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궁근종 (myoma uteri)
=leiomyoma
진료과 - 산부인과
◈ 자궁근종이란?
◈ 자궁근종 종류
◈ 자궁근종의 증상
◈ 자궁근종의 원인
◈ 자궁근종과 임신
◈ 자궁근종 수술 후 관리
◈ 자궁근종 예방법
◈ 자궁근종 치료
◈ 경과&합병증
=leiomyoma
진료과 - 산부인과
◈ 자궁근종이란?
◈ 자궁근종 종류
◈ 자궁근종의 증상
◈ 자궁근종의 원인
◈ 자궁근종과 임신
◈ 자궁근종 수술 후 관리
◈ 자궁근종 예방법
◈ 자궁근종 치료
◈ 경과&합병증
본문내용
있으며 임신을 기대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럴 수 있습니다. 이런 감정들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고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가족과 친구들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 자궁근종 치료
자궁근종치료의 핵심은 자궁과 골반내의 혈액순환을 도와 어혈과 노폐물을 배설하고 정상적인 생리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즉 자궁근종이 있어도 자궁이 정상적인 생리와 임신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근종의 악화와 성장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치료에 있어서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근종의 경우 스스로 처해있는 환경(춥고, 냉한 환경)이나 잘못된 생활습관(찬 음식과 기름진 음식, 인스턴트 등을 즐김), 수술이나 유산여부(수술 이후 회복부진)등을 함께 돌아보고 노력해 조력하지 않는다면 치료 후라도 수술과 재발을 반복하거나 근종의 악화를 초래하여 자궁을 적출하게 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음을 명심해야한다.
크게 약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는데, 환자의 연령, 폐경 여부, 증상 유무,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대부분의 증상 없는 근종은 그 경과를 관찰하기만 한다. 근종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데, 향후 임신을 위해 자궁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호르몬 주사(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를 사용해 볼 수 있다. 호르몬 주사의 경우 그 작용이 일시적이므로 치료가 끝나면 다시 근종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여성 호르몬의 감소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절제술이 있고, 자궁을 보존하고자 할 때에는 근종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근종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률은 약 50% 정도이고, 이 중 삼분의 일 정도에서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방법
수술접근
입원기간
회복기간(주)
복부자궁적출술
복부
2 - 3
6
질식자궁적출술
질
1 - 2
4 - 6
내시경질식자궁적출술
내시경&질
1 - 2
4 - 6
내시경자궁적출술
내시경
1 - 2
4 - 6
자궁내막절재술
자궁경
당일
1주이하
-자궁근종 겅강 관리법-
생리시에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줄이고 충분한 휴식과 안정을 취해 줍니다.
몸이 차고 추위를 잘 타는 여성이라면 차거나 냉한성질의 음식을 피하고 냉수욕과 찬물샤워나 머리감기 등을 피합니다.
항상 아랫배를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적당한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도와줍니다.
유산이나 수술 후에는 일정기간 회복을 위해서 조리합니다.
체중증가를 통한 하복부비만은 자궁순환을 방해해 자궁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니 체중관리와 복부지방해소를 위해 노력합니다.
피임약, 진통제, 항생제의 임의 남용 및 과용을 피합니다.
◈ 경과&합병증
자궁근종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므로 폐경이 되면 근종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임신 중에는 근종이 커질 수 있지만, 70~80%의 산모에서는 크기의 변화가 없다. 자궁근종은 양성질환으로 크기의 증가가 서서히 일어나지만, 근종에 이차적 변성이 생기거나 악성변화가 일어나면 크기가 갑자기 커질 수 있다. 악성변화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발생률은 1000분의 2 미만이라고 보고되었다.
◈ 자궁근종 치료
자궁근종치료의 핵심은 자궁과 골반내의 혈액순환을 도와 어혈과 노폐물을 배설하고 정상적인 생리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즉 자궁근종이 있어도 자궁이 정상적인 생리와 임신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근종의 악화와 성장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치료에 있어서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근종의 경우 스스로 처해있는 환경(춥고, 냉한 환경)이나 잘못된 생활습관(찬 음식과 기름진 음식, 인스턴트 등을 즐김), 수술이나 유산여부(수술 이후 회복부진)등을 함께 돌아보고 노력해 조력하지 않는다면 치료 후라도 수술과 재발을 반복하거나 근종의 악화를 초래하여 자궁을 적출하게 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음을 명심해야한다.
크게 약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는데, 환자의 연령, 폐경 여부, 증상 유무,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대부분의 증상 없는 근종은 그 경과를 관찰하기만 한다. 근종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데, 향후 임신을 위해 자궁을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호르몬 주사(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작용제)를 사용해 볼 수 있다. 호르몬 주사의 경우 그 작용이 일시적이므로 치료가 끝나면 다시 근종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여성 호르몬의 감소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절제술이 있고, 자궁을 보존하고자 할 때에는 근종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근종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률은 약 50% 정도이고, 이 중 삼분의 일 정도에서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방법
수술접근
입원기간
회복기간(주)
복부자궁적출술
복부
2 - 3
6
질식자궁적출술
질
1 - 2
4 - 6
내시경질식자궁적출술
내시경&질
1 - 2
4 - 6
내시경자궁적출술
내시경
1 - 2
4 - 6
자궁내막절재술
자궁경
당일
1주이하
-자궁근종 겅강 관리법-
생리시에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줄이고 충분한 휴식과 안정을 취해 줍니다.
몸이 차고 추위를 잘 타는 여성이라면 차거나 냉한성질의 음식을 피하고 냉수욕과 찬물샤워나 머리감기 등을 피합니다.
항상 아랫배를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적당한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도와줍니다.
유산이나 수술 후에는 일정기간 회복을 위해서 조리합니다.
체중증가를 통한 하복부비만은 자궁순환을 방해해 자궁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니 체중관리와 복부지방해소를 위해 노력합니다.
피임약, 진통제, 항생제의 임의 남용 및 과용을 피합니다.
◈ 경과&합병증
자궁근종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므로 폐경이 되면 근종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임신 중에는 근종이 커질 수 있지만, 70~80%의 산모에서는 크기의 변화가 없다. 자궁근종은 양성질환으로 크기의 증가가 서서히 일어나지만, 근종에 이차적 변성이 생기거나 악성변화가 일어나면 크기가 갑자기 커질 수 있다. 악성변화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발생률은 1000분의 2 미만이라고 보고되었다.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중에서 자궁수축검사(OCT)에 대한 조사
자궁내막증(모성 케이스)
[모성간호학]자궁탈출(uterine prolapse)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실습일지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모성간호, 여성건강간호학] 자궁경부암(cevix cancer) 케이스 스터디
모성)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
[모성간호학]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모성간호 CASE STUDY(자궁경관무력증)
자궁선근증 (Adenomyosis) - 모성간호학 Case study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모성간호학케이스, 여성간호학케이스 - 자궁경부 이형성증(Dysplasia of cervix) - cervix dy...
[모성간호학]자궁하수
[간호학] 자궁 내막 질환 자궁 내막 증식증 자궁 선 근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