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전에
Ⅱ. 본 문
1. 이인로의 생애와 저작물에 대하여
1) 생 애
2) 저작물
2. 이인로의 문학관에 대하여
1) 문학의 독자성 및 그 작법과 형식
2) 용사(用事)와 연탁(鍊琢)
3) 유․불․선 삼교의 사상성
3. 이인로의 작품 분석
1) 작시 및 표현의 측면에서
2) 작품에 드러난 사상성의 측면에서
4. 이인로와 그의 문학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
Ⅲ. 마치며
※ 참고문헌
Ⅱ. 본 문
1. 이인로의 생애와 저작물에 대하여
1) 생 애
2) 저작물
2. 이인로의 문학관에 대하여
1) 문학의 독자성 및 그 작법과 형식
2) 용사(用事)와 연탁(鍊琢)
3) 유․불․선 삼교의 사상성
3. 이인로의 작품 분석
1) 작시 및 표현의 측면에서
2) 작품에 드러난 사상성의 측면에서
4. 이인로와 그의 문학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
Ⅲ.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상주의라고도 할 수 있겠다. 과거제도를 통해 문장의 기예로써 관직에 나아갈 수 있었던 시대에 그 효용성과는 변별되는 문학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그는 고려조 한문학의 주도세력이 문벌귀족에서 신흥사대부로 넘어가는 기점에서 문신귀족들이 지녔던 문학과 문학관의 마지막 계승자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무신의 난으로 인해 위축된 문단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중요한 문인이다. 문신귀족들의 문학은 대체로 변려문 위주의 형식을 중시하는 것이었는데, 이인로의 문학이 지니는 성격은 발전적 형태라고는 해도 이를 온전히 이어받고 있다. 그는 『파한집』 곳곳에서 고려조 문벌귀족들의 문학이 왕성했던 시대를 그리워하며 향수에 젖은 모습을 보여준다. 흔히 이인로와 신흥사대부의 주자격인 이규보를 대립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용사와 신의 문제보다는 이 둘이 하나의 문풍 및 그 주도세력이 쇠락하고 다른 문풍과 그 주도세력이 새롭게 솟아오르는 교차점에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함이 옳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이인로는 『파한집』이라는 한국한문학 최초의 시화비평집을 저술하여 후세에 남김으로써 한국의 문학비평사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문장, 즉 문학의 본질과 그것이 가져야 할 모습, 그리고 작법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개진하였다. 물론 그 이전에도 비평은 존재해 왔지만, 문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해야 하는 이유와 어떤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파한집』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지식산업사, 2005), 38p의 내용을 참조 및 요약.
. 설혹 본격적인 문학 비평은 그 직후의 이규보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이인로가 그 문을 열어주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Ⅲ. 마치며
이상으로 미수 이인로와 그의 문학세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제 본문에서 살펴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서 본 발제지를 마치도록 하겠다.
이인로는 문벌귀족의 자손으로서 한 문학의 풍조와 그 담당층의 교체가 시작되는 격변기를 살았던 문인이었으며, 죽림고회의 일원으로서 시로써 크게 이름을 떨쳤지만 정치적 혹은 사상적으로 별다른 영향력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그는 『파한집』이라는 한국의 문학사에서 기억할 만한 저술을 남겼다.
이인로의 문학관에서 특징적인 것은 문학 자체의 독보적인 가치를 인정하면서 실제 현실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의 문제와 변별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한시의 작법 및 기교적 측면에 주목했으며, 여기에서 끊임없는 노력으로 문장을 갈고 다듬는 연탁과 옛 글을 빌어 쓰는 용사의 수법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인로가 문장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했다고 하여 그를 편형식주의자로 매도할 수는 없으며, 특히 그는 용사를 쓸 때 적절해야 할 것과 새로운 뜻을 창출해야 함을 역설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한편으로 이인로의 작품들에서는 유불선 삼교의 사상이 고루 걸쳐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한국 문인들의 전통적인 경향이기도 하다. 이러한 요소들이 그의 작품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는 본문의 세 번째 장에 언급되어 있다.
이인로가 우리 문학사에서 가지는 의의는 문학 자체의 가치를 중시한 점, 한문학의 주도층이 문벌귀족에서 신흥사대부로 넘어가는 기점에서 문벌귀족들과 그들의 문학의 마지막 주자격이었던 점, 그리고 『파한집』을 통해 한국문학사에서 문학비평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논 문:
김선기, 「고전문학 : 『보한집』의 『파한집』 속보에 대하여」(2006)
김주순, 「「귀거래사」와 이인로 「화귀거래사」의 비교연구」(2003).
김진영 외, 「제19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움- 『파한집』의 종합적 검토」(진단학보, 진단학회, 1992)
박미자, 「이인로의 인생관에 관한 일고찰」(대동한문학 제5집, 대동한문학회, 1993)
설중환, 「지훈 조동탁 교수 추모특집 : 『파한집』의 수필문학적 성격」, (어문논집, 민족어문학회, 1980)
심호택, 「이인로의 문학론」(1986)
심호택 「『파한집』의 역사적 성격 - 찬록의도의 시대적 배경 -」(1986)
유영봉, 「제7회 한국 한문교육연구 발표대회 : 고려 중기 시화 비평의 성립에 대하여 - 『파한집』을 중심으로 -」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1989)
이상익 「여조산문학 소고 -『백운소설』·『파한집』-」(1972)
이영아, 「파한집에 나타난 미수의 문학관」(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2002)
이종묵, 「이인로의 한시작법과 시세계」(1995)
이종문, 「이인로의 문학론에 대하여」(대동한문학 제1집, 대동한문학회, 1988)
이헌종 「이인로의 사상세계」(역사교육 제46집, 역사교육연구회, 1989)
정요일, 「학술발표 (2)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방향 모색 - 다. 한문고전 비평 :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은 다른가?」(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회, 1996)
주경렬 「고려중기 전원시 연구」(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차용준, 「이인로 연구」(1998)
채상식, 「『파한집』에 보이는 사상적 경향」(1992)
최승범, 「시화범론 : 시화수필고 -『파한집』을 중심으로-」(동방시화학, 동방시화학회, 2001)
하정승, 「고려 후기 시화집에 나타난 시품 연구」, (한문학보, 우리한문학회, 2000)
하정승. 「최자의 문학론 -『보한집』을 중심으로-」(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2005)
황인규, 「불교사학 및 응용불교 : 고려후기 유생의 사찰독서 -제 기록의 검토 및 그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2006)
단행본:
김경수, 『한국고전비평』(역악, 1999)
이인로, 『미수 이인로 시집』 (김진영차충환 모음, 민속원, 1998)
전영진, 『파한집역옹패설』(홍신문화사, 1995)
정인지 외, 『신편 고려사』 제9책 (고전연구실 옮김, 신서원, 200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지식산업사, 2005)
기 타:
네이버 백과사전, 「이인로」「파한집」
(http://100.naver.com/100.nhn?docid=140967, http://100.naver.com/100.nhn?docid=180377)
다음으로, 그는 고려조 한문학의 주도세력이 문벌귀족에서 신흥사대부로 넘어가는 기점에서 문신귀족들이 지녔던 문학과 문학관의 마지막 계승자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무신의 난으로 인해 위축된 문단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중요한 문인이다. 문신귀족들의 문학은 대체로 변려문 위주의 형식을 중시하는 것이었는데, 이인로의 문학이 지니는 성격은 발전적 형태라고는 해도 이를 온전히 이어받고 있다. 그는 『파한집』 곳곳에서 고려조 문벌귀족들의 문학이 왕성했던 시대를 그리워하며 향수에 젖은 모습을 보여준다. 흔히 이인로와 신흥사대부의 주자격인 이규보를 대립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용사와 신의 문제보다는 이 둘이 하나의 문풍 및 그 주도세력이 쇠락하고 다른 문풍과 그 주도세력이 새롭게 솟아오르는 교차점에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함이 옳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이인로는 『파한집』이라는 한국한문학 최초의 시화비평집을 저술하여 후세에 남김으로써 한국의 문학비평사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문장, 즉 문학의 본질과 그것이 가져야 할 모습, 그리고 작법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개진하였다. 물론 그 이전에도 비평은 존재해 왔지만, 문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해야 하는 이유와 어떤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파한집』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지식산업사, 2005), 38p의 내용을 참조 및 요약.
. 설혹 본격적인 문학 비평은 그 직후의 이규보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이인로가 그 문을 열어주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Ⅲ. 마치며
이상으로 미수 이인로와 그의 문학세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제 본문에서 살펴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서 본 발제지를 마치도록 하겠다.
이인로는 문벌귀족의 자손으로서 한 문학의 풍조와 그 담당층의 교체가 시작되는 격변기를 살았던 문인이었으며, 죽림고회의 일원으로서 시로써 크게 이름을 떨쳤지만 정치적 혹은 사상적으로 별다른 영향력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그는 『파한집』이라는 한국의 문학사에서 기억할 만한 저술을 남겼다.
이인로의 문학관에서 특징적인 것은 문학 자체의 독보적인 가치를 인정하면서 실제 현실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의 문제와 변별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한시의 작법 및 기교적 측면에 주목했으며, 여기에서 끊임없는 노력으로 문장을 갈고 다듬는 연탁과 옛 글을 빌어 쓰는 용사의 수법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인로가 문장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했다고 하여 그를 편형식주의자로 매도할 수는 없으며, 특히 그는 용사를 쓸 때 적절해야 할 것과 새로운 뜻을 창출해야 함을 역설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한편으로 이인로의 작품들에서는 유불선 삼교의 사상이 고루 걸쳐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한국 문인들의 전통적인 경향이기도 하다. 이러한 요소들이 그의 작품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는 본문의 세 번째 장에 언급되어 있다.
이인로가 우리 문학사에서 가지는 의의는 문학 자체의 가치를 중시한 점, 한문학의 주도층이 문벌귀족에서 신흥사대부로 넘어가는 기점에서 문벌귀족들과 그들의 문학의 마지막 주자격이었던 점, 그리고 『파한집』을 통해 한국문학사에서 문학비평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논 문:
김선기, 「고전문학 : 『보한집』의 『파한집』 속보에 대하여」(2006)
김주순, 「「귀거래사」와 이인로 「화귀거래사」의 비교연구」(2003).
김진영 외, 「제19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움- 『파한집』의 종합적 검토」(진단학보, 진단학회, 1992)
박미자, 「이인로의 인생관에 관한 일고찰」(대동한문학 제5집, 대동한문학회, 1993)
설중환, 「지훈 조동탁 교수 추모특집 : 『파한집』의 수필문학적 성격」, (어문논집, 민족어문학회, 1980)
심호택, 「이인로의 문학론」(1986)
심호택 「『파한집』의 역사적 성격 - 찬록의도의 시대적 배경 -」(1986)
유영봉, 「제7회 한국 한문교육연구 발표대회 : 고려 중기 시화 비평의 성립에 대하여 - 『파한집』을 중심으로 -」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1989)
이상익 「여조산문학 소고 -『백운소설』·『파한집』-」(1972)
이영아, 「파한집에 나타난 미수의 문학관」(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2002)
이종묵, 「이인로의 한시작법과 시세계」(1995)
이종문, 「이인로의 문학론에 대하여」(대동한문학 제1집, 대동한문학회, 1988)
이헌종 「이인로의 사상세계」(역사교육 제46집, 역사교육연구회, 1989)
정요일, 「학술발표 (2)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방향 모색 - 다. 한문고전 비평 :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은 다른가?」(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회, 1996)
주경렬 「고려중기 전원시 연구」(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차용준, 「이인로 연구」(1998)
채상식, 「『파한집』에 보이는 사상적 경향」(1992)
최승범, 「시화범론 : 시화수필고 -『파한집』을 중심으로-」(동방시화학, 동방시화학회, 2001)
하정승, 「고려 후기 시화집에 나타난 시품 연구」, (한문학보, 우리한문학회, 2000)
하정승. 「최자의 문학론 -『보한집』을 중심으로-」(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2005)
황인규, 「불교사학 및 응용불교 : 고려후기 유생의 사찰독서 -제 기록의 검토 및 그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2006)
단행본:
김경수, 『한국고전비평』(역악, 1999)
이인로, 『미수 이인로 시집』 (김진영차충환 모음, 민속원, 1998)
전영진, 『파한집역옹패설』(홍신문화사, 1995)
정인지 외, 『신편 고려사』 제9책 (고전연구실 옮김, 신서원, 200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지식산업사, 2005)
기 타:
네이버 백과사전, 「이인로」「파한집」
(http://100.naver.com/100.nhn?docid=140967, http://100.naver.com/100.nhn?docid=180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