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틀니의 형식
1) 소재
2) 구조

3. 틀니의 심리

4. 틀니 속의 사회학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소외 문제를 조심스럽게 비춰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림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갔다던 설희아빠가 보험 회사에 취직했다고 하는 장면에서 설희엄마가 매우 기뻐하는 모습도 쉽사리 놓칠 수 없다. ‘나’는 다소 안타깝게 반응하지만, 설희엄마는 천군만마를 얻은 듯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물론 설희엄마는 딸아이의 다리를 고칠 수 있다는 생각에, 소위 말하는 ‘아메리카 드림(America Dream)'을 이룰 수 있다는 계산에 기뻐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설희아빠는 미국 보험 회사에 취직하는 순간 자신이 지향하는 예술 세계는 접어야만 한다. 이는 설희아빠의 예술 작품이 나오는 화실을 당장 돈이 나오는 셋방으로 바꾼 것을 통해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박완서는 근대화로 물질만능주의에 젖어버린 그들의 모습을 매일 지겹도록 접하는 일상 공간을 통해 자연스럽고도, 아무렇지도 않게 보여주고 있다.
5. 나가는 말
박완서의「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는 전후상황을 경험한 30대 여성의 심리를 치밀하면서도 섬세하게 잘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역순행적인 구성을 통해 지루함을 반감시켰을 뿐 아니라, 효과적인 소재와 적절한 암시를 사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이끌어낸 점이 돋보인다. 또한 단순한 반공문학, 분단문학을 넘어 전쟁에서 살아남은 자, 남아 있는 사람들의 고통을 일상생활을 통해 소소하면서 심도 있게 바라본 것은 다른 작품과 차별화되는 점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형식주의심리주의사회학적 비평이라는 세 가지 방법을 통해 나름대로 작품을 분석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틀니를 완벽히 뽑아냈다는 시원함은 느껴지지 않았다는 게 매우 아쉽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