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및 원리
2. 재료, 시약, 기구
3. 실험 방법
4. 결과
5. 고찰 및 이해
2. 재료, 시약, 기구
3. 실험 방법
4. 결과
5. 고찰 및 이해
본문내용
날 때까지 Spreading을 한다.
∞ 원래 Broth의 1㎖ 당 집락수 구하기
CFU(Colony forming Unit)은 기본단위가 CFU/㎖로 1㎖당 얼마만큼의 세포 또는 균주가 있는지 나타내는 말로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희석배율 짜리 희석액을 사용한다. 이 희석액의 0.1㎖의 집락수는 168개이다. 따라서 이 희석액 전체 10㎖이 들어 있는 집락수는 16800개 이다. 이 말은 짜리 희석액으로부터 취하였던 1㎖안에 있는 집락수가 16800라는 말이므로 짜리 희석액 10㎖의 집락수는 168000개 이다. 이는 희석액 1㎖에 들어 있는 집락수와 같은 수치이다. 이처럼 계속 계산을 하면,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Broth 1㎖
따라서 Salmonella typhi. Broth의 1㎖당 집락수는 1.68× CFU/㎖이다.
∞ Macconkey agar
Peptone을 기본 영양원으로 지니고 있으며 담즙산염을 selective agent로 사용한다. 또 이 담즙산염의 농도는 그람 양성균의 증식을 저해하고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 등에 대한 선택적인 배지이다.
6. 참고문헌
John Garbutt,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Arnold, 1997, pp.51-52
박신인,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효일, 2004
이갑상, 『미생물학 분자생물학사전』, 대학서림, 1997
∞ 원래 Broth의 1㎖ 당 집락수 구하기
CFU(Colony forming Unit)은 기본단위가 CFU/㎖로 1㎖당 얼마만큼의 세포 또는 균주가 있는지 나타내는 말로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희석배율 짜리 희석액을 사용한다. 이 희석액의 0.1㎖의 집락수는 168개이다. 따라서 이 희석액 전체 10㎖이 들어 있는 집락수는 16800개 이다. 이 말은 짜리 희석액으로부터 취하였던 1㎖안에 있는 집락수가 16800라는 말이므로 짜리 희석액 10㎖의 집락수는 168000개 이다. 이는 희석액 1㎖에 들어 있는 집락수와 같은 수치이다. 이처럼 계속 계산을 하면,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희석액 1㎖
희석액 10㎖ = 1.68× = Broth 1㎖
따라서 Salmonella typhi. Broth의 1㎖당 집락수는 1.68× CFU/㎖이다.
∞ Macconkey agar
Peptone을 기본 영양원으로 지니고 있으며 담즙산염을 selective agent로 사용한다. 또 이 담즙산염의 농도는 그람 양성균의 증식을 저해하고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 등에 대한 선택적인 배지이다.
6. 참고문헌
John Garbutt,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Arnold, 1997, pp.51-52
박신인,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효일, 2004
이갑상, 『미생물학 분자생물학사전』, 대학서림,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