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연구의 목적&필요성
2.문헌고찰
<자궁 경부 이형성증>
●검사소견
●이상 시
●약리작용
평가
5.결론
●연구의 목적&필요성
2.문헌고찰
<자궁 경부 이형성증>
●검사소견
●이상 시
●약리작용
평가
5.결론
본문내용
전환법
-모든 활동이 환자의 주의를 통증으로 부터 그 활동으로 옮길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손으로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면 (뜨게질, 장난감 만들기, 그림 그리기 등), 이를 통해 통증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환자를 감동시킬 수 있는 책, 영화, TV시청 또한 통증으로 부터 환자분의 마음을 그 매체로 옮길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3. 열요법
열기구나 따뜻한 것을 환부나 환부 근처에 15~20분 정도 대도록 한다.
간호 이론
①통증의 생리적 징후들
●맥박 ↑ ●호흡: 깊이와 빈도 ↑
●혈압: 수축기와 이완기압 ↑ ●발한, 창백
●동공이완 ●근육긴장
●오심과 구토(심해지면)
②비약물적 통증 완화법
통증 조절을 위하여 약물이 아닌 중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통증 조절 중재방법과 병행하여 약물의 효과를 강화시키고 통증을 줄여줌으로써 약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비약물적 중재 방법은 환자에게 통증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기분을 좋게 해주며 수면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다 준다.
1.이완법이란 근육 경직을 풀어줌으로써 고통을 줄이거나 더 나빠지지 않 도록 유지시키는 방법이다.
2.주의 전환법은 환자의 주된 주의를(attention) 통증에서 다른 어떤 곳으로 돌림으로서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하는 기법이다.
만약 통증의 성격이 갑작스럽고 극명하며 짧은 주기를 가졌다면(5분에서 45분), 주의 전환법은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일 수가 있다.
3.열 요법은 혈류를 증진시키고 조직대사를 촉진시켜 혈관운동성 긴장 (vasosomotor tone)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자유 신경말 단이 억제되어 진통작용이 일어난다. 또 대뇌피질에서 통증인지를 감 소시킨다.
평가
간호진단
관찰된 평가&기대되는 평가
#1.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관찰된 평가]
-v/s 관찰 결과 수술 직후에는 체온이 낮았으나(수술장의 낮은 온도와 전신마취를 시행했기 때문에) 2시간 이내로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기대되는 평가]
-38.3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한, 땀, 지속적인 묽은 변이 발생하지 않는다.
-심한 기침이나 침을 삼킬 때 목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상처 부위가 헐거나 그 주변이 붉어지고 부어오르지 않는다.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요로감염
-수술 부위에 궤양이 나타나지 않는다.
-수술 부위 이외에 다른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교육받은 수칙을 집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2. 수술과 관련된 통증
[관찰된 평가]
-v/s 관찰 결과 통증 발생 시 나타나는 이상 활력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적 징후를 4시간 마다 관찰한 결과 주먹을 쥐거나 신 음 소리를 내는 등의 통증 호소가 사라졌다.
[기대되는 평가]
-간호 중재를 적용한 후 NRS 측정 시 수술 직후 NRS 점 수보다 점수가 내려간다.
-비약물적 통증 완화법을 환자가 스스로 시행하여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다.
5.결론
나의 케이스 대상자는 9일 밤에 입원해서 10일 11일 이렇게 3일을, 체 72 시간이 되지 않도록 입원했는데 그동안에 큰 수술부터 수술 후 간호, 퇴원 간호 까지 끝마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는데, 진단부터 치료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결과가 금방 나오고 수술 시간도 그닥 길지 않기 때문이었다. 모성 의학용어를 외우면서 너무 아득하게만 알고 있었던 원추 절제술이라는 수술. 그때는 그게 뭔지도 모르고 왜, 어딜 어떻게 수술 하는지도 모르고 그저 글자 그대로만 외어 참 안 외워졌던 기억이 난다. 처음 이 환자를 케이스로 잡은 이유도 ‘conization’ 안 외워져서 지겹게도 날 괴롭히던 이 단어가 또 생각이 나질 않아 진단을 보고 알아 맞춰보겠다, 해서 EMR을 열심히 본 게, 이렇게 케이스 환자로 까지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자궁의 경부를 도려내는 거면 꽤나 오랜 치유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큰 수술임에 틀림없고 해서 느긋하게 간호진단도 생각하고 관찰 좀 하겠다고 마음 먹은게 실습 이틀째 되는 날, 이미 퇴원하고 가신 지 오래되셨다. 케이스 환자분과 나눴던 대화라고는 9시 바이탈을 재면서 지금은 통증이 좀 어떠하신지 정도. 이렇게 빨리 퇴원을 하실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하고 문헌고찰을 하고 나니 그제 서야 이해가 갔다. 통증이 심한 수술이 아니기 때문에 회복을 위한 시간이 길지 않고 부작용이나 문제점 등은 집에서도 충분히 환자 스스로 관찰할 수 있다.(질출혈) 또 우연인지 모를 부인과 암에 대한 XXX병원의 강연 덕분에 자궁 경부 이형성증 같은 경우 암이 아닌 전구 단계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도 할 수 있을 정도이고 상피성이라 상처가 깊지 않고 금방 치유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나는 아직 어리니까, 또 진단에 대한 비용이 만만치 않고 고된 수술을 견딜 자신이 없어서 중년의 위기 정도가 오면 그때 산부인과를 들르겠다고 생각했는데 생각이 바뀔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pinussoul/70070165732
http://www.insunet.co.kr/l/disease_cont.asp?cb_bojong=&disease=1&initial=%C0%DA&sn=1904
http://m.blog.daum.net/ehdgurrhfch/182#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treatment/view.asp?con_no=19918
http://micro2tele.com/2013/01/20/histoquarterly-cervix/faces-of-cervix-5/
http://cancerinfo.egloos.com/viewer/2293012
http://www.hidoc.co.kr/Webservice/Iframe/iframe.aspx?MODE=VIEW&orderType=2¤tpage=3&srno=350&ContentType=4
[출처] Maternity Practice Quiz #2 |작성자 공부하는꼬부기
여성건강 간호학 1.
-모든 활동이 환자의 주의를 통증으로 부터 그 활동으로 옮길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손으로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면 (뜨게질, 장난감 만들기, 그림 그리기 등), 이를 통해 통증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환자를 감동시킬 수 있는 책, 영화, TV시청 또한 통증으로 부터 환자분의 마음을 그 매체로 옮길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3. 열요법
열기구나 따뜻한 것을 환부나 환부 근처에 15~20분 정도 대도록 한다.
간호 이론
①통증의 생리적 징후들
●맥박 ↑ ●호흡: 깊이와 빈도 ↑
●혈압: 수축기와 이완기압 ↑ ●발한, 창백
●동공이완 ●근육긴장
●오심과 구토(심해지면)
②비약물적 통증 완화법
통증 조절을 위하여 약물이 아닌 중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통증 조절 중재방법과 병행하여 약물의 효과를 강화시키고 통증을 줄여줌으로써 약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비약물적 중재 방법은 환자에게 통증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기분을 좋게 해주며 수면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다 준다.
1.이완법이란 근육 경직을 풀어줌으로써 고통을 줄이거나 더 나빠지지 않 도록 유지시키는 방법이다.
2.주의 전환법은 환자의 주된 주의를(attention) 통증에서 다른 어떤 곳으로 돌림으로서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하는 기법이다.
만약 통증의 성격이 갑작스럽고 극명하며 짧은 주기를 가졌다면(5분에서 45분), 주의 전환법은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일 수가 있다.
3.열 요법은 혈류를 증진시키고 조직대사를 촉진시켜 혈관운동성 긴장 (vasosomotor tone)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자유 신경말 단이 억제되어 진통작용이 일어난다. 또 대뇌피질에서 통증인지를 감 소시킨다.
평가
간호진단
관찰된 평가&기대되는 평가
#1.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관찰된 평가]
-v/s 관찰 결과 수술 직후에는 체온이 낮았으나(수술장의 낮은 온도와 전신마취를 시행했기 때문에) 2시간 이내로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기대되는 평가]
-38.3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한, 땀, 지속적인 묽은 변이 발생하지 않는다.
-심한 기침이나 침을 삼킬 때 목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상처 부위가 헐거나 그 주변이 붉어지고 부어오르지 않는다.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요로감염
-수술 부위에 궤양이 나타나지 않는다.
-수술 부위 이외에 다른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교육받은 수칙을 집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2. 수술과 관련된 통증
[관찰된 평가]
-v/s 관찰 결과 통증 발생 시 나타나는 이상 활력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적 징후를 4시간 마다 관찰한 결과 주먹을 쥐거나 신 음 소리를 내는 등의 통증 호소가 사라졌다.
[기대되는 평가]
-간호 중재를 적용한 후 NRS 측정 시 수술 직후 NRS 점 수보다 점수가 내려간다.
-비약물적 통증 완화법을 환자가 스스로 시행하여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다.
5.결론
나의 케이스 대상자는 9일 밤에 입원해서 10일 11일 이렇게 3일을, 체 72 시간이 되지 않도록 입원했는데 그동안에 큰 수술부터 수술 후 간호, 퇴원 간호 까지 끝마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는데, 진단부터 치료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결과가 금방 나오고 수술 시간도 그닥 길지 않기 때문이었다. 모성 의학용어를 외우면서 너무 아득하게만 알고 있었던 원추 절제술이라는 수술. 그때는 그게 뭔지도 모르고 왜, 어딜 어떻게 수술 하는지도 모르고 그저 글자 그대로만 외어 참 안 외워졌던 기억이 난다. 처음 이 환자를 케이스로 잡은 이유도 ‘conization’ 안 외워져서 지겹게도 날 괴롭히던 이 단어가 또 생각이 나질 않아 진단을 보고 알아 맞춰보겠다, 해서 EMR을 열심히 본 게, 이렇게 케이스 환자로 까지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자궁의 경부를 도려내는 거면 꽤나 오랜 치유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큰 수술임에 틀림없고 해서 느긋하게 간호진단도 생각하고 관찰 좀 하겠다고 마음 먹은게 실습 이틀째 되는 날, 이미 퇴원하고 가신 지 오래되셨다. 케이스 환자분과 나눴던 대화라고는 9시 바이탈을 재면서 지금은 통증이 좀 어떠하신지 정도. 이렇게 빨리 퇴원을 하실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하고 문헌고찰을 하고 나니 그제 서야 이해가 갔다. 통증이 심한 수술이 아니기 때문에 회복을 위한 시간이 길지 않고 부작용이나 문제점 등은 집에서도 충분히 환자 스스로 관찰할 수 있다.(질출혈) 또 우연인지 모를 부인과 암에 대한 XXX병원의 강연 덕분에 자궁 경부 이형성증 같은 경우 암이 아닌 전구 단계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도 할 수 있을 정도이고 상피성이라 상처가 깊지 않고 금방 치유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나는 아직 어리니까, 또 진단에 대한 비용이 만만치 않고 고된 수술을 견딜 자신이 없어서 중년의 위기 정도가 오면 그때 산부인과를 들르겠다고 생각했는데 생각이 바뀔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pinussoul/70070165732
http://www.insunet.co.kr/l/disease_cont.asp?cb_bojong=&disease=1&initial=%C0%DA&sn=1904
http://m.blog.daum.net/ehdgurrhfch/182#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treatment/view.asp?con_no=19918
http://micro2tele.com/2013/01/20/histoquarterly-cervix/faces-of-cervix-5/
http://cancerinfo.egloos.com/viewer/2293012
http://www.hidoc.co.kr/Webservice/Iframe/iframe.aspx?MODE=VIEW&orderType=2¤tpage=3&srno=350&ContentType=4
[출처] Maternity Practice Quiz #2 |작성자 공부하는꼬부기
여성건강 간호학 1.
키워드
추천자료
IIOC(자궁경관무력증)
Myoma(자궁근종)
임상병리 자궁질환에 대해서
분만실케이스,자궁경관무력증, IIOC,TVC (McDonald)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적출술
모성간호학-실습 케이스 자궁근종(Uterine myoma)
TVH (질식자궁절제술 :Total vaginal hysterectomy)
★ 자궁외임신 케이스 스터디 (Ectopic Pregnancy Case Study)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
여성간호학실습 자궁탈수 Uterine Prolapse 케이스
모성 간호 자궁근종 케이스 A+ 받았습니다. 병태생리, 신체사정, 간호과정
모성)자궁경관염, 골반염증성질환, 골반결핵
모성 자궁근종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