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case stud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배통, 두드러기, 일시적 근강직, 국소부종, 피부괴사
v. 대상자의 식이
저염식이
염분은 조직 내에 수분을 저류 시켜 순환 혈량을 증가시킴으로 심.혈관질환을 악화시키고 혈압을 상승하게 한다.
Ⅵ. 간호과정
(1) 청력상실과 관련된 절망감
사정
6/2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귀가 잘안들링께 그냥 말시키지말고 이렇게 살다 죽게 그냥 냅두랑께 귀찮게 좀 하지말어.”
대화 시 정서적으로 침체되어 보이고 적개적이며 말하는 사람으로부터 몸을 다른 데로 돌리고 계심
대상자 신체 사정 시 우측 청력 상실 상태임.
대상자는 청신경 종양으로 진단 받으심.
혼자 있기를 추구함
간호 진단
6/2
청력상실과 관련된 절망감
간호목표
6/2
상실에 대한 느낌을 표현한다
적절한 지지체계를 활용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6/2~6/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가장 편안한 형태로 감정을 표현 하도록 용기를 준다.
환자의 조심, 걱정에 대해 감정이입적인 이해를 전달한다.
파괴적이거나 행동이 과장된 경우에는 제재를 가한다.
필요할 때 타인의 도움을 받도록 도와준다.
상실이 가져온 변화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생각하도록 도와준다.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상실을 인정할 수 있다.
절망감을 감당하지 못하면 자기파괴적이 된다. 절망감의 위험이 있는 대상을 인식하여 환자가 절망감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환자가 희망을 가질 때 치료가 촉진 된다.
간호평가
6/5
환자 분은 상실에 대한 느낌을 말로써 표현하는 횟수가 늘었으며, 필요시 타인의 도움을 받아 조절 하였다.
(2) 신경근육 손상과 관련된 연하 장애
사정
6/2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물만 마셔도 자꾸 기침이 나고 삼키기도 힘들어 자꾸 기침 나서 숨도 가쁘고... ”
수술 후 대상자는 얼굴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상태로 오른쪽 눈은 제대로 떠지지 않았고, 입은 오른쪽으로 돌아가 있어 입으로 음식 섭취 시 자꾸 기침을 하시어 당분간 금식하고 계시기로 함.
간호 진단
6/2
신경근육 손상과 관련된 연하 장애
간호목표
6/2
호흡곤란, 기침, 질식 등의 증상 없이 선택한 음식, 액체를 삼킬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수행
6/2~6/9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식사 시 침상 머리를 90도로 상승시키고 식후 30분 동안 그 자세를 취해준다.
호흡곤란, 청색증, 질식증상을 관찰하고 침대 옆에 흡인기구를 항상 비치한다.
소량씩 먹도록 격려하고 연하 할 때까지 여유 있게 기다려준다.
흡인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흡인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간호평가
6/9
환자분의 얼굴 근육 이완과 함께 음식 섭취 시 호흡양상이 안정되고 흡인으로 인한 합병증 없이 정상적으로 음식을 삼킬 수 있었다.
Ⅶ. 문헌 고찰
1. 인터넷 자료 :http://blog.naver.com/jo82459?Redirect=Log&logNo=22758392
2.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편/ 서울대학교출판부/2003
3. 성인 간호학 전시자 외 지음 / 현문사 2005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