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MT-2000의 개요
1. IMT-2000의 정의
2. IMT-2000의 등장배경
Ⅱ.IMT-2000 서비스의 발전 단계
Ⅲ. 다중 접속 기술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Ⅳ.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Ⅴ.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1. IMT-2000의 정의
2. IMT-2000의 등장배경
Ⅱ.IMT-2000 서비스의 발전 단계
Ⅲ. 다중 접속 기술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Ⅳ.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Ⅴ.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본문내용
산 방식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타 전송에도 적합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W-CDMA의 음성 품질은 거의 유선 수준에 가깝고 N-CDMA 보다 더 많은 용량을 가진다.
Ⅳ.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1. IMT-2000 비동기 방식(유럽/일본식)
비동기 방식은 기존 망으로 POT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비동기 방식의 기지국 (BTS)와 기지국제어기(BSC)를 Hook and Extension을 통한 상호호환으로 기존 교환기에 연결하여 운용하면서 트래픽 밀집지역(도심지)부터 교환기(MSC), 기지국제어기(BSC), 기지국(BTS) 등의 장비를 별도의 ATM 네트웍으로 구성하여 기존장비와 연동한다.
인터넷 등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하여 DCN(Data Core Network)의 장비를 ATM Switch 또는 Router로 구축하여 BSC와 Internet을 상호연동 시킨다.
기존망(동기방식 IS-95)에서 비동기 방식인 광대역 CDMA(W-CDMA)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2G장비를 사용하여 기존 음성 서비스를 수용하면서 시스템이 운용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비동기 방식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교환국사 및 기지국의 상면적이 많이 필요하므로 시설투자비의 과다 소요가 큰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80%에 달하는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단말기 및 기지국 장비의 가격 면에서는 경쟁력이 있다.
2. IMT-2000 동기방식(북미식)
기존 방식인CDMA(IS-95)에서 동기방식으로 진화 시에는 최소한의 투자비로 MSC, BSC 장비의 수정 없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인터넷 전용 DCN 장비가 추가되어 멀티미디어 수용을 위한 교환기(MSC), 기지국제어기(BSC) 장비의 셀 단위 방식인 ATM 장비로 교체될 것이다. DCN에서는 기존 CDMA(IS-95)의 기지국 제어기(BSC)와 IMT-BSC를 동시에 수용하여 ATM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망은 다품종 소량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지능망으로서 기존의 교환기(MSC)와 ATM 교환을 수용하여 호처리를 수행하고 DCN은 TCP/IP 프로토콜과 No7방식에 의한 상호 데이터 전송으로 신속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3.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Ⅴ.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1.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IMT-2000은 궁극적으로 유선, 무선 및 위성 환경에서 단말 또는 사용자 접속카드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이를 전 세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로밍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2. 전송 속도와 서비스 구현의 관계
< 참고 문헌 >
정보통신부 : http://www.mic.go.kr
어필텔레콤 : http://www.appeal.co.kr
ktf : http:www.ktf.co.kr
SK 텔레콤 : http://www.sktelecom.com
LG 텔레콤 : http://www.lgtelecom.com
Ⅳ.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1. IMT-2000 비동기 방식(유럽/일본식)
비동기 방식은 기존 망으로 POT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비동기 방식의 기지국 (BTS)와 기지국제어기(BSC)를 Hook and Extension을 통한 상호호환으로 기존 교환기에 연결하여 운용하면서 트래픽 밀집지역(도심지)부터 교환기(MSC), 기지국제어기(BSC), 기지국(BTS) 등의 장비를 별도의 ATM 네트웍으로 구성하여 기존장비와 연동한다.
인터넷 등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하여 DCN(Data Core Network)의 장비를 ATM Switch 또는 Router로 구축하여 BSC와 Internet을 상호연동 시킨다.
기존망(동기방식 IS-95)에서 비동기 방식인 광대역 CDMA(W-CDMA)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2G장비를 사용하여 기존 음성 서비스를 수용하면서 시스템이 운용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비동기 방식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교환국사 및 기지국의 상면적이 많이 필요하므로 시설투자비의 과다 소요가 큰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80%에 달하는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단말기 및 기지국 장비의 가격 면에서는 경쟁력이 있다.
2. IMT-2000 동기방식(북미식)
기존 방식인CDMA(IS-95)에서 동기방식으로 진화 시에는 최소한의 투자비로 MSC, BSC 장비의 수정 없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인터넷 전용 DCN 장비가 추가되어 멀티미디어 수용을 위한 교환기(MSC), 기지국제어기(BSC) 장비의 셀 단위 방식인 ATM 장비로 교체될 것이다. DCN에서는 기존 CDMA(IS-95)의 기지국 제어기(BSC)와 IMT-BSC를 동시에 수용하여 ATM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망은 다품종 소량을 처리하기 위한 무선 지능망으로서 기존의 교환기(MSC)와 ATM 교환을 수용하여 호처리를 수행하고 DCN은 TCP/IP 프로토콜과 No7방식에 의한 상호 데이터 전송으로 신속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3.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비교
Ⅴ.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1. IMT-20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IMT-2000은 궁극적으로 유선, 무선 및 위성 환경에서 단말 또는 사용자 접속카드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이를 전 세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로밍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2. 전송 속도와 서비스 구현의 관계
< 참고 문헌 >
정보통신부 : http://www.mic.go.kr
어필텔레콤 : http://www.appeal.co.kr
ktf : http:www.ktf.co.kr
SK 텔레콤 : http://www.sktelecom.com
LG 텔레콤 : http://www.lgtelecom.com
추천자료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GSM)의 기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CDMA 2000과 WCDMA 의 특징과 향후 기술 발전의 방향
2007년 와이브로에 대한 개념과 도입배경 및 추진방향과 기술 분석 레포트
[홈네트워크]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란 무엇인가? 홈네트워크의 필요성과 기능 및 역할, 유무...
[RFID USN] RFID USN 기술의 특징 및 장단점, RFID USN 활용 및 응용분야, 유비쿼터스사회의 ...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의 정의 및 개념 이해, usn(Ubiquitous sensor netw...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 A to Z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정의 및 장단점, 핵심기...
[스마트카]차세대 자동차 스마트카의 정의와 특징 및 장단점, 스마트카 기술 개발 동향 및 서...
FDMA / TDMA / CDMA / OFDM / SDMA 기술에 대해 분류 및 정의
[핵산, DNA, 디옥시리보 핵산]핵산(DNA, 디옥시리보 핵산)의 구조, 이중나선, 핵산(DNA, 디옥...
[근거리통신망(랜, LAN)]근거리통신망(랜, LAN)의 개념, 분류, 근거리통신망(랜, LAN)의 기술...
길포드, 가드너, 스텐버그의 지능에 관한 이론배경을 정리하고, 특수한 학습자(학습부진아, ...
(궤도레일에서) 이동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의 성능향상방안 (인공지능 주차관리시스...
[정보통신과컴퓨터개론]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기술과 장단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