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6건

희석액 밖에 없었다. 희석액 2회 실험 결과 각각 14, 12 colony 개수이기 때문에, 30~300 cfu 유효범위에서 벗어났다. 희석배수의 실험결과 평균 153개의 colony 인데, 희석배수의 실험결과 평균 13개의 colony 결과를 얻었다. 10의 배수만큼 희석배수 했기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희석배수는 희석률의 역수인 106이다. 희석액 0.1ml을 접종한 평판배지 콜로니 수는 구해보면 평균 colony가 있었기 때문에 따라서 원시료 1ml의 평균 세균 수는 195 * 106 =1.95 * 108cfu/ml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확인 하러 갔었을 때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희석수를 사용한 시료의 BOD BOD(㎎/ℓ) = [(D1 - D2) - (B1 - B2) × f] × P D1 : 희석한 검액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ℓ)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한 검액의 DO평균치(㎎/ℓ)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희석시료량/시료량) BOD(㎎/ℓ) = (4.43 - 3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희석수를 사용한 시료의 BOD BOD(㎎/ℓ) = [(D1 - D2) - (B1 - B2) × f] × P D1 : 희석한 검액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ℓ)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한 검액의 DO평균치(㎎/ℓ) P : 희석시료 중 시료의 희석배수(희석시료량/시료량) BOD(㎎/ℓ) = (4.43 - 3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희석하면 할수록 덜 안정적이다. 따라서 항체는 희석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4) 항체를 제공하는 제조회사들은 일반적으로 보관과 취급에 관한 설명서를 같이 제공하므로 그것을 잘 읽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5) 항체는 신선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5.1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희석배수(60배희석)을 하면 DNA를 정량 할 수 있고 그 결과 시료DNA의 양은 528μg/ml이다. 반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aromatic ring을 갖고 있는 thyrosine 이나 tryptophan은 280nm 의 빛을 흡수 하기 때문에 A260/A280의 비를 구하면 단백질이 얼마나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발행일 2008.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