 통각개념의 정확성에 달려있음
※헤르바르트의 묘비명
신성한 진리의 심연을 끝까지 천착하는 것,
기쁨과 희망으로 인간의 복리를 위하여 정진하는 것,
이것이 그의 삶의 목적이었다.
이제 그의 영혼은 자유를 얻어 완전한 광명을 누리며,
한시적인 육신은 여기에 조용히 쉬고 계신다.
⇒여러 책을 뒤져가며 자료를 찾다가 한 책의 제일 마지막 장에 있던 이 글을 보게 되었다. 그의 삶의 목적이 그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 한번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rmsid1223?Redirect=Log&logNo=100007803813
http://blog.daum.net/ljw271/7221664
헤르바르트의 일반교육학 학지사 J.F.헤르바르트 지음 김영래 옮김
헤르바르트의 敎授理論 교육과학사 李煥基(이환기)지음
<느낀 점>
교육 철학자를 이번처럼 자세하게 깊게 조사해 본 것은 처음이다. 철학이라는 단어가 너무 낯설고 이해가 되지 않았다. 헤르바르트를 조사하고 그의 사상과 이론내용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읽어보고 또 읽어보아도 머리가 멍~함을 느꼈다. 책을 빌려서 읽어가며 일일이 타자를 쳐가면서 헤르바르트를 더 많이 이해하게 된 것 같다. 그를 다 알려면 정말 교수님 말씀대로 한 학기를 보내야만 할 것 같다. 앞으로도 헤르바르트라는 인물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싶어졌고 알아갈 것이다. 그의 사상과 이론을 나중에 교사가 되어 교육의 장에서 적용을 하기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의 이론을 외우기보다는 나의 생각과 비교해 가면서 그의 교수법을 따라 나의 교육관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추천자료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젝트중심수업, PBL)의 전제조건과 과정,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젝트중...
CAI(컴퓨터보조학습, 컴퓨터보조수업)의 개념과 유형별 특성, CAI(컴퓨터보조학습, 컴퓨터보...
실업가정과 재활용과 동력전달 지도자료(수업자료), 실업가정과 공간과 기계도면 지도자료(수...
국어과와 영어과 멀티미디어 교육자료(수업자료), 사회과와 과학과 멀티미디어 교육자료(수업...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학습)의 의미와 특징,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
영어과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수업)의 장점과 효과, 영어과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수...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의 개념과 특성,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교육)의 의미와 목적,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필요성,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학습)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
전면 주5일수업제 도입의 기본 구상, 주5일수업제(주5일제수업)의 장점과 단점, 성공과제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수업, 인터넷활용학습)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
ICT활용수업의 개요, 수업 환경, ICT활용수업 유형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