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궁경부암
1) 원인
2) 증상
3) 진단
4) 임상적 병기 분류
5) 치료



2. 자궁내막암
1) 원인
2) 분류
3) 증상
4) 진단
5) 임상적 병기 분류
6) 치료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 나타나며 심한 출혈로 인하여 빈혈을 초래한다.
4) 진단
: 세포진 검사, 분사식 세척관류법, 자궁내막 생검(정확도 90% 이상), 구획 소파술
5) 임상적 병기 분류
자궁내막암의 진단이 내려지면 치료적, 예후적 또는 통계적 목적으로 암의 파급 정도에 따라 임상적 병기를 정한다.
FIGO의 자궁내막암 임상적 병기 분류
제 0기
상피내암, 조직학적으로 암이 의심되는 경우
제Ⅰ기
암이 자궁 협부를 포함한 자궁체부에 국한됨
제Ⅱ기
암이 자궁체부와 경부를 침범하였으나 자궁 밖으로는 퍼지지 않은 경우
제Ⅲ기
암이 자궁 밖으로 퍼졌으나 진 골반을 넘지 않음
제Ⅳ기
암이 진 골반을 넘거나 또는 방광, 직장의 점막을 침범
6) 치료
자궁내막암의 주된 치료는 외과적 병기에 따라 수술 적 치료를 하며, 수술 전 후의 방사선 치료를 겸용하거나 방사선 단독 요법 및 호르몬 요법이 시행된다.
(1) 수술과 방사선 치료의 겸용
① 제1기 : 주로 복식 전자궁절제술과 양측난소난관절제술을 한다.
② 제2기 : 방사선의 외부 조사 또는 강내 조사 후 전자궁절제술, 양측 난소난관절제술 및 골반임파절제술을 한다.
③ 제3~4기 : 우선 방사선 요법으로 암 종괴의 용적을 줄인 후 시험적 개복술을 시행하여 외과적 병기를 결정한다.
(2) 단독 방사선 치료 : 방사선의 단독 치료는 질환이 진행되었거나 내과적 질환으로 상태가 좋지 않아 자궁절제술이 불가능할 경우에 외부조사와 강내조사를 모두 한다.
(3) 호르몬 치료 : 프로게스테론제제를 사용한다.
3.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2002) / 서울 : 수문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1.17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