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문헌고찰
1.난소종양의 정의
2.난소종양의 원인
3. 난소의 양성 종양 (Benign ovarian neoplasma)
4. 난소의 상피세포성 악성 종양 (Malignant epitherial cell tumor)
5. 임상증상 및 진단
6. 치료
Ⅲ. case study
1. 간호력
2. 신체사정
3. 임상검사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방법
6.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문헌고찰
1.난소종양의 정의
2.난소종양의 원인
3. 난소의 양성 종양 (Benign ovarian neoplasma)
4. 난소의 상피세포성 악성 종양 (Malignant epitherial cell tumor)
5. 임상증상 및 진단
6. 치료
Ⅲ. case study
1. 간호력
2. 신체사정
3. 임상검사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방법
6.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0분
3회
내복
mobinyl
Antichoinergic agent
구갈,배뇨장애,뇨저류, 산증
IV 1회
buspar
불안장애의 치료 또는 불안증상의 단기완화
구역, 구토, 어지러움, 졸음, 축농, 위장장애
식후 30분
3회
내복
Macperan
소화기운동조절 및 진통제
권태감, 두통, 변비 복부팽만
10mg
Stilnox
limidazopyridine계수면제
현기,수기.피로감, 오심, 두통,기억상실
10mg1회 취침전
rheo-ma
Nsaid
구역, 변비, 설사
20mg IV2
6.간호과정 적용
날짜
간호사정
주관적자료(S)
객관적자료(O)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및 재사정
10월
10일
S : “되도록 수술은 피하려고 했는데......”
“아직나이도어린데, 수술이 잘못되서 임신을 못할까봐 걱정되요”
O : 수술에 대한 걱정으로 안절부절하며 긴장하는 모습 관찰됨
수술과 관련된불안
불안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할것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병원생활에 대해 자세히설명
환자에게 시행되는 처치 및 간호에 대해 설명해 준다
극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을때는 환자 곁에 있어주고 자주 환자와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친밀감과 신뢰감을
유지한다
필요시 의미있는 보호자(모)가 환자 곁에 있도록 격려한다.
환자에게 시행되는 처치와 간호에
대해서 설명해줌
환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해 편안하게 해주었다.
보호자(모)가 곁에 있도록 하였다
수술에 대해 걱정하던 얼굴이 많이 좋아 졌으며 수술전에 편히 잤다고 함
10월11일
~12일
s:"아파서 꼼짝달싹도 하기 힘들어요. 화장실 갈 때만 겨우 움직여요"
o:눈을 감고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음
복부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아프다고 호소함
자세를 조금 움직이는 데에도 울상을 지으며 힘겨워 함
수술 후 하루 반 동안 전혀 움직이지 않음
수술과 관련된
통증
통증이 완화됨을 말할 수 있다.
표정이 밝아진다.
통증의 정도를사정한다.
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준다.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린다
모래주머니를 올려준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따.
pca의 약을 투여한다.
텔레비전 시청을 시킨다
“많이 편안해 졌어요.”
진통제를 끊었다.
10월11일
o:복부에 수술부위의 상처가 있다.
유치도뇨를 하고 있다
정맥주입으로 투약하고 있다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하였다
수술과 관련되 잠재성 감염
혈압, 맥박. 체온상승과 화농성 배액과 같은 감염증상이없다.
페합병증이 보이지 않는다.
활력증후를 수시로 체크한다.
(Q 30min*4, 2hr*2 until stable 6hr)
수술부위의 배액을 관찰한다
기침과 심호흡을 시킨다.
2시간동안 자지않도록한다.
스페셜 바이탈을 수행하였다(Q 30min*4, 2hr*2 until stable 6hr)
기침과 심호흡을 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자주 기침과 심호흡을 하고하였다.
수술부위 배액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활력징후는 (00/70-75-20-36.1) 안정상태이다.
op site oozing가 없다.
심호흡을 하고 있다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0월11월
~12일
s:“배가 아파서 못움직이겠어요.
o: 침대에서 조금식 움직일때마다 하복부 통증 호소한다.
-주로 누워있다
통증과 관련된 운동장애
환자의 기동성이 증가될 것이다.
-통증 및 운동의 양상을 사정한다.
-운동의 방법과 중요성을 설명해준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 침대에서 내려오게한다
-운동부족으로 나타나는 합병증을 설명해준다.
-운동을 하고있는지 묻는다.
-병실내로 천천히 보행하도록한다.
-같이 함께 걸으며 운동을 격려했다.
(조금은 힘들어함)
-운동의 중요성을 알려주었다.
복도에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된다.
10월11일
~15일
s:왜 저에게 이런병이 생겼는지 모르겠어요.
o: 질병원인과 치료과정에대해 잘알지못함
질병과정 및 치료에대한 지식부족
환자는 질병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환자는 질병 및 치료과정에대해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의문사항에 대해 질문하도록한다.
환자는 질병에 대해 잘모르고 있어 질병에 원인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수술등이 어떤수술이였는지 설명해주었다.
앞으로 앞으로 어떻게 생활해야하는지도 설명해주었다(식이)
환자는 자신의 질병의 원인과 치료과정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10월10일
~10월16일
s:수술전관장이후 변을 못본것같아요. 배가 묵직해요
o:금식이 풀리고도 변을 보지못하고 있다.
부동,섭취량부족, 환경변화와관련된 변비
환자는 자신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변비를 유발하거나 원인이되는 요인을 규명한다.
고섬유질의 균형잡힌 식이를 먹도록 권유한다( 유산균음료)
수분섭취를 하도록한다
고섬유질의 필요성을 알려주고, 식이를 알려준다.
활동/운동을 하도록한다.
물을 많이 마시도록하였다.
환자는 편안히 변을보았다.
Ⅲ.결론
동산병원 62병동에 실습을 하면서 암환자가 굉장히 많고 멀게만 느껴지던 암이 더 가까이 느껴졌고 암에 대하여 더 자세히 관찰할수 있었고 알게되었다.
이 환자를 간호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계속적인 치료과정에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면서 난소종양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할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환자가 수술후 점점 상태가 좋아지면서 빠른 완쾌를 보였으며, 환자 또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로 면담에 임해주어 환자의 회복을 위해 몇몇 간호진단을 세우고 수행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었다. 학생의 위치에서 부족한 점이 물론 많이 있었지만 이론상 배웠던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과정을 통해 조금이나마 회복에 도움을 드릴수 있었던 점에 큰 보람을 느꼈다.
Ⅴ.참고문헌
- 정문숙 외 4인(1999).여성건강간호학.정담미디어
- 최연순. (1985). 부인과 간호학. 수문사
- 김명애 외 3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서울:현문사
- 전시자 외 공저(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씨그마학회. 임상 간호 메뉴얼. (1997). 현문사
- www.nurscape.net
- www.carecamp.com
- www.kimsnline.co.kr 킴스온라인
- www.ncc.re.kr 국립암센터
3회
내복
mobinyl
Antichoinergic agent
구갈,배뇨장애,뇨저류, 산증
IV 1회
buspar
불안장애의 치료 또는 불안증상의 단기완화
구역, 구토, 어지러움, 졸음, 축농, 위장장애
식후 30분
3회
내복
Macperan
소화기운동조절 및 진통제
권태감, 두통, 변비 복부팽만
10mg
Stilnox
limidazopyridine계수면제
현기,수기.피로감, 오심, 두통,기억상실
10mg1회 취침전
rheo-ma
Nsaid
구역, 변비, 설사
20mg IV2
6.간호과정 적용
날짜
간호사정
주관적자료(S)
객관적자료(O)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및 재사정
10월
10일
S : “되도록 수술은 피하려고 했는데......”
“아직나이도어린데, 수술이 잘못되서 임신을 못할까봐 걱정되요”
O : 수술에 대한 걱정으로 안절부절하며 긴장하는 모습 관찰됨
수술과 관련된불안
불안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할것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병원생활에 대해 자세히설명
환자에게 시행되는 처치 및 간호에 대해 설명해 준다
극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을때는 환자 곁에 있어주고 자주 환자와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친밀감과 신뢰감을
유지한다
필요시 의미있는 보호자(모)가 환자 곁에 있도록 격려한다.
환자에게 시행되는 처치와 간호에
대해서 설명해줌
환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해 편안하게 해주었다.
보호자(모)가 곁에 있도록 하였다
수술에 대해 걱정하던 얼굴이 많이 좋아 졌으며 수술전에 편히 잤다고 함
10월11일
~12일
s:"아파서 꼼짝달싹도 하기 힘들어요. 화장실 갈 때만 겨우 움직여요"
o:눈을 감고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음
복부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아프다고 호소함
자세를 조금 움직이는 데에도 울상을 지으며 힘겨워 함
수술 후 하루 반 동안 전혀 움직이지 않음
수술과 관련된
통증
통증이 완화됨을 말할 수 있다.
표정이 밝아진다.
통증의 정도를사정한다.
수술부위를 복대로 지지해준다.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린다
모래주머니를 올려준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따.
pca의 약을 투여한다.
텔레비전 시청을 시킨다
“많이 편안해 졌어요.”
진통제를 끊었다.
10월11일
o:복부에 수술부위의 상처가 있다.
유치도뇨를 하고 있다
정맥주입으로 투약하고 있다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하였다
수술과 관련되 잠재성 감염
혈압, 맥박. 체온상승과 화농성 배액과 같은 감염증상이없다.
페합병증이 보이지 않는다.
활력증후를 수시로 체크한다.
(Q 30min*4, 2hr*2 until stable 6hr)
수술부위의 배액을 관찰한다
기침과 심호흡을 시킨다.
2시간동안 자지않도록한다.
스페셜 바이탈을 수행하였다(Q 30min*4, 2hr*2 until stable 6hr)
기침과 심호흡을 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자주 기침과 심호흡을 하고하였다.
수술부위 배액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활력징후는 (00/70-75-20-36.1) 안정상태이다.
op site oozing가 없다.
심호흡을 하고 있다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10월11월
~12일
s:“배가 아파서 못움직이겠어요.
o: 침대에서 조금식 움직일때마다 하복부 통증 호소한다.
-주로 누워있다
통증과 관련된 운동장애
환자의 기동성이 증가될 것이다.
-통증 및 운동의 양상을 사정한다.
-운동의 방법과 중요성을 설명해준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 침대에서 내려오게한다
-운동부족으로 나타나는 합병증을 설명해준다.
-운동을 하고있는지 묻는다.
-병실내로 천천히 보행하도록한다.
-같이 함께 걸으며 운동을 격려했다.
(조금은 힘들어함)
-운동의 중요성을 알려주었다.
복도에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된다.
10월11일
~15일
s:왜 저에게 이런병이 생겼는지 모르겠어요.
o: 질병원인과 치료과정에대해 잘알지못함
질병과정 및 치료에대한 지식부족
환자는 질병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환자는 질병 및 치료과정에대해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의문사항에 대해 질문하도록한다.
환자는 질병에 대해 잘모르고 있어 질병에 원인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수술등이 어떤수술이였는지 설명해주었다.
앞으로 앞으로 어떻게 생활해야하는지도 설명해주었다(식이)
환자는 자신의 질병의 원인과 치료과정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10월10일
~10월16일
s:수술전관장이후 변을 못본것같아요. 배가 묵직해요
o:금식이 풀리고도 변을 보지못하고 있다.
부동,섭취량부족, 환경변화와관련된 변비
환자는 자신의 정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변비를 유발하거나 원인이되는 요인을 규명한다.
고섬유질의 균형잡힌 식이를 먹도록 권유한다( 유산균음료)
수분섭취를 하도록한다
고섬유질의 필요성을 알려주고, 식이를 알려준다.
활동/운동을 하도록한다.
물을 많이 마시도록하였다.
환자는 편안히 변을보았다.
Ⅲ.결론
동산병원 62병동에 실습을 하면서 암환자가 굉장히 많고 멀게만 느껴지던 암이 더 가까이 느껴졌고 암에 대하여 더 자세히 관찰할수 있었고 알게되었다.
이 환자를 간호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계속적인 치료과정에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면서 난소종양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할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환자가 수술후 점점 상태가 좋아지면서 빠른 완쾌를 보였으며, 환자 또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로 면담에 임해주어 환자의 회복을 위해 몇몇 간호진단을 세우고 수행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었다. 학생의 위치에서 부족한 점이 물론 많이 있었지만 이론상 배웠던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과정을 통해 조금이나마 회복에 도움을 드릴수 있었던 점에 큰 보람을 느꼈다.
Ⅴ.참고문헌
- 정문숙 외 4인(1999).여성건강간호학.정담미디어
- 최연순. (1985). 부인과 간호학. 수문사
- 김명애 외 3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서울:현문사
- 전시자 외 공저(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씨그마학회. 임상 간호 메뉴얼. (1997). 현문사
- www.nurscape.net
- www.carecamp.com
- www.kimsnline.co.kr 킴스온라인
- www.ncc.re.kr 국립암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