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1)원인
2)증상
3)예방
4)치료
2.건강 사정
1)개인력
2)월경력
3)임신력
4)질병력
5)가족력
6)현재 건강상태
7)생활양식과 습관
8)진단검사 결과
9)수술전 간호
10)수술 후 간호
3. 간호과정
1)원인
2)증상
3)예방
4)치료
2.건강 사정
1)개인력
2)월경력
3)임신력
4)질병력
5)가족력
6)현재 건강상태
7)생활양식과 습관
8)진단검사 결과
9)수술전 간호
10)수술 후 간호
3. 간호과정
본문내용
다 NRS를 이용하여 통증 정도를 사정하였다.(NRS 3점, 통증양상은 수술부위가 쑤시는 듯이 지속적으로 아픔)
2. 대상자에게 아플 때 마다 참지 말고 간호사에게 아프다고 말하도록 격려하고, 콜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진통제가 지속적으로 투여되고 있음을 설명함으로 대상자의 통증에대한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한다.
4. 처방된 진통제 Pethidine 을 PRN으로 투여 후 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아플 때 마다 참지 말고 간호사에게 아프다고 말하도록 격려하고, 콜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요법)에 대해 교육했다.
대상자의 통증 정도가 완화되었다.
(NRS 1점)
Ⅲ. 간호과정 (①수술과 관련된 통증, ②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③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④수술과 관련된 불안)
#2.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Data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Expected outcome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ㅡ
S: “아파도 움직여야 하나요?”
O:
진단명: Ectopic pregnancy
수술시행-Rt. Salpingectomy
수술후 1일째
대상자가 불편을 겪지 않으며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1. 기동성 양상을 사정함
2.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실시하도록 돕는다.
3.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돕는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여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함
1. 자주 걷고 있는지, 화장실은 걸어갔는지 물어본다.
2. 조기이상과 운동은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고 둔해진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으로 더욱 빨리 돌아올 수 있다
3. 목발이나 휠체어 또는 Walker 를 이용하면 조금 더 수월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4. 처방된 진통제 Pethidine 을 PRN으로 투여 후 사정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겪지 않으며 움직일 수 있다.
#3. 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Data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Expected outcome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ㅡ
O:
수술시행-Rt. Salpingectomy
아랫배에 복강경 수술 상처가 있음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대상자는 감염지표(WBC, CRP) 수치의 정상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도뇨관을 제거할 때까지 감염 sign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수술 부위 상처가 다 아물때까지 발적, 열감, oozing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1. 하루 세 번(am 6시, am 10시, pm 5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수술부위를 드레싱 할 때는 무균술을 적용한다.
3. 도뇨관 삽입 부위를 매일 소독한다.
5. 수술부위의 피부 발적 등의 감염 징후를 관찰한다.
6. 소변의 색깔과 이물질 유무 등을 사정한다.
1. 하루 세 번(am 6시, am 10시, pm 5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고, 활력징후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 수술부위를 매일 무균술을 적용하여 의사에 의해서 드레싱 해 주었다.
3. 시행하지 않음
5. 매일 수술부위에 발적, 열감, oozing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6.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마다 소변의 양상을 사정하였다.(소변색은 노란색으로 정상이며 육안으로 확인할 때 부유물이나 이물질은 보이지 않고 깨끗함)
도뇨관 제거.
제거할 때 까지 작열감, 통증, 빈뇨 등 방광염 증상 없이 감염 sign이 나타나지 않음
퇴원시 까지 수술 부위 상처에 발적, 열감, oozing이 나타나지 않았다.
Case Study
(Ectopic Pregnancy)
2. 대상자에게 아플 때 마다 참지 말고 간호사에게 아프다고 말하도록 격려하고, 콜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진통제가 지속적으로 투여되고 있음을 설명함으로 대상자의 통증에대한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한다.
4. 처방된 진통제 Pethidine 을 PRN으로 투여 후 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아플 때 마다 참지 말고 간호사에게 아프다고 말하도록 격려하고, 콜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요법)에 대해 교육했다.
대상자의 통증 정도가 완화되었다.
(NRS 1점)
Ⅲ. 간호과정 (①수술과 관련된 통증, ②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③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④수술과 관련된 불안)
#2.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Data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Expected outcome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ㅡ
S: “아파도 움직여야 하나요?”
O:
진단명: Ectopic pregnancy
수술시행-Rt. Salpingectomy
수술후 1일째
대상자가 불편을 겪지 않으며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1. 기동성 양상을 사정함
2. 조기이상 및 운동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실시하도록 돕는다.
3.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돕는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여 진통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함
1. 자주 걷고 있는지, 화장실은 걸어갔는지 물어본다.
2. 조기이상과 운동은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고 둔해진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으로 더욱 빨리 돌아올 수 있다
3. 목발이나 휠체어 또는 Walker 를 이용하면 조금 더 수월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4. 처방된 진통제 Pethidine 을 PRN으로 투여 후 사정한다.
대상자는 통증을 겪지 않으며 움직일 수 있다.
#3. 외과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Data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Expected outcome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ㅡ
O:
수술시행-Rt. Salpingectomy
아랫배에 복강경 수술 상처가 있음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음
대상자는 감염지표(WBC, CRP) 수치의 정상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도뇨관을 제거할 때까지 감염 sign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수술 부위 상처가 다 아물때까지 발적, 열감, oozing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1. 하루 세 번(am 6시, am 10시, pm 5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수술부위를 드레싱 할 때는 무균술을 적용한다.
3. 도뇨관 삽입 부위를 매일 소독한다.
5. 수술부위의 피부 발적 등의 감염 징후를 관찰한다.
6. 소변의 색깔과 이물질 유무 등을 사정한다.
1. 하루 세 번(am 6시, am 10시, pm 5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고, 활력징후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 수술부위를 매일 무균술을 적용하여 의사에 의해서 드레싱 해 주었다.
3. 시행하지 않음
5. 매일 수술부위에 발적, 열감, oozing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6.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마다 소변의 양상을 사정하였다.(소변색은 노란색으로 정상이며 육안으로 확인할 때 부유물이나 이물질은 보이지 않고 깨끗함)
도뇨관 제거.
제거할 때 까지 작열감, 통증, 빈뇨 등 방광염 증상 없이 감염 sign이 나타나지 않음
퇴원시 까지 수술 부위 상처에 발적, 열감, oozing이 나타나지 않았다.
Case Study
(Ectopic Pregnancy)
추천자료
[마케팅관리]기업이미지 리포지셔닝을 위한 포스코 IMC전략(A+리포트)
[케이스스터디]COPD.천식.기관지확장증간호력케이스스터디
[응급실ER케이스스터디]뇌수종.뇌출혈케이스스터디
[소화기내과GI케이스스터디]L-C & Hepatic, encephalopathy,S/P SAH케이스스터디
PED케이스스터디, 아동케이스스터디, 중이염케이스스터디
OS Case study, HNP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당뇨, 병동 케이스 스터디, A+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 문헌고찰 +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 ,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아동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케이스A+++, case study, 아동...
아동실습 모아실습 신생아실 정상아 케이스스터디 B형간염 엄마에게 태어난 신생아 실습 간호...
아동실습 모아실습 신생아실 고빌리루빈혈증 황달 케이스스터디 실습 간호학과 A+과제 A+케이...
소개글